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49909738
· 쪽수 : 238쪽
· 출판일 : 2013-11-30
책 소개
목차
고적 보존의 요체
1. 망각되어 버린 중대한 측면
2. 민족적 고적에 대한 유의점
3. 무엇보다도 단군의 성지 유적을
'되무덤이'에서 -낙랑 고분의 출토품
1. 대동강 연안의 무덤들
2. 중국 고문화의 비밀 창고 '되무덤이'
3. 이방인들에게 몸을 내맡긴 새색시
4. 낙랑 칠기와 중국 문자학
5. 세공 기술의 금자탑, 낙랑의 순금 띠장식
6. 목곽과 전곽의 구조
7. 도굴의 해악
8. 고분 발굴의 시급성
9. 왕우 묘 발굴의 배경
10. 목곽의 지붕에 다다르다
11. 목곽의 현상
12. 목곽의 유물 배치
13. 여인의 채취를 간직한 경대함
조선의 고적
1. 작은 머리말
2. 삼도(三都) 고적 순례
3. 조선의 고적
4. 통거우(通溝)의 고구려 유적
5. 고적 애호에 대하여
고구려 유적
1. 강서 대묘
2. 쌍영총
신라 진흥왕의 기존 3비와 새롭게 출현한 마운령비
1. 진흥왕의 3비
2. 고문헌 속의 황초령비
3. 황초령비를 둘러싼 의문점
4. 북한산 비봉 비문에 대한 속설
5. 김정희의 진흥왕 북한산비 확인
6. 창녕비의 발견
7. 진흥왕의 기존 3비문 소개
8. 황초령비에 대한 불신론과 긍정론
9. 황초령비 이동설
10. 황초령비 논쟁의 열쇠
11. 마운령비를 발견하다
12. 마운령의 역사 지리 고증과 비문 소개
13. 마운령비의 황초령비 모각설(模刻說) 비판
14. 마운령비가 말하는 진흥왕의 북방 경략
15. 신라의 옥저 영유와 통해 항로
16. 마운령비 출현의 의미
17. 남은 과제
■ 해제
■ 최남선 한국학 총서를 내기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