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91190429061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0-10-15
책 소개
목차
답사를 시작하며
Ⅰ. 선사시대의 고양시 문화유산 … 1
┃역사 개관┃ - 권력의 탄생 - … 2
1. 탄현동 일산 임광진흥아파트의 구석기인들 … 3
2. 도내동의 구석기시대 석기공장 … 12
3. 대화동 가와지 볍씨의 비밀 … 20
4. 화정동 국사봉과 지렁산의 고인돌 … 27
Ⅱ. 고대의 고양시 문화유산 … 37
┃역사 개관┃ - 고봉과 개백의 시대 - … 38
1. 백제시대의 군사기지인 법곶동 멱절산성 … 39
2. 고구려 안장왕과 한씨 미녀의 이야기가 서린 고봉산성 … 48
3. 행주산성에 묻혀 있던 고대사의 비밀 … 59
4. 고대의 평지성인 성저토성에서 … 69
Ⅲ. 고려의 고양시 문화 유산 … 75
┃역사 개관┃ - 고봉과 덕양의 시대 - … 76
1. 고려청자 탄생의 요람 원흥동 가마터 … 77
2. 북한산의 고려시대 중흥사와 중흥산성 … 85
3. 북한산 태고사와 원증국사의 발자취 … 97
4. 요동정벌의 기개가 서린 대자동 최영장군묘 … 109
5. 고려 500년의 한이 서린 공양왕릉 … 120
Ⅳ. 조선시대 고양시의 정치?군사적 문화유산 … 131
┃역사 개관┃ - 고양의 탄생 - … 132
1. 임진왜란의 전세를 뒤바꾼 격전의 현장 행주산성 … 133
2. 권율장군을 기리는 조선후기의 사립학교 행주서원 … 145
3. 부처님의 몸으로 의주로를 지킨 동산동 밥할머니 석상 … 153
4. 군사정보 네트워크의 기지국인 독산봉수와 봉대산봉수 … 161
5. 한양의 출입국 관문 벽제관지 - 일본으로 강탈당한 육각정 - … 169
6. 조선시대의 공립학교인 고양향교 … 177
7. 한양 수호의 의지와 백성들의 피땀이 스며있는 북한산성 … 188
Ⅴ. 조선시대 고양시의 왕릉과 무덤 … 221
┃역사 개관┃ - 왕릉과 무덤의 고장이 된 사연 - … 222
1. 기황후·기철 집안의 행주기씨 묘역 … 223
2. 이색 후손들의 터전인 도내동의 한산이씨 묘역 … 237
3. 사또들의 비명횡사를 막아낸 이야기의 주인공 박충원의 묘 … 248
- 주교동 밀양박씨 규정공파 묘역 -
4. 창릉천의 유래가 된 용두동의 서오릉 … 257
5. 고양군 관아 자리에 들어선 서삼릉의 아픈 역사 … 279
Ⅵ. 근현대 고양시의 문화유산 … 307
┃역사 개관┃ - 격동의 시대 - … 308
1. 격동의 구한말과 대자동 김홍집의 묘 … 309
2. 1910년에 한옥으로 지어진 행주외동 행주성당 … 319
3. 경의선의 살아있는 증인 구 일산역 … 327
4. 행주내리와 한양을 잇던 강매동 석교 … 338
5. 서울 수복의 초석이 되었던 행주 도강작전 전첩비 … 348
6. 민간인 학살의 현장 황룡산 금정굴 … 355
참고문헌 … 370
저자소개
책속에서
도내동의 구석기 석기공장
|
도내동 구석기유적에서도 석기가 집중적으로 발견된 곳은 권율대로에 가까운 A지구입니다. 지표면 아래에는 많은 토층이 존재하는데, 그 중에서도 4-b층에서 석기가 많이 나왔습니다. 그 수량이 무려 47,000여 점에 이릅니다. 동남쪽의 야산에 가까운 B지구에서는 30여 점이 나왔습니다.
…… 이러한 돌은 일반적인 화강암에 비해 석기 제작에 유리하고, 보기에도 좋은 편입니다. 이 때문에 탄현동유적과 덕이동유적에서도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도내동유적에서 나온 석기에는 원재료로 사용된 몸돌, 여기서 떨어져나간 격지외에 주먹도끼, 찍개, 주먹찌르개, 여러면 석기, 밀개, 긁개 등이 있습니다.
대화동 가와지 볍씨의 비밀
|
지하철 3호선의 대화역 6번 출구를 나와 일산서구청 4거리에서 좌회전하면 국립암센터로 향하는 일산로로 들어섭니다. 여기서 200m 좀 못 가서 오른쪽 도로변을 보면 화단 안에 ‘고양가와지볍씨 발굴터’라고 표시된 스텐드형 스테인레스 안내판이 보입니다. ……
안내판 위에는 고양 가와지 볍씨가 5,020년 전 한반도 최초의 재배볍씨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왼쪽에는 볍씨 출토 위치를 전하는 것으로 보이는 그림이 있는데, 색이 바래서 알아보기 어렵습니다. ……
…… 주엽동 새말유적의 기원전 7세기 전후 볍씨는 시기적으로 이러한 볍씨와 일치합니다. 하지만 대화리와 가와지의 볍씨처럼 기원전 24~21세기 것은 신석기시대에 해당합니다. 신석기시대에는 일반적으로 조, 피 등의 밭농사만 이루어졌다고 알려져 왔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와지 볍씨의 발견은 한반도에서 벼농사의 시작 시기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백제시대의 군사기지인 법곶동 멸절산성
|
멱절산은 해발고도가 27m에 불과하지만, 『고양군지』(1755)에 따르면 한강 쪽 봉우리의 바위 형세가 기괴하고 절벽이 쭈뼛쭈뼛 높이 솟았다고 했습니다. 여기서는 목멱산(남산)과 마니산이 아득하게 보인다고도 했습니다. 이러한 지형조건 때문에 멱절산성이 만들어진 것이지요.
…… 산성 내의 서북 부분에서는 수혈유구 즉 구덩이가 14기나 조사되었습니다. 이는 주거지가 아니라 각 종 물품을 저장하기 위한 창고였습니다. 예전에 시골에서 무우나 배추를 보관하기 위해 구덩이를 팠던 것과 유사한 방식입니다.
이들 유구에서는 삼족기(三足器), 장란형(長卵形) 토기, 심발형 토기, 단경호, 대호, 소호, 대옹, 컵형토기, 시루 등도 발견되었습니다. 토기들에는 조족(鳥足)무늬, 전(田)형무늬, ‘*’형 무늬 등을 눌러 새겼고, 흑색 간토기도 발견되었습니다. 이상은 백제시대 토기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그 시기는 4~5세기가 중심인데, 흑색 간토기는 3세기 중후반까지 올라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