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해방전후사/한국전쟁
· ISBN : 9788949947365
· 쪽수 : 452쪽
· 출판일 : 2018-04-09
책 소개
목차
머리말
^^Ⅰ. 서 론^^
1. 연구의 목적
2. 기존 연구 현황
3. 연구의 범위와 방법
4. 이용 자료
^^Ⅱ. 미군정기 교육정책 수립과 한국인의 역할^^
1. 미군정기 교육정책 수립
1) 해방 전후 미국의 대한정책
2) 교육을 통한 민주주의 국가 건설
2. 한국인의 미군정 참여
1) 미군정 초기 한국인의 참여 과정
2) 자문기구를 통한 교육정책 수립 참여
3. 미군정기 교육부분에 참여한 한국인의 교육사상
^^Ⅲ. 해방 직후 중등 교육과정의 변화와 사회생활과의 도입^^
1. 해방 전후 중등 교육과정의 변화
1) 일제 말기 중등 교육과정
2) 미군정기 중등 교육과정의 정립
2. 해방 직후 사회생활과의 도입과 국사교육의 방향
1) 사회생활과의 도입
2) 사회생활과와 역사과의 운영
^^Ⅳ. 사회생활과 교수요목과 역사교과서 발행^^
1. 해방 직후 교과서 편찬과 검정
1) 교과서 편찬의 원칙과 실태
2) 교과서 검정의 실제
2. 사회생활과 교수요목 제정 과정
1) 편수국과 교수요목제정위원회
2) 사회생활과 교수요목집의 발행과 특성
3. 중등학교 사회생활과 역사부분 교수요목과 교과서
1) 중등학교 역사부분 교수요목의 구성
2) <이웃나라 생활> 교수요목과 교과서
3) <먼 나라 생활> 교수요목과 교과서
^^Ⅴ. 해방 직후 국사교육과 중등학교 <우리나라 생활> 교과서 발행^^
1. 국사교육과 국사교과서
1) 해방 직후 국사교육에 대한 인식
2) 해방 직후 국사교과서 편찬과 발행
2. <우리나라 생활> 교수요목과 교과서
1) <우리나라 생활> 교수요목과 검정 교과서
2) <우리나라 생활> 교과서의 내용과 특성
^^Ⅵ. 한국전쟁기 중등교육 사례 분석 - 숭문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1. 한국전쟁의 시작과 중등교육 운영 방침
2. 1951년 이후 교육 방침과 피난 학교 운영 실태
1) 1951년 2월 수업 재개
2) 교실과 교과서 문제
3) 서울 재수복 이후 훈육소 운영
3. 중학교 입학 국가고사 실시
^^Ⅶ. 결 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