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근대 한국의 법, 재판 그리고 정의

근대 한국의 법, 재판 그리고 정의

이승일 (지은이)
경인문화사
3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450원 -5% 0원
930원
28,5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근대 한국의 법, 재판 그리고 정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근대 한국의 법, 재판 그리고 정의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49948508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21-01-15

책 소개

대한제국의 법과 재판을 통해 돌아보는 오늘날의 민주주의. 갑오.대한제국기 사법제도의 개혁을 거치면서, 한국의 소송제도가 어떻게 변화하였고, 또 법과 소송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어떻게 달라졌는가를 분석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서 론 1
1. 근대 사법개혁 역사의 재구성 3
2. 연구 현황과 쟁점 29
3. 연구의 관점 35

제1부 국가, 어떻게 개혁할 것인가 43
제1장 조선왕조의 민사소송 제도 45
제1절 조선왕조의 소송제도 45
1. 소송제도와 소송관(訴訟觀) 45
2. 소송의 논변, 원억(冤抑) 50
제2절 민사소송의 절차와 특징 55
1. 소송의 개시 55
2. 소송의 진행 60
3. 판결의 이행 68
제2장 갑오개혁기 민사소송 제도 76
제1절 신식 소송제도의 도입 76
1. 군국기무처의 사법개혁 76
2. 「재판소구성법」과 각급 재판소 설치 80
3. 법관양성소 설치와 법률가 양성 97
제2절 신식 민사소송제도와 특징 102
1. 소송의 절차 102
2. 소송제도의 특징 111
제3장 황제권력의 강화와 사법의 보수화 130
제1절 법부 주도 사법개혁의 방향과 성격 130
1. 아관파천과 국왕권의 회복 130
2. 국왕・법부대신의 사법권 법제화 133
3. 법부의 재판 개입과 독립 재판소 폐지 144
4. 법부의 최고 재판기관화 156
5. 전임 사법관 임용제도의 형해화(形骸化) 171
제2절 신식 소송제도와 전통 관행의 혼효(混淆) 178
1. 확정판결 제도와 남소(濫訴) 178
2. 심급제도와 월소(越訴) 183
3. 강제집행제도와 고음(侤音) 188
제4장 갑오・대한제국기 재판의 실태 198
제1절 인민들의 법・재판 인식 198
1. 판사에 대한 인식 198
2. 법 시행에 대한 인식 210
제2절 사법권 남용의 부작용 215
1. 뇌물과 청탁 215
2. 고문의 남용 223

제2부 인민, 대한제국의 정의를 묻다 235
제5장 자유주의 개혁가들의 사법개혁론 237
제1절 자유주의 개혁가들의 법 사상 237
1. 자유주의 정치개혁 운동과 한국 내셔널리즘 237
2. 법・권리의 새로운 이해 249
3. 인민주권론・사회계약론의 이해 260
제2절 법・권리를 위한 투쟁 276
1. 공정 재판을 위한 투쟁 276
2. 전통 법률의 비판 287
3. 민법 제정의 요구 293
제6장 입헌주의 개혁가의 사법개혁론 299
제1절 입헌주의 개혁 운동과 입헌 개혁(안)의 입안 299
1. 입헌주의 개혁 운동의 등장 299
2. 입헌주의 개혁(안)의 입안 304
제2절 전제정치 비판과 입헌국가론 314
1. 사회진화론 수용과 전제정치의 비판 314
2. 국민국가론의 대두 319
제7장 재판소 개혁의 실패와 식민지 사법으로의 전락 326
제1절 전제정치와 부정의(injustice) 326
1. 재판소 개혁 실패의 귀결 326
2. 1인 통치체제의 폐해 338
제2절 일제의 사법권 장악과 식민지 사법 체제 356
1. 법무보좌관의 재판소 배치와 사법 통제 356
2. 1907년 재판소구성법과 식민지 사법의 강제 373

결 론 387

참고문헌 396
찾아보기 408

저자소개

이승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사학과 교수 한양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양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근대 한국의 법, 재판 그리고 정의』 (경인문화사, 2021)가 있고 논문으로는 「식민지 조선의 무진업 연구」 (『경제사학』 47, 2023), 「일제 통감부기관습조사와 응답자의 계층 분석」 (『한국사연구』 200, 2023), 「갑오개혁기 민사소송제도의 訴訟觀-‘寃抑의 호소’에서 ‘권리의 주장’으로-」 (『법사학연구』 58, 2018), 「근대 이행기 소송을 통해 본 전통 민사재판의 성격-‘侤音’의 소송상의 의미를 중심으로-」 (『고문서연구』 51, 2017)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