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49949550
· 쪽수 : 330쪽
· 출판일 : 2021-02-26
책 소개
목차
발간사
1부 전쟁 기억과 역사 유산
청일 러일전쟁기 대련 여순 지역의 전쟁 유적_최봉룡
1. 머리말
2. 여순 대련 지역 전략 위치와 청일 러일전쟁 개관
3. 여순 대련 지역 청일전쟁 유적과 유물 및 기념시설
4. 러일전쟁 유물과 유적 및 기념시설
5. 동북아평화공동체 구축을 위한 전쟁 유적 활용 방안
6. 맺음말
만주사변 이후 중국 요녕성遼寧省 지역 제국주의 전쟁 유적_김주용
- 기억의 공간적 확장
1. 머리말
2. 침략과 학살의 기억
3. 심판과 화해
4. 기억의 공간적 확장
5. 맺음말
역사의 재인식과 재현의 점이지대_신현선
- 글렌데일과 나고야의 ‘평화의 소녀상’
1. 머리말
2. 글렌데일 소녀상과 표현의 자유 논쟁
3. 아이치 트리엔날레 ‘표현의 부자유전’과 혐오의 정치
4. 소녀상을 둘러싼 기억공간의 확장과 연대
5. 맺음말
2부 극동 만주 체험과 문학적 기억
한국 근대시에 나타난 만주 체험과 북방 의식 연구_강연호
- 백석, 이용악, 유치환의 북방시편을 중심으로
1. 서론
2. 본향의 상실과 낙백의 개인
3. 변경의 삶과 정서적 연대
4. 추상화된 낭만과 지사 정신의 굴절
5. 결론
해방기 염상섭 문학의 ‘안동安東 기억’의 지형도_천춘화
1. 시작하며
2. ‘안동 기억’의 두 재현, 「모략」과 「혼란」
3. 두 차례의 월경과 ‘안동 기억’의 재소환
4. 안동 시절의 염상섭, 중립적 또는 이중적
5. 맺으며
러시아의 극동 지역 인식과 민속학의 문학적 발현_문준일
1. 머리말
2. 러시아의 ‘동양’ 극동 지역
3. <데르수 우잘라>와 소수 민족의 세계관
4. 맺음말
3부 도시 공간의 재구성과 문화유산
도심재생에 있어서 ‘근대문화유산’ 활용에 관한 고찰_김선희
- 인천과 요코하마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개항 도시 요코하마
3. 개항 도시 인천
4. 나오며
중국 동북 지역 사회주의 유산의 지속과 단절_정규식
- 도시 공간의 재구성과 거버넌스의 변화
1. 서론
2. 중국 동북 지역 도시 공간의 재구성과 기층 사회관리 체계의 변화
3. 중국 동북 지역 ‘사회 거버넌스’ 체계 구축의 현황과 과제
4. 결론
서울올림픽과 도시 개조의 유산_박해남
- 인정경관과 낙인경관의 탄생
1. 서론
2. 서울올림픽과 도시 개조
3. 올림픽 준비와 인정경관 만들기
4. 신도시와 인정경관의 확산
5. 임대 아파트의 등장과 낙인경관화
6. 결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