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동북아 인물전

동북아 인물전

(동북아를 바꾼 만남과 발자취)

김주용, 박일준, 유지아, 조정원, 김영신, 김성환, 이은홍, 조성환, 문준일, 윤현명, 한승훈, 김현주, 이용범, 한담, 박성호 (지은이),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기획)
경인문화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5% 0원
600원
18,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동북아 인물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동북아 인물전 (동북아를 바꾼 만남과 발자취)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아시아/극동아시아사
· ISBN : 9788949967271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3-07-10

책 소개

역사적 만남과 시선을 통해 ‘동북아시아’를 새롭게 상상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문한다. 쑨원과 신규식의 만남, 김교신과 우치무라 간조의 만남, 맥아더와 히로히토의 만남 등을 통해 꿈꿀 수 있었던 미래적 동북아시아, 즉 과거에서 바라보았던 그러나 실현될 수 없었던 과거적 미래의 동북아시아를 보여준다.

목차

발간사

제1부 만남 meeting
1. 쑨원과 신규식 | 민주공화정을 꿈꾸다 김주용
2. 김교신과 우치무라 간조 | 두 개의 J를 두 개의 C로 바꿔쓰기 박일준
3. 맥아더와 히로히토 | 아시아·태평양전쟁 후 동북아의 판도를 바꾸다 유지아
4. 궈모뤄와 조선의용대 | 한·중 연대를 기억하다 조정원
5. 위빈 | 추기경, 교육가, 문화사업가, 민간외교의 기재 김영신
6. 디아스포라 전병훈 | 동·서양 문명을 조제하다 김성환
7. 김억과 프랑스 상징주의 | 시와 개인에 대한 새로운 감각을 번역하다 이은홍
8. 공공사상가 다나카 쇼조 | 동학을 만나다 조성환

2부 행함 doing
1. 러시아 제독 푸탸틴 | 러시아, 아시아를 만나다 문준일
2. 야마가타 아리토모 | 일본 육군을 만들다 윤현명
3. 도리이 류조 | 한국 무당을 만나다 한승훈
4. 량치차오 | 중국의 지식인이 서양을 바라보다 김현주
5. 진위푸 | 트랜스-내셔널, 리저널(regional) 히스토리의 꿈 이용범
6. 루링 | 한국전쟁을 인도주의적 시선으로 바라보다 한 담
7. 엘리자베스 키스 | 일제강점기 한국을 바라보는 시선 권의석
8. 쌍천 이영춘 | 농민 보건 향상에 힘쓴 농민의 성자 박성호

참고문헌

저자소개

김성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5년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중국 베이징대학北京大學에서 철학석사(1996)와 철학박사(1999) 학위를 취득했다. 2001년부터 국립군산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베이징대학 방문교수, 산시성陝西省사회과학원 특별연구원 등을 역임했다. 동양철학을 전공하여 특히 동아시아의 신선사상과 도교를 주로 연구했으며, 『황로도탐원黃老道探源』(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8), 『회남자』(살림, 2007) 등의 저서와 50여 편의 논문을 중국과 한국에서 출간했다. 2010년부터는 주로 전병훈 연구에 주력하여 『우주의 정오―서우曙宇 전병훈과 만나는 철학 그리고 문명의 시간』(소나무, 2016)을 저술했다. 이 책은 2017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연구도서로 선정되었다. 지금은 전병훈의 정신철학을 국내외에 소개하고, 현대의 물질주의를 넘어서는 ‘도래할 시대를 위한 철학’, 지금 여기에 기반을 두면서도 다시 새롭게 열어야 할 정신문명의 미래에 관해 논구하고 있다.
펼치기
문준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와 같은 대학 대학원을 졸업하고 러시아 모스크바국립대학교에서 혁명기 러시아문학으로 문학박사를 받았다. 귀국 후 한국과 러시아의 관계에서 학문적 접점을 찾으려는 노력을 하고 있으며, 초기 한러관계사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 시베리아 소수민족의 신화, 사할린 디아스포라 등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원광대학교 HK+동북아인문사회연구소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붉은 광장의 아이스링크》(공저), 《민족의 모자이크, 유라시아》(공저), 《동북아, 니체를 만나다》(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 《전함 팔라다》, 《사할린 한인사》(공역)가 있다.
펼치기
유지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했으며, 릿쿄대학에서 역사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전공은 일본 현대사로 관심 분야는 일본의 사회사 및 군사안보 문제이다. 현재 원광대학교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HK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쟁점 한국사: 현대편>(2017), <동북아, 니체를 만나다>(2022) 등이 있으며, 역서로 <점령과 개혁>(2012), <상징천황제와 황위 계승>(2020), <동북아, 니체를 읽다>(2023) 등이 있다.
펼치기
윤현명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했으며, 히토쓰바시대학 사회학 연구과 박사과정을 졸업했다. 전공은 일본 근현대사의 정치사로, 현재 원광대학교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역서로 『일본, 군비확장의 역사』(2014), 『폭격의 역사』(2015), 『그럼에도 일본은 전쟁을 선택했다』(2018), 『일본은 왜 점점 더 큰 전쟁으로 나아갔을까』(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조성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원광대학교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HK교수. 서강대학교와 와세다대학교, 원광대학교에서 수학과 철학, 종교와 역사를 공부하였고, 동학사상사와 지구인문학을 연구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 『한국 근대의 탄생』, 『하늘을 그리는 사람들』, 『K-사상사』, 『키워드로 읽는 한국 철학』, 『한국의 철학자들』, 『어떤 지구를 상상할 것인가? 지구인문학의 발견』(공저)이 있고, 번역서로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인류세의 철학』(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김주용 (편역)    정보 더보기
원광대학교 역사문화학과 부교수. 동국대학교 문학박사. 『재만 조선인 통제(1)-재만 조선인 이주정책과 친일단체 육성』(동북아역사재단, 2021), 『일제의 재만 조선인 정책』(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2), 『한국독립운동과 만주: 이주, 정착, 저항의 점이지대』(경인문화사, 2018), 『만주지역 친일단체』(역사공간, 2014), 『대한독립대장정』(선인, 2021), 『일제의 간도 경제침략과 한인사회』(선인, 2008) 등.
펼치기
김영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 해남에서 출생하여 목포에서 성장. 중화민국 국립정치대학 역사연구소 수학(문학박사). 동북아시아사와 한중관계사 등 관심분야에 관한 십여 종의 저·역서 및 수십 편의 논문 발표. 2018년 현재 원광대학교 연구교수.
펼치기
김현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의 정치외교학과와 동아시아학술원 동아시아학과에서 정치학을 전공하고, 중국 칭화대학교 철학과에서 ‘선진정치사상에 대한 양계초의 현대적 해석’이라는 주제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원광대학교 HK+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춘추전국시대의 고민》, 《동북아, 니체를 만나다》(공저), 역서로 《만국공법》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중국의 전통적 천하관에 입각한 양계초의 세계주의〉, 〈양계초와 중국 근대 헌정주의의 성립〉, 〈중국현대 문화개념의 탄생-양계초의 문화관을 중심으로〉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박성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공동저자. 철학박사.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HK교수. 주요연구실적으로 『유가의 도덕감정 모델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 2021, 『논어와 마음공부』 2019, 『덕목별 마음도야론1』 2019, 『마음공부의 장』 2019, 『증상별 마음치유방법론』 2019 등이 있음.
펼치기
조정원 (엮은이)    정보 더보기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중국인민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연세대학교 미래사회통합연구센터 연구교수(2018.09- 2020.08)를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동북아시아의 생태위기와 공생: 연대와 협력의 길을 묻다》(2023)(공저), 《한중관계브리핑 11 시진핑 시대 위기 속 한중관계》(2023)(공저) 등이, 논문으로 《시진핑 시대 중국의 혐한: 현황과 원인, 완화방안》(2022), 《중국 출판정책의 특성과 변화 : 13차 5개년 규획, 14차 5개년 규획 기간을 중심으로》(2022) 등이 있다.
펼치기
박일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원광대학교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교수
펼치기
이은홍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순천대 국어교육과 교수
펼치기
이용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점필재연구소 전임연구원. 동아시아의 전통학술 및 한·중·일의 동시대 상호관계성을 염두에 두고 근대 한국학(modern Korean Studies)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 오고 있다. 주요 연구 성과로 「‘식민지 국학’의 학제(制·際)적 위치 - 국문학, 조선문학, 동양학, 그리고 한학」(2022), “Kangaku and the State: Colonial Collaborati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Traditional Sinologists”(2024) 등이 있다.
펼치기
한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원광대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HK연구교수
펼치기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21세기 중국의 부상에 따른 국내외 정세 변화에 대처하고, 바람직한 한중관계와 양국의 공동 발전을 위한 실질적 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2013년 3월 설립되었다. 장기적이고 학술적인 연구보다는 정치외교, 통상산업, 역사문화, 법률분야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실용성 있는 대책들을 제시하는 데 연구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한중 교류를 선도하며 중국 지역 전문가를 양성하는 명실상부한 중국 전문 연구기관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한중관계연구원에는 중국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젊고 유능한 학자들을 상임 연구교수로 초빙하고, 중국과 한중관계 분야의 전문가로 활동해 온 다수의 연구자를 연구위원과 초빙교수로 위촉하고 있다.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한중관계연구원에서 HK+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신설한 연구기관이다. 연구소는 동북아시아다이멘션(NEAD)을 토대로 동북아시아의 역사, 문화, 도시 속에 내장되어 있는 인문학적 자원과 담론을 새롭게 발굴해 21세기 생명·평화 공동체의 미래비전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학술연구 활동과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이론적 기반과 실천적 로드맵을 구축해 나가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