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50907006
· 쪽수 : 439쪽
· 출판일 : 2004-12-06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한국경제에 미래는 있는가
서론 - 투기자본에 짓눌린 실물경제 (이찬근)
1부. 외환위기의 회고
1장 자본자유화와 외환위기 (김진일)
2장 자본자유화와 경제성장 그리고 위기 - 한국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강국)
3장 자본자유화의 환상과 대안 (왕윤종, 이재상)
4장 금융글로벌화의 허와 실 (강호병)
2부. 한국 내 외국 투기자본의 실상
5장 은행경영의 형태 변화와 경제적 효과 (조복현)
6장 금융의 공공성과 금융 규제 (김용기)
7장 투기자본의 제2금융권 지배와 그 폐해 (장화식)
8장 적대적 M&A의 위협과 대책 (왕윤종, 이우성)
9장 금융자본 주도의 기업지배구조와 노사관계의 변화 (임운택)
10장 재벌과 외자의 딜레마 (유철규)
11장 한미투자협정 비판 - 미국의 '1994년 표준안'을 중심으로 (이해영)
사례연구. 외자 투기사례 분석
진로와 골드만삭스 (고형식)
SK는 어떻게 JP모건의 희생양이 되었나 (윤창현)
소버린의 SK(주) 경영권 위협 (김용기)
3부. 외국 투기자본의 본질
12장 신자유주의질서 - 세계경제 번영의 길인가, 투기의 세계화인가 (조원희)
13장 개혁으로 덧칠된 투기경제화 (장진호)
14장 주주이익 극대화의 함의 (정승일)
15장 기관투자가의 발전과 기업지배 (조복현)
결론. 대안정책의 모색
대안정책의 모색 (이찬근)
1, 2차 투기자본 국민대토론회 - 투기자본 감시활동 어떻게 할 것인가
저자소개
책속에서
외국자본과 관련해서 우리나라에는 매우 놀라운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외환위기 이전에 한국에 유입되었던 외국자본은 주로 은행의 대출자본이었다. 즉, 서방은행의 단기 대출자본이 주된 형태였는데, 외환위기 이후 한국에 들어오고 있는 외국자본은 기관투자자를 중심으로 한 주주자본이 주된 형태이다. 다시 말해 '주주'라는 꼬리표를 단 금융자본이 한국에 들어오기 시작한 것이다. 이것은 매우 무서운 변화다. - 본문 16~17p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