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88950921804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10-01-07
책 소개
목차
발문
01. 명동 거리-1969년 10월 서울 명동은 꽃 피는 봄날처럼 향기롭고 눈부셨다
02. 클럽 왕실-모델이란 직업으로 먹고살기는 어렵겠지만 머잖아 좋은 날이 올 겁니다
03. 이용화양복점-많은 양복점들이 현금을 긁어모았고 내게는 명동의 양복점 사장이 어느 은행장 부럽지 않아 보였다
04. 한국 양복업계-분명 원단 제조사의 잘못인데도 모든 책임을 양복점이 고스란히 져야만 했다. 그게 당시의 관례였다
05. 초년고생-이 무렵 나의 단골집은 삼각동 수제비 집이었다. 50환짜리 수제비 한 끼로 하루를 버텼고 그렇게 한 달을 보냈다
06. 양복점 개업-찰스 김 테일러를 기반으로 하여 5년 후인 1975년까지 자수성가하겠다는 각오로 전화번호도 1975번으로 정했다
07. 찰스 김 테일러-당시 양복 한 벌 가격은 2만 원 내외로 웬만한 회사원 한 달 봉급에 맞먹는 적잖은 금액이었다
08. 새마을운동-<새마을노래>가 온 나라에 울려 퍼지던 이때, 섬유업계의 호황은 복장계에도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
09. <복장계>-대부분의 수입을 숨 돌릴 틈 없이 <복장계> 만드는 일에 쏟아 부었다. 그야말로 밑 빠진 독에 물 붓는다는 게 어떤 건지 실감이 갔다
10. 검열-당장 배포된 잡지들을 몽땅 거둬들이라는 청천벽력 같은 통보였다. 이미 1000여 권 이상이 시중 양복점과 업체 등에 풀려 나간 상태였다
11. 자금난-사채를 끌어다가 원단을 사서 6개월 할부로 맞춤 양복을 팔고 할부 대금을 깔아놓은 상태라서 현금은 늘 모자랐다
12. 시대의 악몽-세상이란 게 나 혼자만 떳떳하다고 내 편을 들어주는 게 아니라는 것도 당시에는 몰랐다
13. 구치소 생활-6개월 만에 구치소를 나와보니 모든 것이 달라져 있었다. 더 이상 내가 살던 세상은 없었다
14. 무대의상 제작-이 나라 연극사 이래 가장 큰 극장, 가장 큰 무대에서 가장 많은 물량과 인원의 투입으로 만들어진 엄청난 모험이 심판대에 올랐다
15. 마지막 대형 무대-마치 등대 없는 암흑 속 항해처럼 느껴지던 첫 공연이 성황리에 끝났다
저자의 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