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일반
· ISBN : 9788951120350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21-02-28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서론
제1부 민족주의 이론 연구
제1장 민족주의 정의
제2장 민족주의 기원과 이론
1. 근대주의(Modernism)
2. 원초주의(Primordialism)
3. 영속주의(Perennialism)
4. 종족-상징주의(Ethno-Symbolism)
제3장 한국 근대 민족주의 형성과 발전
1. 민족 개념의 등장과 원형적 민족주의
2. 한국 민족주의의 특징
3. 한국 민족주의의 전개과정
제4장 기독교와 민족주의 관계
1. 문화적 유형
2. 복음적 유형
3. 공적·제도적 유형
4. 현상적 유형
5. 기독교와 민족주의 관계에 대한 비판적 이해
제5장 기독교와 사회주의 관계
1. 1920년대 사회주의의 등장과 국내 전개과정
1) 해외 사회주의 조직과 활동
2) 국내 사회주의의 전개와 민족주의 관계
2. 사회주의와 기독교의 관계
1) 기독교에 대한 사회주의의 인식과 대응논리
2) 기독교의 사회주의 이해와 대응논리
3. 사회주의와 기독교 관계에 대한 비판적 성찰
제2부 일제강점기 정인과의 기독교 민족주의 비판적 성찰
제6장 정인과의 기독교 신앙과 민족의식 형성과정
1. 숭실학교를 통한 사상 형성: 근대문명, 기독교, 민족의 만남
2. 미국 유학과 “사회적 기독교” 인식의 심화
3. 삼일운동과 임시정부 활동
4. 미국 신학 수업 이수와 종교교육운동의 방향 설정
제7장 정인과의 종교교육운동과 민족주의 관계
1. 조선주일학교연합회 종교교육운동
2. 교육운동과 문화민족주의
3. 정인과의 종교교육운동
4. 세계주일학교대회와 정인과의 종교교육운동
5. 정인과와 장로교총회 종교교육부
6. 종교교육부와 아동교육 및 청년운동
7. 장로교총회 안에서 정인과와 종교교육부의 중심적 위치
제8장 장로교 농촌운동과 민족주의 관계
1. 식민지 한국 농촌의 상황과 농촌운동의 대두
2. 1920년대 기독교 농촌운동: YMCA 농촌운동
3. 예루살렘 국제선교협의회(1928)와 한국 기독교의 농촌운동
4. 장로교총회 농촌운동과 정인과의 관계
제9장 정인과의 기독교 민족운동의 굴절
1. 일제 군국주의체제와 황민화정책
2. 일제의 한국 기독교 지배
3. 동우회와 흥업구락부 사건
4. 일제말기 한국교회의 분열상과 장로교의 남북문제
5. 일제말 전시체제기의 장로교회와 일본적 기독교로의 이행과정
6. 일제의 교단통폐합 과정에서 장로교 안의 갈등과 정인과의 투쟁
결론
참고문헌
인물과 단체 찾아보기
주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