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88951121272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3-03-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디아스포라 선교
다문화 사회 선교를 위한 구약성서 읽기_ 임동원
디아스포라 교회의 성장과 선교_ 손윤탁
디아스포라 선교 이해와 전략: 글로벌 디아스포라 네트워크(GDN)를 중심으로_ 김미선
디아스포라를 넘어(beyond), 디아스포라와 함께(with): 디아스포라 선교신학을 통한 한국의 다문화 교회 모델 세우기_ 현한나
제2부 한국 교회의 이주민 목회와 선교
한국 교회와 이주민 선교_ 전석재
미주 한인들에 대한 민족 정체성 교육의 선교학적 중요성_ 권오훈
부산·경남지역 이주민 현황과 이주민 선교의 과제: 결혼이주여성/다문화가족을 중심으로_ 황홍렬
선교 목적 한국어 교재 개발과 이주민 선교의 적용: 『세계관 한글공부』의 외국인 유학생 전도 활용을 중심으로 _ 정혜원
국내 이주민 선교사 제도의 필요성과 가능성_ 황병배
제3부 다문화 사회와 선교
십자가의 환대의 관점에서 본 국내 무슬림 난민 사역_ 김아영
다문화 사회 이주민에 대한 전도 방안 연구_ 허 준
한국 교회의 효과적인 다문화 목회 전략_ 황종하
저자소개
책속에서
그리 오래되지 않은 과거에 한국인들은 아메리칸 드림을 안고 먼 타지를 향해 나아갔다. 먹고살기 위해 유럽으로 광부와 간호사를 파견했고, 뜨거운 사막으로 건설 노동자를 내보냈다. 수많은 역경에도 꿋꿋이 견디고, 타 문화권 사람들의 필요와 도움을 힘입어 마침내 오늘의 경제 수준을 이루고 세계의 주목을 받는 나라가 되었다. 지금은 전 세계 곳곳에 한국인이 없는 나라가 없을 정도가 되었다. 이제는 우리가 바뀌어야 할 차례이다. 우리가 받았던 것을 베풀어야 하고, 나아가 더 관대한 모습으로 세계를 품어야 할 때이다. 글로벌 시대, 지구촌을 외치고 있는 현 시대는 다문화를 포용하라고 강력히 요청하고 있다. 다문화 사람들을 피부색으로 구분할 게 아니라 생활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받아들여야 할 때가 되었다.
흩어진 디아스포라에 대한 연구도 중요하지만 찾아오는 디아스포라에 대한 연구도 중요하다. 본 연구는 ‘찾아오는 디아스포라’의 문제보다는 본래적인 디아스포라, 즉 ‘흩어져 있는 디아스포라 연구’에 집중하였다. 디아스포라 선교에 대한 연구에 못지않게 ‘찾아오는 디아스포라’, 즉 한국 교회의 ‘다문화 선교’에 대한 문제가 많이 논의되고 있으며, 실제로 외국인 디아스포라 교회가 활성화되고 있는 시점에 이르렀다.
‘이주민’은 우리 가운데 들어온 이주자이고 ‘디아스포라’는 자국을 떠나 세계 여러 지역으로 이주하여 살아가는 사람이라는 양분에서, 이 둘이 하나로 이해되고 연합함으로써 선교적 성취를 이루어야 한다. 이주민 사역에 전문성을 갖추고 사역이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준비하고 디아스포라에 대한 우리의 신학적인 생각을 성숙시킬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