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자연과학계열 > 지구과학
· ISBN : 9788952107848
· 쪽수 : 355쪽
· 출판일 : 2007-12-31
목차
머리말
프롤로그 - 고마운 비, 사악한 비
1. 빗물이야기
1. 베일에 싸인 빗물
2. 환경과 빗물
3. 건성강하물과 습성강하물
4. 안개의 신비
5. 수관통과수와 수간유하수
2. 산성강하물의 배출에서 강하까지
1. 산성비와 대기오염물질
2. 대기오염물질의 배출
3. 대기세척작용
4. 대기오염물질의 산화
5. 대기오염물질의 분산, 수송 및 강하
6. 모델에 의한 배출에서 강하까지의 전망
3. 산성비의 실상
1. 산성비라는 말
2. 산성비란 무엇인가?
3. pH를 측정하는 잣대
4. 산성비의 화학성분
5. 서울의 산성비
6. 한국의 산성비
7. 도시와 농촌의 산성비 시차
8. 세계의 산성비
9. 이산화황 배출의 전망
10. 질소산화물 배출의 전망
11. 세계의 산성비 전망
4. 토양의 산성화
1. 빗물과 토양
2. 토양단면의 특성
3. 토양의 풍화
4. 양이온교환과 산성비
5. 염기포화도와 산성비
6. 토양의 완충능과 산성비
7. 토양의 산성비
8. 토양 상성화의 과거, 현재 및 미래
9. 수도권(서울)의 토양 산성화
10. 한국의 토양 산성화
11. 산성토양에서의 식물의 적응
12. 토양 내 알루미늄 독성
5. 삼림의 쇠퇴와 반작용
1. 잔뿌리의 상향생장
2. 나이테 생장의 감소
3. 삼림쇠퇴
4. 수관의 산도 중화 기능
5. 수관의 이온 선택 기능
6. 부식질층의 중화 기능
7. 임상 토양층의 기능
8. 삼림분수계의 이온 농도 조절
9. 빗물과 계류수의 이온 농도 비교
10. 군락구조의 변화
11. 박새의 개체군 조절
6. 삼림의 질소포화
1. 한국의 대기질소강하량
2. 삼림의 질소보유
3. 삼림의 질산이온 유출
4. 질산이온 유출에 미치는 환경요인
5. 질소포화 가설
6. 질소포화에 따른 반응
7. 질소포화 토양의 질소순환
8. 대기질소강하물의 분배
9. 삼림토양의 메탄 및 아산화질소 대사
10. 질소포화에 대한 초본식물의 민감성
7. 물의 산성화
1. 지표수란 무엇인가?
2. 빗물과 지표수
3. 산성수 이야기
4. 물의 알칼리도와 산도
5. 지표수의 음이온
6. 지표수의 양이온
7. 물 산성화의 과거, 현재 및 미래
8. 논물의 pH 조절능
9. 산성화에 따른 지하수오염
8. 민물고기의 수난
1. 민물고기의 환경
2. 민물고기 연구의 동기
3. 지역에 따른 민물고기의 환경 실태
4. 수질과 민물고기
5. 산성수에 대한 민물고기의 행동
6. 산성수에서의 민물고기의 생식
7. 산성수의 독성 기작
8. 칼슘의 중요성
9. 수서동물에 대한 알루미늄 독성
9. 산성수와 수서생물
1. 건강을 해치는 산성수 환경
2. 미생물의 활성 저하
3. 식물플랑크톤의 종다양성과 1차 생산성
4. 동물플랑크톤의 산 민감성
5. 무척추동물의 종다양성 변화
6. 물의 알칼리도와 무척추동물
7. 수서곤충이 좋아하는 먹이
8. 산성수에 대한 수서곤충의 피해 기작
9. 산성수에 대한 무척추동물의 반응
10. 산성화와 양서류
11. 산성수와 물새의 번식
12. 산성수에 대한 대형수생식물의 적응
10. 물질의 부식과 사람의 건강
1. 대기오염과 부식
2. 물질의 부식
3. 대기부식
4. 산성토양과 산성수 속의 부식
5. 오염가스의 상조효과
6. 대기오염과 사람의 건강
7. 건강의 척도
8.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피해
9. 대기오염에 의한 피해 사례
11. 산성화된 생태계의 복원
1. 언제부터 산성화되었는가?
2. 삼림생태계의 석회 처리
3. 산성화된 삼림분수계의 복원
4. 질소포화 삼림의 복원
5. 삼림의 석회 처리에 대한 평가
6. 수서생태계의 산성화와 복원
7. 수서생태계의 석회 처리
8. 석회 처리 호수의 재산성화
9. 수서생태계의 석회 처리에 대한 평가
10. 생태계 복원의 어려움
에필로그 - 과거로부터 배우고 미래를 생각한다
찾아보기(국문)
찾아보기(영문)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