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국어교육 전공
· ISBN : 9788952109378
· 쪽수 : 306쪽
· 출판일 : 2008-09-20
목차
간행사 iii
머리말 v
들어가면서
I. 매체언어 교육을 위하여 1
II. 매체언어 교육의 목표에 관하여 2
1. 국어교육의 요구와 실천 2
2. 언어와 매체를 바라보는 관점 4
3. 소통론의 확장 5
4. 문화 능력의 신장 6
III. 매체언어 교육의 중요 쟁점들 8
1. 매체언어, 리터러시(literacy)의 개념 8
2. 수용 10
3. 생산(창작, 표현) 11
4. 매체 간 변환 12
5. 저작권 및 윤리 13
제1장 국어교육에서 매체를 바라보는 관점
I. 국어교육과 매체 15
1. 매체 이용 실태와 국어교육적 함의 15
2. 의미와 소통의 매개체로서 미디어 18
3. 매체 활용 교육과의 구분 23
II. 국어교육과 관련된 미디어 리터러시의 세 가지 층위 24
1. 언어적 측면: 복합 양식 리터러시 24
2. 문화적 측면: 문화적 리터러시 31
3. 성찰적 측면: 비판적 리터러시 39
III. 국어교육에서 매체를 수용하는 방향 45
1. 언어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 45
2. 소통 방식의 변화를 담아내는 국어교육 47
3. 국어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텍스트의 확장 49
4. 사회적 소통과 성찰의 언어문화 강조 50
제2장 국어교육과 매체언어 교육
I. 매체언어 교육 수용의 배경 57
1. 매체 발달에 따른 사회적 요구의 반영 58
2. 국어교육학의 연구 성과 수용 59
3. 국어교육 현장의 실천과 요구 59
4. 외국의 자국어 교육 참조 60
II. 매체언어 교육의 수용과 국어과 교육과정 61
1. 매체와 매체언어의 개념 61
2. 국어교육 내 매체 관련 내용의 등장: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 63
3. 매체언어 교육의 본격적 수용: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67
4. 매체언어 교육의 수용과 관련된 쟁점과 논의 68
III.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매체언어 교육 74
1.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에서의 매체언어 교육 74
2. 선택과목에서의 매체언어 교육 80
제3장 매체의 발달에 따른 읽기·쓰기 방식의 변화
I. 매체 환경의 변화 89
1. 디지털 미디어로의 변화 89
2. 디지털 매체의 특징 93
II. 디지털 매체 환경에서 읽기의 변화 96
1. 디지털 매체 환경의 읽기 방식 96
2. 디지털 매체 환경의 독자 98
III. 디지털 매체 환경에서 쓰기의 변화 100
1. 디지털 매체 환경의 쓰기 방식 100
2. 디지털 매체 환경의 저자 106
IV. 디지털 매체 환경의 읽기와 쓰기 방식의 문제와 가능성 108
1. 읽기?쓰기 방식의 변화에 대한 성찰의 전제 109
2. 읽기?쓰기 방식의 변화에 대한 성찰 111
제4장 뉴스와 광고의 비판적 수용과 생산
I. 뉴스와 광고의 정보 전달과 설득 117
II. 뉴스와 광고를 바라보는 관점 120
1. 대중매체의 힘과 영향력 120
2. 언어와 이미지에 의한 현실 구성 124
III. 뉴스의 수용과 생산 129
1. 뉴스의 개념, 기능, 종류 129
2. 뉴스의 구성 요소와 담론 132
3. 뉴스 읽기와 쓰기 방법 140
IV. 광고의 수용과 생산 143
1. 광고의 개념, 기능, 종류 143
2. 광고의 설득 전략과 표현 기법 146
3. 광고 읽기와 쓰기 방법 149
제5장 디지털 시대, 문학·예술의 지향과 향유
I. 디지털 매체와 문학?예술 텍스트 153
II. 디지털 시대, 문학?예술의 생산과 수용 155
1. 디지털 시대, 문학?예술 텍스트의 생산 155
2. 디지털 시대, 문학?예술 텍스트의 수용 157
III. 디지털 시대, 문학?예술 텍스트의 실제 159
1. 디지털 시대의 서정시 159
2. 인터넷 문학, 팬픽, 컴퓨터 게임 164
3. 하이퍼텍스트 서사 문학 173
IV. 디지털 시대, 문학?예술 텍스트의 소통 175
제6장 시 텍스트의 변화와 교육
I. 미디어 시대, 시 텍스트의 변화 양상 179
1.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시 텍스트의 변화 179
2. 시집 출판 경향의 변화 182
II. 시화(詩畵) 텍스트 183
1. 시화 텍스트의 특성: ‘텍스트의 전용’ 183
2. 시화 텍스트의 읽기 방식 184
3. 시화 텍스트의 의미 186
III. 영상시 텍스트 186
1. 영상시 텍스트의 특성: ‘텍스트의 변형’ 186
2. 영상시 텍스트의 읽기 방식 187
3. 영상시 텍스트의 의미 191
IV. 시와 ‘덧글’의 통합 텍스트 192
1. ‘시와 덧글 통합 텍스트’의 특성 192
2. ‘시와 덧글 통합 텍스트’의 읽기 방식 195
3. ‘시와 덧글 통합 텍스트’의 의미 196
V. 미디어 시대 시교육의 방향 196
1. 시에 대한 성찰적 관점의 강화 196
2. 미디어 문화와의 공유, 사회적 소통을 위한 시교육 199
3. 미디어 시대, 다양한 시 텍스트의 수용과 생산교육 201
제7장 서사 텍스트의 매체 변화와 교육
I. 같은 이야기를 가진 다른 텍스트들 207
II. 서사 텍스트의 매체 변환을 촉진시키는 요소들 209
1. 제작의 측면 209
2. 수용의 측면 211
III. 문자 서사와 영상 서사의 특성 비교 212
1. 소설과 영화 213
2. 서술자, 인물, 시점 214
3. 시간, 장면, 사건 217
IV. 원작 텍스트에 대한 태도에 따른 변화의 방향 218
1. 원작 텍스트에 대한 충실 219
2. 원작 텍스트에 대한 비판적 재해석 220
3. 원작 텍스트를 모티프로 한 확장된 재창조/재창작 222
V. 서사 텍스트 변환의 교수-학습 224
1. 서사 텍스트 변환의 교육적 의의 224
2. 서사 텍스트 변환의 교수-학습 방법 226
제8장 디지털 저자의 언어 윤리 및 태도와 저작권
I. 디지털 저자의 언어 윤리 및 태도 233
1. 인터넷 공간의 정보 생산의 특징과 문제 234
2. 텍스트 생산의 언어 문제 238
3. 디지털 저자의 정보 생산의 태도 243
II. 디지털 저자의 저작권과 글쓰기 윤리 250
1. 디지털 저자의 글쓰기와 저작권 250
2. 자유문화와 집단지성을 위한 글쓰기 윤리의 실천 256
3. 저작권에 대한 윤리적 물음과 실천 260
제9장 미디어와 청소년 문화
I. 청소년, 청소년 문화 267
1. 청소년기의 범위와 성격 267
2. 미디어와 청소년과의 관계 269
II. 청소년 미디어 이용의 현황과 특성 272
1. 청소년과 책 272
2. 청소년과 텔레비전 275
3. 청소년과 인터넷 278
4. 청소년과 휴대폰 285
III. 청소년 문화로부터 본 매체언어 교육 289
1. 정체성 형성을 위한 문화 교육 289
2. 소통 맥락을 고려한 매체언어 교육 292
3. 매체언어 교육의 내용으로서의 청소년 문화와
미디어에 대한 토론과 글쓰기 292
찾아보기 299
Abstract 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