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88952111401
· 쪽수 : 387쪽
· 출판일 : 2010-10-29
책 소개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의의와 목적
2. 기존 연구의 개관
3. 접근 방법
4. 체제 유지와 변동에 관한 이론적 고찰
1) 체계 이론
2) 사회 변동론
Ⅱ. 사회주의 국가의 사회단체
1. 주요 사회주의 국가의 사회단체: 특성과 변화
1) 구(舊)소련의 사례
2) 중국의 사례
2. 북한의 주요 사회단체: 현황과 기능 개관
1) 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
2) 조선민주녀성동맹
3) 조선직업총동맹
4) 조선농업근로자동맹
3. 체제 전환기 북한 사회단체의 특성과 변화
1) 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
2) 조선민주녀성동맹
3) 조선직업총동맹
4) 조선농업근로자동맹
Ⅲ. 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
1. 형성 배경과 역사적 전개
1) 민주청년동맹
2) 사회주의로동청년동맹
3) 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
2. 조직과 운영
1) 조직 체계
2) 조직 운영
3. 기능적 특성
1) 사상교양단체의 기능
2) 당의 후비대 기능
3) 경제 건설을 위한 동원
4. 일차 자료에 드러난 북한 청소년의 생활 세계
1) 정치·사상적 측면
2) 경제적 측면
3) 사회적 측면
4) 문화적 측면
Ⅳ. 조선민주녀성동맹
1. 형성 과정과 역사적 전개
2. 조직과 운영
1) 조직 체계
2) 조직 운영
3. 역할로 본 특성
4. 일차 자료에 드러난 북한 여성의 생활 세계
1) 정치·사상적 측면
2) 경제적 측면
3) 사회적 측면
4) 문화적 측면
Ⅴ. 북한 사회 변동의 특징과 전망: 청소년과 여성을 중심으로
1. 청소년 세대의 변화
1) 정치·사상적 이완과 무규범적 성향
2) 개인의 흥미와 개성 중시
3) 물질적 관심의 증대
4) 직업관의 이기주의화
5) 일탈 행동의 증가
6) 결혼풍습에서의 허례허식
7) 비사회주의적인 생활양식의 증가
2. 청년동맹의 기능과 향후 전망
1) 정치적 측면
2) 경제적 측면
3) 사회적 측면
4) 문화적 측면
3. 여성들의 변화
1) 정치·사상적 이완과 조직 이탈
2) 개인의 흥미와 개성 중시
3) 경제난과 자력갱생의 강조
4) 좋은일하기운동의 강조
5) 공산주의적 미풍
6) 일탈 행동의 증가와 도덕의 강조
7) 결혼, 가족, 자녀 교육
4. 여맹의 기능과 향후 전망
1) 사상교양적 측면
2) 방법론적 측면
3) 사회·경제적 측면
4) 사회·문화적 측면
Ⅵ. 북한 사회의 변화 가능성과 정책적 시사점
1. 청년동맹과 여맹 변화의 함의
1) 조직 체계
2) 체제 유지 기능
3) 사상교양 기능
4) 경제 건설 기능
2. 통일 과정에 있어서 외곽단체의 역할
3. 통일 이후 교육 및 복지 정책에 대한 시사점
Ⅶ. 결론
참고문헌
내용 색인
인명 색인
책속에서
대부분의 사회주의 국가에서는 당과 인민 사이에서 소위 ‘인전대’(引傳帶: transmission-belt) 역할을 하는 당의 외곽단체가 존재하며, 사회 통제 및 체제 유지의 측면에서 중요한 기능을 해 왔다. 조선로동당과 광범한 대중을 이어주는 연결벨트 역할을 하는 이러한 단체들을 북한에서는 근로단체라고 부르며, 당의 믿음직한 방조자, 후비대로 규정하고 있다. 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 조선직업총동맹, 조선농업근로자동맹, 조선민주녀성동맹의 4대 근로단체들이 수행하는 가장 중요한 임무는 조선로동당의 사상과 정책을 대중에게 전달하고 주입시키는 사상 교양이다. 북한은 체제 유지에 필요한 사회 통제·유지 기제에 있어서나 사회화 방법과 과정에서 그 어떤 사회주의 국가보다도 철저하고 조직적인 것이 특징이다 - p. 2.
김정일은 “건전한 사상의식과 높은 문화적 소양, 고상한 공산주의적 도덕품성을 가진 사람은 옷차림과 몸단장을 언제나 깨끗하고 고상하게 하고 다닙니다.”라면서, “최후승리를 위한 강행군길에 나선 청년들의 사상, 정신적풍모가 옷차림에서부터 확연히 풍기도록” 하기 위해서 ‘단정치 못하거나 우리 식이 아닌 옷차림’에 대해서는 강한 비판 사업을 진행할 것을 강조한다. 나아가 “옷이 날개라는 말도 있듯이 옷차림을 잘하면 사람의 품격도 높아 보이고 거리와 마을을 아름답게 할 수 있으며 나라의 대외적 권위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새세대 청년들의 외모 단장을 비판하는 신문 기사들에 따르면, ‘외국식의 옷차림’, ‘처녀들이 양장을 할 때 치마를 짧게 해입는 것’, ‘와이샤쯔 자락을 바지 밖으로 내어 입는 행위’, ‘남녀 분간이 힘들 정도의 더부룩한 긴머리’, ‘신발을 잘 닦지 않는 등 위생적이지 못한 불결한 차림 등’이 지적된다. - p. 153.
남한의 다양한 사회단체들이 북한의 여성이나 청소년 계층에 의식의 혼란을 갖지 않도록 유의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며, 이와 관련한 윤리적 지침 등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남한의 여성 혹은 청년 단체들이 북한 출신 여성이나 청년들의 사상교양이나 여성 인권 등의 이념적인 교양 시도에 집중하려 들거나, 혹은 종교 단체 등을 통하여 종교적 여성관이나 청년관의 전달에 집중하는 방식으로 치우지치 않도록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다양한 사회단체들의 활동의 가장 주된 목표는 남북한 여성과 청소년, 특히 북한 내의 주민 계층들의 생활 환경을 실질적으로 개선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가운데 행복하고 안정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 p. 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