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임상의학 > 신경정신과
· ISBN : 9788952112835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12-02-21
책 소개
목차
개정증보판 머리말 | v
머리말 | vii
제 1 부 조현병 치료에 있어서의 장기지속형 주사제의 역할
제 1 장 조현병 환자의 약물 순응도
■ 1. 조현병에서의 비순응 | 5
■ 2. 비순응의 원인들 | 6
(1) 적량 적시 복용의 어려움 | 8
(2) 장기간에 걸친 투약 | 9
(3) 의사들의 비현실적 기대 | 9
(4) 보호자가 맞닥뜨리는 어려움 | 10
■ 3. 부분순응의 문제 | 11
■ 4. 확장된 순응도의 개념 | 12
■ 5. 낮은 순응도에 대한 대응전략 | 13
(1) 심리사회적 접근 | 13
(2) 약물치료적 접근 | 17
(3) 장기지속형 주사제를 이용한 접근 | 18
■ 6. 재발억제를 위한 특화 센터의 도입 | 19
제 2 장 정형 항정신병 약물의 장기지속형 주사제
■ 1. 개발의 역사 | 26
■ 2. 데포 주사제의 화학구조적 특징 | 28
■ 3. 데포 주사제의 약물동역학 | 29
■ 4. 데포 주사제의 장점과 단점 | 31
■ 5. 정형 항정신병 약물 장기지속형 주사제의 효과 | 34
(1) 조현병 환자에서의 효과 | 34
(2) 양극성 장애 환자에서의 효과 | 36
(3) 경구 제제와 비교할 때의 장점 | 37
■ 6. 각국의 데포 주사제 사용 실태 | 38
(1) 구미 각국에서의 데포 주사제 사용 실태 | 39
(2) 우리나라의 데포 주사제 사용 실태 | 40
(3) 비정형 장기지속형 주사제 도입 이후의 전망 | 40
■ 7. 데포 주사제에 대한 임상의의 태도 | 41
제 3 장 장기지속형 주사제 사용 결정 및 환자 선택
■ 1. 장기지속형 주사제의 사용이 고려되는 경우 | 48
(1) 낮은 순응도로 재발이 잦은 경우 | 48
(2) 부분순응이 의심되는 경우 | 49
(3) 첫 삽화의 경우 | 49
(4) 규칙적인 복용이 어려운 경우 | 49
■ 2. 사용 결정 및 환자 선택 | 50
(1) 진단의 확정 | 50
(2) 의사와의 라포 | 51
(3) 과거 치료력 | 51
■ 3. 치료방침 결정과정에의 환자의 참여 | 51
■ 4. 강제 투여 수단으로서의 장기지속형 주사제 | 53
■ 5. 장기지속형 주사제 도입의 시점 | 53
■ 6. 장기지속형 주사제의 선택 | 54
(1) 2주 간격 투여의 장, 단점 | 55
(2) 4주 간격의 데포제 투여의 장, 단점 | 55
■ 7. 첫 번째 투여 | 55
■ 8. 치료 가이드라인 및 알고리듬에 따른 데포제의 위상 | 56
(1) 비순응으로 인한 잦은 재발이 있어야만 사용한다는 가이드라인 | 57
(2) 비순응 문제가 우려되면 사용한다는 가이드라인 | 58
(3) 한국형 조현병 약물치료 알고리듬에서의 위치 | 58
제 4 장 약물경제학적 관점에서 본 장기지속형 주사제
■ 1. 리스페리돈 장기지속형 주사제 | 62
(1) 거울상 연구 | 63
(2) 직접 비교연구 | 65
(3) 약물경제학적 모델링 연구 | 66
■ 2. 팔리페리돈 장기지속형 주사제 | 67
제 5 장 장기지속형 주사제 보급을 위한 치료 모델, 제도적 뒷받침
■ 1. 탈원화 정책 | 72
■ 2. 횡수용 현상 | 73
■ 3. 데포 클리닉 | 74
■ 4. 외래치료명령제 | 74
(1) 외래치료명령제의 역사와 현황 | 74
(2) 우리나라에서의 외래치료명령제 | 76
■ 5. 지역사회 정신보건의 문제 | 76
(1) 준비되지 않은 탈원화 | 76
(2) 호주, 뉴질랜드의 경우 | 77
(3) 장기지속형 주사제의 역할 | 77
■ 6. 윤리적 문제 | 78
제 2 부 리스페리돈 장기지속형 주사제
제 6 장 리스페리돈 장기지속형 주사제의 개괄
■ 1. 개발의 필요성 | 86
■ 2. 시판과 도입과정 | 87
■ 3. 리스페리돈 장기지속형 주사제와 기존 데포 제제의 차이점 | 88
■ 4. 리스페리돈 장기지속형 주사제에 사용된 특수한 약제 제조 기술 | 89
■ 5. 리스페리돈 장기지속형 주사제의 약물동역학적 특징 | 90
■ 6. 약물약역학적 특징 | 92
■ 7. 약물상호작용 | 94
■ 8. CYP2D6 유전형에 따른 개인차 | 94
제 7 장 리스페리돈 장기지속형 주사제의 효과
■ 1. 주요 임상연구 | 98
■ 2. 기타 주요 연구 | 99
■ 3. 다양한 약물로부터의 교체 연구 | 102
■ 4. 다른 항정신병 약물과의 비교 연구 | 103
■ 5. 관해율 연구 | 105
■ 6. 순응도 연구 | 106
제 8 장 리스페리돈 장기지속형 주사제의 안전성과 내약성
■ 1. 일반적 부작용 | 113
■ 2. 운동부작용 | 113
■ 3. 지연성 운동장애 | 116
■ 4. 체중과 대사증후군 | 116
■ 5. 심혈관계 부작용 | 117
■ 6. 혈중 프로락틴 증가 | 117
■ 7. 주사부위의 통증 | 118
제 9 장 환자의 만족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1. 환자 본인의 만족도 | 124
■ 2. 삶의 질 향상 | 125
■ 3. 환자 보호자의 만족도 | 128
제10장 용량의 결정과 사용 실제
■ 1. 용량-반응 관련성 | 132
■ 2. 리스페리돈 장기지속형 주사제 사용 실전 | 137
제11장 리스페리돈 장기지속형 주사제의 주사방법
■ 1. 포장과 내용물 | 148
■ 2. 약제의 보관 | 149
■ 3. 패키지의 개봉 | 149
■ 4. 실제 투여과정 | 150
■ 5. 주사부위 | 154
■ 6. 통증을 줄이기 위해 할 수 있는 방안 | 155
■ 7. 환자에게 교육해야 할 사항 | 156
■ 8. 부작용 대처 및 주사제의 일시 중단 | 156
제12장 양극성 장애 환자에서의 사용
■ 1. 양극성 장애 환자에서의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 사용 | 160
■ 2. 분열정동장애 및 양극성 장애에서의 리스페리돈 장기지속형 주사제 | 160
■ 3. 단독요법으로서의 한계 | 164
■ 4. 결론 | 164
제13장 리스페리돈 장기지속형 주사제의 특수 환자군에서의 사용
■ 1. 노인환자에서의 사용 | 170
■ 2. 초발 환자군 | 172
■ 3. 조기 발병 소아-청소년 환자 | 175
■ 4. 임신한 환자에서의 사용 | 176
제 3 부 팔리페리돈 및 팔리페리돈 장기지속형 주사제
제14장 팔리페리돈 경구 제제(인베가™ 서방정)
■ 1. 기존 항정신병 약물 치료의 한계와 아쉬움 | 184
■ 2. 리스페리돈과 팔리페리돈 | 185
(1) 1차 대사물질이기 때문에 갖는 차이점 | 186
(2) 특수공법으로 제조되었기 때문에 갖는 차이점 | 186
■ 3. 효능과 효과 | 188
■ 4. 안전성과 내약성 | 190
■ 5. 용량과 투여방법 | 193
■ 6. 약물상호작용 | 196
■ 7. 결론 | 197
제15장 팔리페리돈 장기지속형 주사제 개발의 의의
■ 1. 조현병 유지치료의 어려움 | 202
■ 2. 장기지속형 주사제의 중요성 | 204
■ 3. 정확하고 과학적인 약물전달의 중요성 | 205
■ 4. 장기지속형 주사제에 대한 관심 | 207
■ 5. 팔리페리돈 장기지속형 주사제 개발의 의의 | 207
제16장 팔리페리돈 장기지속형 주사제의 약리학적 성질
■ 1. 팔리페리돈 팔미테이트의 화학적 성질 | 212
■ 2. 특수공법으로 제조되는 팔리페리돈 장기지속형 주사제 | 213
■ 3. 약물약동학적 특성 | 215
■ 4. 약물동역학적 특성 | 216
■ 5. 약물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219
■ 6. 팔리페리돈 팔미테이트의 대사 및 배출 | 220
■ 7. 약물상호작용의 가능성 | 222
■ 8. 약물동역학적 특성?요약 | 223
제17장 팔리페리돈 장기지속형 주사제의 치료효과
■ 1. 급성기 치료에서의 효과 | 228
■ 2. 유지치료에서의 재발억제 효과 | 232
■ 3. 리스페리돈 장기지속형 주사제와의 비교 | 234
■ 4. 결론 | 236
제18장 팔리페리돈 장기지속형 주사제의 안전성과 내약성
■ 1. 급성기 치료 시의 안전성과 내약성 | 240
■ 2. 유지치료 시의 안전성과 내약성 | 243
■ 3. 주사 후 진정 증후군 | 244
■ 4. 과량 투여 | 245
제19장 권장용량과 투여방법의 결정과정
■ 1. 적정용량의 결정 | 248
■ 2. 삼각근/대둔근 주사의 차이 | 250
■ 3. 비만도와 투여방법의 관계 | 250
■ 4. 항정상태에서의 권장용량 | 252
제20장 용량의 결정과 투여방법
■ 1. 경구약제의 시험 투여 | 256
■ 2. 초기 투여 | 256
■ 3. 그 이후의 투여 | 257
■ 4. 투약을 빠뜨렸을 때 | 258
■ 5. 유지용량의 결정 | 259
■ 6. 다른 약물로부터 팔리페리돈 장기지속형 주사제로 교체할 때의 투여 요령 | 260
■ 7. 개개인에 있어서의 용량결정 | 261
제21장 팔리페리돈 장기지속형 주사제의 주사방법
■ 1. 포장과 내용물 | 264
■ 2. 패키지의 개봉 | 265
■ 3. 실제 투여과정 | 266
■ 4. 주사부위 | 268
■ 5. 삼각근, 대둔근 주사의 선호도 | 270
제22장 팔리페리돈 장기지속형 주사제의 특수 환자군에서의 사용
■ 1. 간기능 및 신기능 저하 환자 | 272
■ 2. 노인 및 치매 환자 | 272
■ 3. 임신, 수유부 | 273
■ 4. 기타 만성질병을 앓고 있는 경우 | 274
찾아보기 | 277
책속에서
이러한 조직이 설립된다는 것은, 비순응 문제에 대한 총력적 접근이 새로운 항정신병 약물개발에 버금갈 정도로 조현병 치료의 선결과제라는 데 전문가들의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순응도 문제는 문화적 요소나 의료환경의 특수성 등에 지대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하거나 혹은 우리 실정에 맞는 센터를 도입하는 것이 비순응 문제를 총체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유용한 전략이라고 생각된다.
현재 구미 각국의 조현병 치료 가이드라인은 물론 우리나라의 가이드라인 역시, 낮은 순응도가 재발에 계속해서 영향을 끼치는 환자라면 장기지속형 주사제로 전환할 것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이렇듯 KMAP 가이드라인에서는 장기지속형 주사제를 치료 단계와는 별개의 독립적인 예외조항으로 정함으로써, 초발 환자에게도 사용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놓았다. 또한 한번 사용하기 시작하면 영원히 주사제를 고집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임상상황의 변화에 따라 융통성 있게 쓸 수 있도록 지적한 점도 눈여겨볼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