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88952113580
· 쪽수 : 600쪽
· 출판일 : 2013-11-25
책 소개
목차
간행사
편집방침
범례
1. 미국
1. 일본공사관의 피습 통보 및 군함파견 요청
2. 花房義質의 長崎 복귀 및 조선 재파견 보고
3. Monocacy 호의 조선파견 건의
4. 미국의 중재 제의
5. 군란의 경과보고 및 왕복문서 송달
6. 吉田淸成의 일본·미국·영국의 협력 제안 보고
7. 大院君 집권 및 明成王后 弑害 풍문 보고
8. Cotton의 조선활동 및 大院君 압송 보고
9. 일본 배상금 요구의 평화적 타결 전망 보고
10. 丁汝昌과의 회견 보고
11. 濟物浦條約 및 朝日修好條規續約 전달
12. 일본 배상 요구의 평화적 타결 보고
13. 總署에서의 배상금 관련 회견 보고
14. 임오군란의 원인 및 수습 경과에 관한 보고
15. 청의 宗主權 주장에 관한 보고
16. 朴泳孝와의 朝美條約 비준 관련 회견 보고
17. 朝淸商民水陸貿易章程 내용 분석
18. Holcombe의 memorandum 송달 및 朝美條約 비준 건의
19. 井上馨의 조선 독립국화 제안
20. 조선 부임 전 추가훈령
21. M?llendorff의 조선 부임 보고
22. 조?청 관계에 대한 의견
23. 조선문제 개입 자제 훈령
24. Foote 공사의 ?浜 도착 보고
25. Foote의 天皇 및 黎庶昌 회견 보고
2. 영국
26. 일본공사관 피습 보고
27. 花房義質의 仁川 退去 및 井上馨의 下關 출장 보고
28. 大院君 집정 보고
29. 군란의 발생 배경 보고
30. 花房義質과 호위군대의 조선파견 보고
31. Wade와 Willes에게 보낸 공문 송달
32. 청국의 조선파병 보고
33. 청국파병에 대한 일본의 반감 보고
34. Flying Fish 호의 조선정세 탐지 보고
35. 井上馨 회담 보고
36. 總署 회담 보고
37. 張樹聲, 羅?祿 회견 보고
38. 청국파병에 대한 일본의 대응
39. Aston의 조선행 보고
40. 花房義質-馬建忠 회담기록 송달
41. 배상금 문제 타결 보고
42. 濟物浦條約 및 朝日修好條規續約 체결 보고
43. 조선 독립 승인에 관한 일본 정부의 관심
44. 조약 체결 및 일본군 주둔에 관한 재보고
45. 濟物浦條約 및 朝日修好條規續約 체결 보고
46. 청의 군란 대처 및 大院君 압송 보고
47. 井上馨 회담 보고
48. 조선 開戰論에 관한 『日日新聞』의 기사 송달
49. 조선의 조약 이행 의사 보고
50. 濟物浦條約·朝日修好條規續約 및 척화비 철거 기사 등 보고
51. 明成王后 생환 등 조선 소식 보고
52. 『日日新聞』·『報知新聞』의 조선 관련 기사 송달
53. 군란 평정 및 조영 관계 정상화 보고
54. 청 황제의 군란 관련 詔勅 송달
55. 수신사 朴泳孝의 일본 도착 보고
56. Aston의 조선 출장 보고서 송달
57. Parkes-閔泳翊 회견 보고
58. 高宗의 咨文 보고
59. 조선 측 사과에 대한 일본 정부의 반응
60. Parkes-閔泳翊·金玉均 회견 보고
61. Aston의 修信使 통역 업무 보고
62. 朝美條約 비준 난항 및 러시아의 조약 체결 움직임 보고
63. 『神?新報』의 조선 관련 기사 및 주한 청군의 규율 보고
64. 조·러 국경 문제 보고
65. 朝淸商民水陸貿易章程 체결 보고
66. 高宗의 포고문 등 보고
67. 朝日修好條規續約 및 비준서 송달
68. 朝淸商民水陸貿易章程에 관한 朴泳孝의 언급 보고
69. 일본의 차관 공여 및 관세 관련 보고
3. 독일
70. 주한 일본공사관 피습
71. 임오군란과 朝獨條約 관련 보고
72. 독일 해군의 군란 대응
73. 군란 진행상황 보고
74. 군란의 진행상황과 청국의 대응
75. 청국함대의 조선파견
76. 동아시아 정세 전달
77. 조선에 대한 일본과 청국의 대응
78. 大院君의 정권 장악과 청국의 출병 준비 보고
79. 청국 野砲의 조선 배치
80. 임오군란 원인분석
81. 임오군란의 원인분석 및 러시아의 입장
82. 李鴻章의 업무 복귀와 조선정책
83. 花房義質의 서울 도착
84. 청국 군대의 牙山灣 상륙
85. 청국 신문의 임오군란 기사 보고
86. 조선에 대한 일본의 요구조건
87. 청국의 조선 관련 신문기사와 李鴻章의 행적
88. 大院君의 天津 도착과 조선 왕실의 상황
89. 청·일 군대의 서울 주둔상황
90. 大院君의 天津 幽閉와 일본의 대응
91. 李鴻章의 天津 복귀
92. 조선정세에 관한 청국 신문기사 보고
93. 濟物浦條約 체결 및 청국의 입장
94. 大院君 압송 및 청국 신문기사 보고
95. 大院君 압송 및 濟物浦條約 내용 보고
96. 일본의 보상 요구에 대한 李鴻章의 입장
97. 조선유생 白樂寬의 척사 상소 보고
98. 大院君과 明成王后의 알력 보고
99. 趙寧夏·金弘集 회담 보고
100. ?本武揚의 청국파견 보고
101. 大院君 幽閉 관련 청국 황제 上諭 등 보고
102. 趙寧夏·金弘集 내방 보고
103. 청국 황제의 칙령에 대한 일본 측 불만
104. 조선상황 보고
105. 高宗의 개혁 의지 및 明成王后 생존 등 보고
106. 明成王后 생존 보고
107. 수신사의 渡日과 國書 전달 보고
108. 淸國의 차관 공여 및 M?llendorff 파견 보고
4. 프랑스
109. 주한 일본공사관 피습 보고
110. 임오군란 발발 보고
111. 임오군란 발발 보고
112. 일본공사관 피습 경위
113. 청국의 개입 및 대일협력 의지 보고
114. 군란 직후 청·일의 군사 조치 보고
115. 프랑스 사절단 호위 함대파견
116. 함대파견 요청에 대한 응답
117. 군란 발발과 일본의 전쟁 준비 보고서 송달
118. 군란 후 일본의 동정
119. 朝佛條約 및 조청 관계에 관한 보고
120. 朝佛條約 협상 중단 통보
121. 군란 사후처리에 관한 일본의 요구
122. 朝佛條約 협상 전권 부여
123. 朝佛條約 협상 재개 의견
124. 濟物浦條約 비준 교환 및 조선 사절단 회담 보고
125. 조선의 독립 인정 문제에 관한 보고
126. 朝佛條約 협상 중단 통보
127. 청군 주둔 문제에 관한 Tricou-井上馨 회담
128. 청국의 조선 개입과 安南 문제
129. 청·조선에서의 치외법권에 관한 天皇 칙령 전달
130. 청국의 조선정책과 安南 문제
131. Aston에게서 입수한 조선정세
132. 조·청 관계의 기원 및 주변 정세 보고
133. 군란 전후 조선과 조?청, 조·일 관계
5. 러시아
134. 임오군란 발발 보고
135. 花房義質-馬建忠 회담 보고
136. 청국의 군사 개입 보고
137. 濟物浦條約 보고
138. 청국의 개입에 대한 일본의 입장 보고
139. 군란 사후처리 및 大院君 被拉 보고
關係資料
1. Robert 문서(Robert Hart Papers)의 임오군란 및 조선 稅關 관련문서
2. Satow 일기(Ernest M. Satow Diaries)의 임오군란 관련문서
3. 일본 외무성의 朝美修好條約 인식에 관한 Parkes 보고서
약어표
문서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