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52116482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15-06-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v
서언 왜 세계화가 종교에 미친 영향에 주목하는가? · 1
1부 세계화와 종교: 개념과 이론
1 세계화에 관한 사회 이론 · 15
2 현대 사회와 종교 · 21
1. 종교(religion)의 개념과 이론 · 21
2. 현대 사회의 구조적 변동과 종교의 변용(變容):
제도적 분화, 권위와 정당성의 위기, 다원주의, 사사화 · 28
3. 근대성(modernity)과 근본주의 · 30
3 세계화와 종교의 관계 · 35
2부 글로벌 사회와 세계 종교 상황
4 이슬람교 · 47
1. 세계화와 이슬람 · 47
2. 이슬람 근본주의 및 부흥운동의 특성과 발흥 원인 · 50
3. 글로벌 시대 이슬람 부흥운동의 사회학적 의미와 미래 전망 · 57
5 기독교 · 63
1. 세계화와 가톨릭 · 63
2. 세계화와 진보적 기독교: 종교적 환경주의와 해방신학 · 66
3. 세계화와 보수적 개신교: 오순절 성령운동 · 71
6 아시아의 종교 · 79
1. 세계화와 힌두교 · 79
2. 세계화와 불교 · 85
3. 세계화와 유교 · 93
4. 글로벌 시대 아시아 종교의 상품화 현상과 사회학적 의미 · 104
7 신종교와 뉴에이지 운동 · 111
1. 세계화와 신(新)종교 · 111
2. 글로벌 종교문화로서 뉴에이지 운동 · 118
3. 뉴에이지 운동의 사회학적 의미 · 127
3부 세계화의 종교적 차원: 주요 쟁점 및 전망
8 글로벌 사회의 근본주의 문제 · 135
1. 9/11 테러사건, 이슬람, 근본주의 · 135
2. 9/11 테러사건 이후 급부상한 한국판 기독교 시온주의 · 141
3. 탈냉전 시대 글로벌 근본주의 출현의 사회학적 의미 · 158
9 포스트모던 문화와 주관적 전환 · 167
1. 세계화의 문화적 영향:
개인의 주관주의화, 종교의 사사화(私事化) · 167
2. 시장 혁명과 영적 혁명의 친화성 · 172
3, 영성에 대한 관심의 부흥 · 179
10 대체 종교로서 생명공학의 대두 · 189
1. 세계화와 생명공학의 친화성 · 191
2. 생명공학의 발전에 대한 주요 종교의 입장 비교 · 197
3. 생명공학 시대 초인간주의 운동의 사회학적 의미와 미래 전망 · 204
결언 글로벌 사회와 종교 변동의 전망 · 211
참고문헌 · 229 / 찾아보기 · 255 / Abstract · 267
저자소개
책속에서
최근에 출현한 정치종교적 이슬람 근본주의의 생성 원인에 대해서 다양한 설명이 제시되고 있다. 우선 정치, 불평등한 발전, 사회 심리적 소외, 급격한 도시화, 도덕적 위기, 현대 사회의 성성(sexuality) 같은 내적 요인을 들 수 있다. 또한 중동이 이스라엘에 거듭 패배한 것과 미국과 서구의 주도적 자유민주주의 국가들이 이스라엘을 전폭적으로 지원한 것이 중요한 외부적 촉발 요인으로 거론되고 있다. 그런데 아프가니스탄, 이란, 파키스탄 및 수단의 근본주의 정권에서 잘 나타나듯이 퇴행적이며 적대적인 이슬람 근본주의 운동의 세계적 출현은 해당 사회의 심층적인 ‘정치적 위기’의 산물로 볼 수 있다(An-Na’im, 1999: 104). 즉, 세속적 정권과 이데올로기들은 해당 사회와 지역에서 그동안 심각한 문제를 가져왔다. 구체적으로, 약 40여 년 전 가말 압델 나세르(Gamal Abdel Nasser) 치하의 이집트로부터 최근까지 사담 후세인(Sadam Hussein) 치하에 있었던 이라크에 이르기까지 세속적 민족주의 프로젝트들은 해당 국가의 국민들에게 말할 수 없는 고통을 주었고, 그들의 국경을 뛰어넘어 다른 국가 국민들의 안전과 복지를 손상시켰다. 이렇듯 1950년대 이래 식민주의 통치로부터 독립되었을 때 공약한 세속적 민족주의 프로젝트들이 뚜렷이 실패하였기 때문에 근본주의적인 정치적 이슬람이 출현했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이슬람 근본주의가 아랍 민족주의를 대체하기 시작하였다(Smart, 1999: 15-16).
오늘날 ‘영성’에 대한 관심이 가장 단단하게 자리 잡은 분야는 이론(異論)의 여지없이 간호학이다. 왜냐하면 이데올로기와 침상의 경험에 기초하여 간호학은 환자의 전적인 요구에 부응하는 데 ‘영적인 돌봄(spiritual care)’이 중요한 부분이라는 것을 인식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노인병 상담자로서 사회복지사들(social workers)과 다른 많은 인간 서비스 전문직에 종사하는 사람들 또한 ‘영성’에 대해서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글로벌 사회에서 이 같은 새로운 흐름이 일어나면서, 인간의 노화와 건강을 이해하는 데 인간 문제에 대한 신학적이고 종교적인 해석이 기존의 의학적, 생물학적 관점과 경쟁적 관점이 아닌 보완적 관점으로 점차 인식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그동안 잊혀졌던 ‘신앙 요인(faith factor)’의 중요성이 신자유주의적 세계화가 가져다준 생명공학 시대의 출현 속에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창가학회는 ‘남묘호렌게쿄(南無妙法蓮華?)’를 반복해서 읊으면 사람들이 숙명의 전환을 이루고, 그것을 이루어낸 회원들로 하여금 자타공리(自他共利)의 사회적 실천을 지향하도록 가르치는 일본 불교계의 신종교이다. 일본 창가학회는 스스로 827만 세대를 자랑하는 일본 최대 종교단체로서, 동시에 정치적으로는 공명당(公明黨)의 창당 모체이다. 그 외에도 일본 창가학회는 창가대학이나 동양철학연구소, 도쿄 후지(富士)미술관, 민주음악협회 등 사회문화 단체도 여러 개 가지고 있다. 특히 창가학회는 일상의 생활영역에서 일반 민중들이 공동선(共同善)으로 생각하는 가치로서의 행복을 여는 ‘대선생활(大善生活)’을 강조한다. 이것이 창가학회의 ‘공적’ 종교성을 잘 보여주는 측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