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88952118455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16-08-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5
제1장 미일동맹 글로벌화와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도입
1. 들어가는 말 18
2.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도입의 역사적 배경 19
3.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도입의 외적 동인 23
4.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도입의 내적 동인 34
5. 맺음말: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과 미일동맹의 미래 39
참고문헌 43
제2장 일본의 위협 인식의 변화와 방위체제의 재정비
1. 들어가는 말 48
2. 중국의 군사적 부상과 일본의 위협 인식 50
3. 미중 간의 전략 경쟁과 일본의 위협 인식 56
4. 동중국해의 영토 문제와 일본의 위협 인식 59
5. 중일 간의 위기관리와 일본의 방위체제 64
6. 맺음말 68
참고문헌 70
제3장 일본 아베 정부의 보통군사국가화 평가
1. 들어가는 말 74
2. 현대 일본 안보체제의 기원과 보통국가로의 변화 76
3. 아베 정부 주도의 안보체제 변화 84
4. 일본 안보체제 변화의 영향과 평가 97
5. 맺음말: 한국의 대응 정책 방향 107
참고문헌 111
제4장 일본 안보법제의 지속성과 변화
1. 2014년 7월의 각의 결정 117
2. 집단적 자위권 행사 관련 논쟁점 121
3. 적기지 공격 능력에 관한 논의 125
4. 맺음말: 지속성과 변화 134
참고문헌 136
제5장 미국과 일본의 안보협력과 한국의 안보전략
1. 들어가는 말 140
2. 미일 안보협력: 미일동맹 강화 및 역할 분담 142
3. 미일 안보협력의 구체화와 한미동맹 154
4. 맺음말: 한국의 안보전략 170
참고문헌 175
제6장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도입과 한국의 대응 방향
1. 한국의 안보적 입지와 일본의 역할 180
2.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해금과 안보법제 정비 182
3. 한반도 유사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 185
4. 동아시아 지역안보에 대한 함의 193
5. 집단적 자위권과 군사기술적 측면 197
6. 한국의 외교안보적 대응 201
참고문헌 208
찾아보기 210
Abstract 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