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91167070340
· 쪽수 : 261쪽
· 출판일 : 2021-12-01
책 소개
목차
서문 지경학의 국제정치: 기원에서 21세기 국가 전략까지
제1장 지경학의 시대—주체/구조와 안보/경제의 수평적 상호작용
I 서론 18
II 개념적 검토 19
III 역사적 고찰 33
IV 결론 41
제2장 세계경제의 네트워크화와 미중 전략 경쟁—복합 지경학의 부상
I 서론: 복합 지경학의 부상 52
II 복합 지경학의 부상 55
III 복합 지경학과 21세기 경제적 통치술: 네트워크 제재와 경제·안보 연계 61
IV 미중 전략 경쟁과 복합 지경학: 미국의 경제적 통치술을 중심으로 67
V 결론 80
제3장 한국의 FTA 전략과 지경학적 상상으로서의 ‘경제영토’
I 들어가며 92
II 문화정치경제학(Cultural Political Economy) 95
III 한국의 새로운 축적 전략, 자유무역협정(FTAs) 99
IV 새로운 지경학적 상상으로서 경제영토 101
V 나가며 112
제4장 중국 지경학의 기원—전한 시대 화친(和親)과 기미(羈縻)
I 서론 126
II 유목사회와 농경사회의 지경학 130
III 천하체계/책봉조공 체제 대 화친/기미 136
IV 한 왕조와 흉노의 화친 145
V 한 왕조와 흉노의 지경학적 타협 155
VI 결론 164
제5장 중국 일대일로, 지경학과 지정학의 상호작용의 딜레마
I 서론 178
II 중국 지전략(地緣戰略, Geostrategy)의 역사적 배경과 특징
III 지경학전략으로서의 일대일로의 등장과 진화
IV 일대일로 진화의 지정학적 도전과 딜레마
V 결론
제6장 일본의 지경학 전략—‘닫힌 지경학’에서 ‘열린 지경학’으로
I 서론 222
II 동아시아 질서 변동과 일본의 지경학 관점 225
III 아베-스가 정부의 지경학 전략: 닫힌 지경학에서 열린 지경학으로 233
IV 결론: 향후 일본의 지경학적 접근 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