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91160401479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18-04-13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 재외공관에서의 생활
총알 날아다니는데 이삿짐 옮겨준 예멘 인부들 - 외교관의 이사
남북 외교관이 소말리아를 함께 탈출하던 날 - 전쟁과 교민 철수
면바지에서 연미복까지 - 외교관의 복장
'암호 못 풀겠다' 보고하자 외교부가 답하기를… - 외교전문과 암호
읽고 읽고 또 읽는 외교관의 하루 - 문서와 자료
그날 일본 기자는 왜 화장실을 들락거렸을까 - 정보 수집의 노하우
2 대통령의 외교
친구로 남기 바란다면 만나지 말라 - 정상회담
그건 통역의 실수? - 통역의 문제
"풍경이고 뭐고 뭘 봤는지 아무 기억도 없대이"- 대통령의 해외순방
정상회담도 식후경 - 외교행사와 요리
3 외교의 속살
역사가 남긴 시, 보도사진 - 외교 현장의 사진 한 장
민심 떠난 외교를 밀어붙이면… - 외교와 여론
오바마는 왜 히로시마 원폭을 사과하지 않았을까 - 국가와 개인
나의 친정, 외교부의 실책을 조사하다 - 위안부 TF 이야기 ①
비공개 합의는 허용되는가 - 위안부 TF 이야기 ②
한국 외교의 과오 - 위안부 TF 이야기 ③
4 협상 막전막후
새벽 1시에 걸려온 전화 - 외교관 '초치'
"한국은 거짓말할 줄 모르잖아요"의 속뜻 - 외교관과 거짓말
"지금 한 얘기는 잊어달라…" - 협상장의 비밀신호
어느 정치학자의 죽음 - 밀약과 비선
하야 선언 하루 만에 번복한 윤보선 - 리걸 마인드
'미스터X'와 다나카의 비밀 대화가 남긴 것 - 대화 채널
레이건을 충격에 빠뜨린 CIA 보고서 - 사실과 오해
5 외교관이라는 직업
워싱턴 스쿨의 진격은 멈추지 않는다 - 외교부 내 '스쿨'
2000명 중 4명, 동독 외교관의 운명 - 통일과 외교관
'외교관의 꽃'은 역시 대사 - 대사라는 자리
하루아침에 외교관이 된 사람들 - 직업외교관 대 비전문가
세계 초일류 외교관을 키우려면 - 외교부의 조직문화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나는 1997년부터 1999년 초까지 김영삼 대통령과 김대중 대통령의 일본어 통역을 담당했다. 대학에서의 전공은 법학이었으니 정식으로 일본어를 전공한 것은 아니었고 외교부에 들어온 뒤에 해외연수를 가서 뒤늦게 일본어를 배웠다. 동시통역 전공자들처럼 전문적인 통역 훈련을 받지 않았는데도 독학으로 대통령 통역까지 했다는 데 조그만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
1998년 10월 김대중 대통령이 일본을 국빈 방문했을 때의 일화가 기억에 남는다. 정상회담과 공식만찬을 비롯해 도쿄에서 예정된 행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나머지 행사를 위해서 오사카로 떠났다. 공항에서 오사카 시내로 들어가는 자동차 안에서 나는 대통령 내외분의 앞자리 조수석에 앉았다. 김 대통령은 내게 통역하느라 수고했다면서, 내용을 빠뜨리지 않고 잘했는데 일본어 어휘가 조금 부족한 것 같다고 덧붙였다. 자신은 감옥에 있을 때 일본 소설책을 많이 읽었다면서 어휘를 늘리려면 소설책을 읽는 게 도움이 된다고 조언해주었다. 내가 뒤늦게 배운 일본어 통역이 그분들이 보기에는 얼마나 허술했을지 지금 생각해봐도 얼굴이 화끈거린다.
김영삼 대통령이 퇴임 후 몇 년이 지나서 가족과 함께 샌프란시스코를 방문한 적이 있다. 그때 나는 그곳의 총영사관에 근무하고 있었다. (…) 수행원들과의 편안한 식사 자리에서 누군가가 대통령 재임 중에 해외순방도 많았고 좋은 곳에도 많이 가보셨을 텐데 어디가 제일 기억에 남느냐고 질문을 했다. 김 전 대통령은 비행기로 현지에 도착하면 정해진 대로 차 타고 가서 회담하고 연설하고 다시 호텔로 차 타고 돌아오는 쳇바퀴 같은 일정인데, 어디 가서 뭘 봤는지 그 나라 풍경은 어땠는지 그런 것들은 전혀 기억이 없다고 털어놓았다. 정상회담에서 어떻게 대응할지, 연설 때 어떻게 분위기를 잡을지, 다음 일정은 무엇이 핵심인지 이런 것들을 생각해야 했으니 모터케이드로 이동하면서 창밖으로 보이는 풍경조차 눈에 들어오지 않았으리라.
의원내각제의 일본은 전통적으로 관료집단의 힘이 굉장히 강하다. 특히 외교 문제에서 총리나 외상은 외무성 관료들이 작성해준 원고를 그대로 읽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고이즈미는 달랐다. 관료들의 신중론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매년 야스쿠니신사 참배를 고집한 사실에서도 보듯이 자기 의견이 강했다. 외교행사에서도 외무성이 써준 원고는 어디까지나 참고자료일 뿐이고 실제 발언 내용은 총리가 직접 결정한다는 것이었다. 아마도 애초에 일본 외무성은 자기들이 만든 발언 원고를 총리실이 그대로 수용해줄 것으로 생각하고 한국 쪽과 협의했는데, 나중에 총리실에 보고하는 과정에서 생각대로 되지 않았던 모양이다. 그러다보니 한국 쪽에 사정을 다시 설명하기가 난처해진 것이다. (…) 그런데 총리실 핑계를 대는 대신에 자신의 설명 능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라니, 설사 그것이 거짓말일지라도 그 사람을 비난할 수는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거짓말을 하더라도 이런 종류라면 조금 품위가 있어 보인다고나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