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임상의학 > 소아과
· ISBN : 9788952129420
· 쪽수 : 840쪽
· 출판일 : 2021-08-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총론
01 소아 호흡기 감염 개요
02 소아 호흡기 감염의 미생물학적 진단
제2부 증후군
03 감기
04 인두염
05 중이염
06 부비동염
07 크룹
08 세기관지염
09 지역사회 획득 폐렴
10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11 면역저하자에서의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제3부 원인병원체: 바이러스
12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13 사람 아데노바이러스
14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15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16 사람 메타뉴모바이러스
17 사람 코로나바이러스
18 사람 리노바이러스
19 사람 보카바이러스
20 엔테로바이러스
21 홍역 바이러스
제4부 원인병원체: 세균
22 고름사슬알균
23 폐렴사슬알균
24 인플루엔자균
25 폐렴마이코플라스마
26 백일해균
27 클라미디아
찾아보기
책속에서
세계보건기구의 1981년 추정치에 의하면 전 세계적으로 400만 명의 5세 미만 소아가 급성 호흡기 감염으로 인해 사망하며, 이는 이 연령군 소아 1,500만 명 사망원인의 27%를 차지한다(Leowski, 1986). 이러한 사망의 90%는 개발도상국에서 일어나며, 개발도상국에서는 5세 미만 소아가 인구의 15%를 차지하나 모든 사망의 50%는 이 연령군에서 일어난다. 개발도상국에서는 설사 질환, 영양결핍과 함께 급성 호흡기 감염이 소아 사망의 주요 원인이다. 세계보건기구에서 의미하는 급성 호흡기 감염 관련 사망은 결핵, 디프테리아, 백일해, 홍역, 중이염, 상기도 감염, 기타 호흡기 질환, 급성 기관지염과 세기관지염, 폐렴, 인플루엔자 및 늑막염 등에 의한 사망이 포함되며(Leowski, 1986), 이 중 폐렴이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는 전 세계적으로 영아와 어린 소아에서 바이러스 하기도 감염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면역기능이 억제된 성인 및 고령자에서 중요한 병원체가 된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고령자에서 인플루엔자 유행 후에 호흡기 질환에 의한 입원과 사망 환자가 증가하듯이 RSV 유행 시에도 그에 버금가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보고들이 있다. 또한 건강한 성인에서 발생하는 지역사회 획득 폐렴의 원인으로 폐렴사슬알균, 인플루엔자에 이어 세 번째를 차지하는 보고가 있다(Dowell et al., 1996).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HA 및 NA 단백의 항원성의 차이를 기초로 아형을 분류한다.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H’를 사용하여 HA 아형을, ‘N’을 사용하여 NA 아형을 표시한다. 지금까지 자연계에 18개의 HA 아형과 11개의 NA 아형이 발견되었으며, HA17, HA18, NA10, NA11 아형은 현재까지는 박쥐에서만 발견되었다(Tong et al., 2013). 2013년까지 NA 아형은 총 9개가 있었으며, 유전적 계통분석상 1군(N1, N4, N5, N8)과 2군(N2, N3, N6, N7, N9)으로 나뉘었다. NA 2군은 뉴라미니다아제 억제제에 대한 저항성을 유발할 가능성이 1군보다 낮다고 알려졌다. 최근 박쥐에서 발견된 NA10과 NA11은 기존의 아홉 가지 NA 아형과는 유전적 거리가 멀어 유전적 계통상 별도의 계열(lineage)을 이루는 것이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