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수학 > 수학 일반
· ISBN : 9788952204097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05-07-20
책 소개
목차
Part1 수학이 재미없다고?
1. 수학, 정말 재미없는가?_사고력의 발전 단계
2. 수학, 왜 해도 안 될까?_수학 교육 내용과 이미지 학습
Part2 잠들어있는 오른쪽 뇌를 깨워라
3. 걔가 수학으로 명문대 갔다고?_이미지 수학의 혁명
4. 잘못된 공부법 머리 망친다_반복 고립된 학습은 창조적 사고력을 마비시킨다
5. 개념(Dog Idea)이 죽어야 개념이 산다_개념의 재정립
6. 껍데기 논리는 가라!_논리를 이미지화하라
7. 논술형은 고수의 지름길_논술형학습의 본질과 방법
8. 선행학습 함부로 하지 마라_잘못된 선행학습은 아이를 망친다
9. 심화학습을 하라_한번 잘하면 영원히 잘한다
10. 무조건 푼다고 될 일이 아니다_적은 문제로 고수가 된다
11. 오류가 갇힌 진리보다 낫다_유추는 창의력의 원동력
Part3 실전! 나만의 특별한 수학공부
12. 이미지 수학이란 무엇인가?_이미지 수학 문제
13. 수학공부 이렇게 하라_학년별 수학공부 방법
글을 마치며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만약 초등학생에게 선행학습을 시켜서 함수를 가르친다고 생각해보자. 초등학생은 함수의 뜻과 개념을 이해하고 알 수 있다. 그러나 함수에 관련된 문제들을 풀기엔 아직 사고력이 성숙되어 있지 못하다. 결국 초등학생은 함수를 단순 암기하게 되고 관련 문제도 고립된 지식으로 기억하게 된다.
시냅스의 거대한 연결망에 자연스럽게 기억되는 것이 아니라 고립된 특정 시냅스에만 단순 반복 연결될 뿐이다. 초등학생이 함수도 이해한다고 하면 부모나 선생이 보기엔 꽤 수학적으로 똘똘해보일 수 있지만 창의력 사고력이 없난 겉만 번지르르한 헛 똑똑이일 뿐이다.
지금 대부분 선행학습은 왼쪽 뇌 중심의 교육이기 때문에 단순 암기, 계산 등에 치우쳐져서 창의적 사고의 융통성이 결여되게 된다. 사고력이 따라가지 못하는 상태에서 새로운 개념을 배움으로써 상상력, 직관적 창의성이 개발되지 못하고 수학을 단순한 암산, 암기로 생각하여 응용해서 해결해야 하는 문제를 풀지 못하게 된다. 결국 잘못된 선행학습은 아이를 바보로 만든다. - 본문 132~133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