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어떻게 일본 과학은 노벨상을 탔는가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88952213297
· 쪽수 : 96쪽
· 출판일 : 2010-01-28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88952213297
· 쪽수 : 96쪽
· 출판일 : 2010-01-28
책 소개
일본 과학은 노벨상을 타는데 우리는 왜 그러지 못할까? 이 책은 노벨상을 수상한 일본 과학자들을 소개하며, 근대 이후 일본 과학이 걸어온 길을 정리했다. 이를 통해 저자는 노벨상 자체가 목표가 될 수 없음을 말하면서, 독자로 하여금 우리 과학이 어떤 방향으로 나가야 할 것인지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목차
노벨상이라는 창문을 통해 일본의 과학 전통 들여다보기
물속에 잠긴 빙산: 노벨상에 추천된 일본의 과학자들
전쟁과 평화 사이에서: 소립자 무리학의 계보
과학자와 국경
‘주변부’의 과학자들
노벨상에 대한 집착을 넘어서
저자소개
책속에서
스즈키가 ‘오리자닌’이라고 이름 붙인 물질은 현재는 비타민 B1으로 알려져 있는 영양소이다. 바꿔 말하면 스즈키의 각기병 연구는 비타민이라는 새로운 영양소를 발견해 가는 과정이기도 했던 것이다. 이에 따라 일본에서는 흔히 스즈키를 ‘비타민의 발견자’라고 부르곤 한다.
나가오카가 노벨상 후보로 일본인 물리학자를 처음으로 추천한 것은 1940년의 일이었고, 여기서도 나가오카가 추천한 후보 모두가 노벨상을 수상한다는 법칙은 깨지지 않았다. 나가오카로부터 추천을 받은 것은 유카와 히데키였고, 그가 결국 1949년에 일본인으로서는 최초로 노벨상을 수상하게 된다.
과학사학자 오카모토 다쿠지는 소립자 물리학이야말로 과학의 여러 분야 중에서 일본 과학자들의 공헌이 가장 눈에 띄는 분야가 아닐까 하는 의견을 내놓은 바 있다. 이는 뒤집어 말하면 일본의 소립자 물리학 분야가 일찍부터 자립적인 연구 전통을 확립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도 할 수 있다. 노벨상 수상식에 참석하기까지 여권조차 지니고 있지 않았던 마스카와의 경우는 그 상징적인 예일 것이다.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