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88952243010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21-06-11
책 소개
목차
인트로: 주식은 종합 예술이다. 인문학을 알아야 하는 이유
1장. 역사는 투자의 길을 알고 있다
- 한니발 : 알프스 산맥을 넘어 로마를 공격한 역발상 전략가
- 로마 :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인프라 투자의 중요성
- 적벽대전 : 빈 배를 띄워 화살 10만개를 얻다
- 제갈량 : 왜 북벌을 강행해야 했을까?
- 사마의 : 그는 왜 여자 옷을 입었을까?
- 몽골 : 수부타이의 유럽 격파 전략
- 루터 : 종교개혁과 유튜브의 성공
2장. 예술에서 영감을 받은 투자 아이디어
- 칸딘스키 : 선이 만나면 점이 되고, 점은 돈이 된다
- 피카소 : 입체 투자를 생각하다
- 루벤스 : 미술도 분업이 된다고?
- 라파엘로 : 틈새전략으로 피렌체를 흔들다
- 안나 카레니나 : 정체성의 혼란이 만든 비극
- 샤넬 : 예술을 콜라보하라
- 구찌 : 다음 세대를 바라본 파격적인 디자인
3장. 철학에서 유망업종을 찾다
- 플라톤 : 철인 통치론과 중국의 경제발전
- 애덤 스미스 : 국부론과 보이지 않는 손
- 군주론 : 마키아벨리와 조조가 생각한 리더
- 스타벅스 : 이름과 로고의 비밀
- 애플 : 생태계와 승자독식
- 에르메스 : 대량생산에 맞선 느림의 미학
4장. 지리와 공간에서 투자의 해답을 찾다
- 판옵티콘 : 고층, 복층을 좋아하는 이유
- 메디나 : 역사가 도시 모양을 만든다
- 휴식 : 스타벅스는 왜 편안할까?
- 시간 : 속도는 공간을 압축한다
- 세금 : 기형적인 주택을 만들어낸 세금
5장. 투자자에게 영감을 주는 영화
- 빅쇼트 : 폭락의 징조와 공포를 견디는 법
- 명량 : 12척의 배로 133척과 싸우려면
- 터미네이터 & 킹스맨 : 우리가 두려워 하는 것
- 에비타 : 아르헨티나의 두 얼굴
- 라스트 사무라이 : 마지막 가치투자자 워런 버핏
- 대부 : 거절 못할 제안을 하겠네
6장. 여행에서 돈을 보다
- 영국 : 애프터눈 티와 도자기 산업의 발달
- 태국 : 팟타이와 짜장면의 공통점
- 랜드마크 : 남산에 한옥호텔이 생기면
- 카지노 : 누구도 돈을 벌어 나갈 수 없다
- 카페 : 낡은 것의 미학, 도시재생 그리고 젠트리피케이션
- 바다 : 강원도는 제2의 제주도가 될 수 있을까?
- 투자여행 : 해외여행 가서 현지 주식 투자하기
7장. 스포츠 인문학으로 보는 투자의 지혜
- 야구 1 : 누구에게나 3번의 기회가 온다
- 야구 2 : 변칙 수비 시프트에서 투자 아이디어 찾기
- 농구 : 3점슛을 자주 던지지 않는 이유
- 축구 : 인생을 오버래핑 하자
- 쇼트트랙 : 꼴찌로 달리면 보이는 것들
- 감독 : 히딩크의 리더십과 CEO의 중요성
8장. 투자는 심리다
- 낙오 : 모두가 돈을 잃을 때 편안함을 느끼는 이유
- 사랑 : 연인에게 다이아몬드를, 아버님 댁에 보일러를
- 탐욕 : 대항해시대와 튤립버블의 교훈
- 판단 : 인간의 뇌는 투자를 방해한다
- 도박 : 좋은 도박과 나쁜 도박
- 성악설 : X이론과 경제학
아웃트로: 삶 자체가 인문학이고 투자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전투가 길어지면서 로마를 이기지는 못했지만 한니발의 전 쟁 이야기는 우리에게 많은 영감을 준다. 한 명의 뛰어난 장군이 불리한 상황에서 당대 최고의 국가를 상대로 싸워 큰 승리를 연속으로 거둔 사실은 지금의 우리에게도 많은 것을 의미한다. 1위를 차지한 대기업도 영민하게 사업을 하지 못하면 후발주자에게 시장을 뺏길 수 있다는 사실도 알려준다. 수십 년간 전성기를 누렸던 인텔이라는 제국이 리사 수가 이끄는 AMD에 밀리기 시작했다. 휴대폰의 노키아 도 경종을 울리는 사례다. 노키아는 2007년까지 세계시장 50%를 차지하는 휴대폰 독점기업이었다. 하지만 스마트폰을 내세운 후발주자 들이 시장을 다 삼켜버렸고 노키아 제국은 무너졌다.
_한니발 : 알프스 산맥을 넘어 로마를 공격한 역발상 전략가
루터는 죽음을 무릅쓰고 권력화된 종교와 싸웠고 이는 나비효과 가 되어 집중된 권력을 해체 시켰다. 해체 과정에서 부와 권력이 새로운 계층으로 흘렀고 신흥부자와 신흥권력이 탄생하게 된다. 그 부 와 권력을 갖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은 여러 계층을 자극했고 과학, 정치, 경제의 발전을 가져다주었다. 근대에서 현대로 넘어오면서 권력은 더 세분화되었다. 이제는 권력이 교황과 왕이 아닌 국민에게 있다. 사상과 문화도 다양하게 넓혀졌 고 포스트모더니즘이라고 불리는 시대는 개별성, 다양성으로 정의된다. 투자자는 이 흐름을 알아야 돈이 어디로 흐르는지 알 수 있다. 또 하나, 방송국은 한 때 권력의 상징이었다. 방송은 쌍방향이 아닌 한쪽 방향으로 전달된다. 시청자는 반대로 서로의 의견을 교류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방송을 장악한 자는 힘을 가졌고 권력은 방송과 언론을 탐냈다. 처음에는 몇 개의 방송국이 그 권력을 누렸으나 방송국의 수가 늘어나면서 방송의 권력은 다소 약해졌다. 그래도 방송국 의 힘은 위세를 떨쳤다. 하지만 유튜브의 등장은 방송국을 결정적으로 무너뜨렸다. 유튜브 는 개인이 방송국이 되고 서로가 소통하며 영향을 주고받는다. 이보다 더 쪼개질 수 없을 정도로 세분화되어 시청자가 원하는 소통을 자유롭게 이뤄주고 있다.
루터 : 종교개혁과 유튜브의 성공
행복이 밖에 있지 않고 안에 있듯이 부도 멀리 있지 않다. 우리는 미디어에서 보여지 는 엄청난 부자들을 꿈꾼다. 하지만 그런 사람들은 대한민국 국민의 0.1%이다. 1,000명 중에 1명의 삶을 동경하며 지금의 나를 불행으로 몰지 않았으면 좋겠다. 부라는 것은 절대적이지 않고 상대적이다. 모두가 가난할 때는 밥 을 굶지 않는 것이 부자의 기준이었고, 집이 있는 것이 부자였다. 이 후에는 아파트에 살면 부자라고 불렀고 외제차가 있는 집을 부자라 고 불렀다. 하지만 이제는 이들을 부자라고 부르지 않는다. 우리의 절대적인 삶의 수준은 상승하고 있지만 우리는 남과 비교 해서 우월해야 부자라고 생각을 한다. 공부도, 결혼도, 자녀도, 재산도 모두 남과 비교해서 많아야 안심을 하는데 이런 게임에서는 항상 불행할 수밖에 없다.
_안나 카레니나 : 정체성의 혼란이 만든 비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