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작가론
· ISBN : 9788954101363
· 쪽수 : 338쪽
· 출판일 : 2003-11-20
목차
제1부 서정주 시의 시적 환상과 미의식 Ⅰ. 의식과 환상 13 1. 미당을 문제삼는 까닭 13 2. 미당 시의 쟁점 18 3. 시적 환상의 이론적 모형 31 Ⅱ. 극복 대상으로서의 '죽음 환상' 61 1. '시인부락'의 출발과 초기 지향성 63 2. 「자화상」에 드러난 시적 환상 70 3. 죽음 환상의 반복 82 4. 죽음 환상의 극복으로서 관능 탐구 97 5. 성적 관능에서 모성성으로의 회귀 116 Ⅲ. 지향 대상으로서의 '모성 환상' 131 1. 모성성의 기원 133 2. '네名의 소녀'와 모성 환상의 출현 151 3. 모성적 역할에 대한 자각과 경사 158 4. 여성 인물의 신성화와 모성성의 심화 178 5. 무교(巫敎)와 보살핌의 세계 192 Ⅳ. 죽음-모성 환상의 시적 기능과 미의식 201 1. 막힘의 언어, 풀림의 언어 203 2. 대립과 통합의 구성 원리 220 3. 모성 우위의 미의식 235 Ⅴ. 시적 환상과 시적 언어 249제2부 Ⅰ. 『花蛇集』 나타난 '피'의 상징성 261 1. 『화사집』이 놓인 위치 261 2. 에로티즘의 표상 264 3. 죽음 충동과 살해 욕망의 대상 269 4. 죄의식의 원천 275 5. 맺음말 283 Ⅱ. 미당 시의 변모 과정과 '죄의식' 285 1. 머리말 285 2. 『화사집』에서 『귀촉도』로 289 3. 亡者의 세계 『귀촉도』 291 4. '아버지의 죽음'과 죄의식의 관계 297 5. 정신주의와 영원성의 이면 305 Ⅲ. 미당 시의 천상 지향성 307 1. 머리말 307 2. 금제의 주체 ; 「花蛇」의 '하늘' 310 3. 복종의 대상 ; 「歸蜀道」의 '하늘' 317 4. 화해의 장소 ; 「冬天」의 '하늘' 323 5. 맺음말 326찾아보기 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