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정본 백석 시집

정본 백석 시집

(개정판)

백석 (지은이), 고형진 (엮은이)
문학동네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14,400원 -10% 2,500원
0원
16,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4개 8,3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정본 백석 시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정본 백석 시집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88954670319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0-01-30

책 소개

2007년 출간된 이래 백석 시의 가장 신뢰할 만한 정본으로 자리매김한 <정본 백석 시집> 개정판. 고형진 교수는 그간 축적된 연구 성과를 반영해 정본의 표기와 어휘 풀이를 더욱 정확하게 다듬고, 초판 출간 이후 새로 발견된 백석의 시 '머리카락'을 보태 보다 완전한 백석 시의 정본을 확립했다.

목차

책머리에
일러두기

1부 사슴

정주성定州城
산지山地
주막酒幕

나와 지렝이
여우난골족族
통영統營
흰밤
고야古夜
가즈랑집
고방
모닥불
오리 망아지 토끼
초동일初冬日
하답夏畓
적경寂境
미명계未明界
성외城外
추일산조秋日山朝
광원曠原
청시靑柿
산山비
쓸쓸한 길
석류石榴
머루밤
여승女僧
수라修羅
노루
절간의 소 이야기
오금덩이라는 곳
시기柿崎의 바다
창의문외彰義門外
정문촌旌門村
여우난골
삼방三防

2부 함주시초咸州詩抄

통영統營
오리
연자간
황일黃日
탕약湯藥
이두국주가도伊豆國湊街道
창원도昌原道—남행시초南行詩抄 1
통영統營—남행시초南行詩抄 2
고성가도固城街道—남행시초南行詩抄 3
삼천포三千浦—남행시초南行詩抄 4
함주시초咸州詩抄
북관北關
노루
고사古寺
선우사膳友辭
산곡山谷
바다
추야일경秋夜一景
산중음山中吟
산숙山宿
향악饗樂
야반夜半
백화白樺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석양夕陽
고향故鄕
절망絶望

외갓집
내가 생각하는 것은
내가 이렇게 외면하고
물닭의 소리
삼호三湖
물계리物界里
대산동大山洞
남향南鄕
야우소회夜雨小懷
꼴두기
가무래기의 낙樂
멧새 소리
박각시 오는 저녁
넘언집 범 같은 노큰마니
동뇨부童尿賦
안동安東
함남도안咸南道安
구장로球塲路—서행시초西行詩抄 1
북신北新—서행시초西行詩抄 2
팔원八院—서행시초西行詩抄 3
월림月林장—서행시초西行詩抄 4
목구木具

3부 흰 바람벽이 있어

수박씨, 호박씨
북방北方에서—정현웅鄭玄雄에게
허준許俊
『호박꽃 초롱』서시序詩
귀농歸農
국수
흰 바람벽이 있어
촌에서 온 아이
조당澡塘에서
두보杜甫나 이백李白같이
머리카락
산山
적막강산
마을은 맨천 구신이 돼서
칠월七月 백중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南新義州柳洞朴時逢方

원본

定州城
山地
酒幕

나와 지렝이
여우난곬族
統營
힌밤
古夜
가즈랑집
고방
모닥불
오리 망아지 토끼
初冬日
夏畓
寂境
未明界
城外
秋日山朝
曠原
靑柿
山비
쓸쓸한길
柘榴
머루밤
女僧
修羅
노루
절간의소이야기
오금덩이라는곧
柿崎의 바다
彰義門外
旌門村
여우난곬
三防
統營
오리
연자ㅅ간
黃日
湯藥
伊豆國湊街道
南行詩抄(一) 昌原道
南行詩抄(二) 統營
南行詩抄(三) 固城街道
南行詩抄(四) 三千浦
咸州詩抄
北關
노루
古寺
膳友辭
山谷
바다
秋夜一景
山中吟
山宿
饗樂
夜半
白樺
나와 나타샤와 힌당나귀
夕陽
故鄕
絶望

외가집
내가생각하는것은
내가이렇게외면하고
물닭의소리
三湖
物界里
大山洞
南鄕
夜雨小懷
꼴두기
가무래기의 樂
멧새소리
박각시 오는 저녁
넘언집 범같은 노큰마니
童尿賦
安東
咸南道安
西行詩抄(一) 球塲路
西行詩抄(二) 北新
西行詩抄(三) 八院
西行詩抄(四) 月林장
木具
수박씨, 호박씨
北方에서—鄭玄雄에게
許俊
「호박꽃초롱」序詩
歸農
국수
힌 바람벽이 있어
촌에서 온 아이
澡塘에서
杜甫나李白같이
머리카락

적막강산
마을은 맨천 구신이 돼서
七月백중
南新義州柳洞朴時逢方

백석의 시세계와 시사적 의의
백석 시 원본의 언어와 표기법, 그리고 정본의 원칙
백석 시 작품 연보
백석 연보
낱말 풀이 참고서지

저자소개

백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白石, 1912~1996) 시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시인, 가장 토속적인 언어를 구사하는 모더니스트로 평가받는 백석은, 1912년 평안북도 정주에서 태어나 오산학교와 일본 도쿄의 아오야마 학원 영어사범과를 졸업했다. 1934년 조선일보사에 입사했고, 1935년 『조광』 창간에 참여했으며, 같은 해 8월 『조선일보』에 시 「정주성定州城」을 발표하면서 등단했다. 함흥 영생고보 영어교사, 『여성』지 편집 주간, 만주국 국무원 경제부 직원, 만주 안둥 세관 직원 등으로 일하면서 시를 썼다. 1945년 해방을 맞아 고향 정주로 돌아왔고, 1947년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 외국문학분과 위원이 되어 이때부터 러시아 문학 번역에 매진했다. 이 외에 조선작가동맹 기관지 『문학신문』 편집위원, 『아동문학』과 『조쏘문화』 편집위원으로 활동했다. 1957년 발표한 일련의 동시로 격렬한 비판을 받게 되면서 이후 창작과 번역 등 대부분의 문학적 활동을 중단했다. 1959년 양강도 삼수군 관평리의 국영협동조합 축산반에서 양을 치는 일을 맡으면서 청소년들에게 시 창작을 지도하고 농촌 체험을 담은 시들을 발표했으나, 1962년 북한 문화계에 복고주의에 대한 비판이 거세게 일어나면서 창작 활동을 접었다. 1996년 삼수군 관평리에서 생을 마감했다. 시집으로 『사슴』(1936)이 있으며, 대표 작품으로 「여우난골족」,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국수」, 「흰 바람벽이 있어」 등이 있다. 북한에서 나즘 히크메트의 시 외에도 푸슈킨, 레르몬토프, 이사콥스키, 니콜라이 티호노프, 드미트리 굴리아 등의 시를 옮겼다.
펼치기
고형진 (엮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와 동 대학원 국문학과 졸업. 저서 『시인의 샘』 『또 하나의 실재』 『현대시의 서사지향성과 미적 구조』 『백석 시 바로 읽기』 『백석 시를 읽는다는 것』 『백석 시의 물명고: 백석 시어 분류 사전』 『박용래 평전』 등, 편저 『정본 백석 시집』 『정본 백석 소설·수필』 『박용래 시 전집』 『박용래 산문 전집』 등. UC버클리 객원교수 역임. 현재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2024년 3월부터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2001년 김달진 문학상 수상.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