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재테크/투자 일반
· ISBN : 9788954756419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0-12-24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위기의 패턴을 읽는 순간 마이너스 손에게도 기회가 찾아온다
1부 위기의 패턴 - 한국을 뒤흔든 다섯 번의 위기
1장 1998년 - IMF 외환위기와 신자유주의의 도래
위기 속 새로운 트렌드 - 알뜰하게 저축하면 부자 되는 시대의 종말 36
2장 2003 ? IT 버블과 지식 기반 경제
위기 속 새로운 트렌드 - 더욱 거세진 재테크 열풍 60
3장 2008년 - 글로벌 금융위기의 공포
위기 속 새로운 트렌드 - 중요한 것은 가성비
4장 2015년 - 사스부터 신종플루, 메르스까지 전염병의 습격
위기 속 새로운 트렌드 - 온라인 플랫폼의 성장
5장 2020년 - 코로나19의 대유행과 변화하는 현실 세계
위기 속 새로운 트렌드 - 90년대생이 온다
2부 기회의 패턴 - 코로나19 전후 펼쳐질 기회
6장 위기 속 기회는 어디서 오는가
7장 투자의 기본기
8장 코로나19 이후 주목받을 분야
9장 부동산, 언제까지 이렇게 갈 수 있을까
10장 금융투자, 예측을 뛰어넘는 전개
11장 창업, 그래도 기회는 있다
12장 위기의 시대일수록 빚에 신경 써라
13장 자신만의 돈 버는 패턴을 만들어라
에필로그 - 이제 돈을 벌 주인공은 바로 당신이다
주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사람들은 갑작스럽게 위기가 찾아오면 좌절하고 주저앉는다. 그러나 위기는 기존의 질서를 파괴하면서 새로운 기회를 제공한다. 위기의 패턴에는 그에 상응하는 기회의 패턴도 있다는 사실을 기억한다면 위기 앞에서 좌절하기보다는 적극적으로 기회를 찾고 이를 통해 부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전의 위기가 왜 생겨났고, 어떻게 전개되었으며 사람들은 어떻게 행동했는가를 관찰할 필요가 있다.
여러 가지 요인을 종합해서 과연 한국의 주택시장이 언제까지나 오를지를 생각해보면 지금과 같은 추세를 유지하는 것은 길어야 5년 정도로 보인다. 다만 하락이 오더라도 폭락 사태가 벌어질 가능성은 낮으며, 조정을 거쳐 하향 안정으로 가게 될 것으로 보인다.
주식시장을 보면 2020년 6월부터 9월까지는 흥분의 시간으로 많은 사람이 주식시장에 뛰어들었다. 하지만 뒤집어 생각하면 이때가 제일 위험했다. 1999년에 IT 붐이 일었을 때 흥분의 시간은 대략 6개월이었다. 그때는 사기만 하면 무조건 올랐으니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이런 흥분의 시간에는 상황의 변화를 잘 관찰해야 한다. IT 버블이 일었을 때도 처음에는 정부도 IT를 적극적으로 지원했지만 시간이 지나 부작용들이 커지자 규제에 나섰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코로나19에 따른 위기 극복을 위해 막대한 재정을 풀었지만 미국처럼 돈을 찍어낼 수 없어 재정 확대에 한계가 있다. 그 위에 대주주 요건 강화와 같은 이슈들도 잠복해 있다. 투자 거품이 커지면 정부의 정책이 돌아서는 때가 온다. 흥분에 빠지기보다는 그때를 놓치지 않도록 상황을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