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연극 > 연극사/연극.희극론/연극비평
· ISBN : 9788955068306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0-08-3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 7
제1부 연극 연출과 리듬·템포
제1장 장면 연출과 리듬·템포 1 • 17
1. 들어가는 글 • 17
2. 리듬과 템포의 정의 • 19
3. 한 장면에서 리듬과 템포를 결정짓는 요소들 • 24
4. 한 장면과 전체 장면 사이의 상관관계에서의 리듬과 템포 • 33
5. 나가는 글 • 35
제2장 장면 연출과 리듬·템포 2 • 37
1. 들어가는 글 • 37
2. 장면 연출과 리듬·템포의 내적, 외적 상관관계 • 40
3. 한 장면의 내적 리듬과 템포 • 44
4. 한 장면의 외적 리듬과 템포 • 48
5. 통합기능으로서의 리듬과 템포, 인위적 통제 가능성 • 51
6. 나가는 글 • 54
제2부 장면의 시·공간과 리듬·템포
제1장 장면 연출과 시·공간의 조성: 장면 연출의 지향점과 리듬을 중심으로 • 59
1. 들어가는 글 • 59
2. 장면 연출의 여러 지향점들 • 63
2.1. 가능태를 향한 전경의 창조 • 63
2.2. 일상을 초월한 비일상적 대상의 창조 • 65
2.3. 관객의 심상의 창조 • 66
3. 장면 연출에 있어서 연출과 관객의 상호성 • 68
4. 장면 연출의 지향점으로서의 리듬 • 72
4.1. 모방 대상으로서의 현실의 추상성 • 72
4.2. 추상적 일상의 표현도구로서의 리듬의 발견과 창조 • 75
5. 나가는 글 • 80
제2장 장면 연출과 리듬·템포: 장소(place)와 장면(scene)의 고정성을 중심으로 • 83
1. 들어가는 글 • 83
2. 장면 연출: 시간의 흐름 속에서의 공간(place, stage, scene)의 고정성과 이중성 • 86
3. 장면 연출과 고정성·다변성의 상관관계 • 90
4. 장면구성요소의 활용을 통한 리듬·템포의 창조 • 94
4.1. 등장인물의 등·퇴장: 장면 안과 장면 사이 • 95
4.2. 장소(장면) 분할과 병치 • 100
4.3. 등장인물의 행동과 대사의 속도, 강약, 장단고저 • 101
4.4. 기술적 수단들의 변화: 무대, 조명, 의상, 음향 • 104
4.5. 내용과 상황의 변화 • 106
4.6. 단락의 구분과 장면들 간의 충돌: 장면 사이의 연결과 암전 • 109
5. 나가는 글 • 111
제3장 장면 연출과 시·공간의 리듬 • 114
1. 들어가는 글 • 114
2. 장면 연출의 시·공간적 특성 • 119
3. 시·공간의 가시성과 비가시성 • 125
4. 시·공간의 창출과 리듬 • 129
5. 나가는 글 • 135
제3부 장면 연출과 행위현장
제1장 장면 연출과 행위현장: 장면 연출의 추상성과 시뮬라시옹을 중심으로 • 139
1. 들어가는 글 • 139
2. 모방충동과 추상충동 • 146
3. 장면 연출의 새로운 지향점 • 151
3.1. 추상과 시뮬라크르(Simulacres) • 151
3.2. 장면의 평면성과 원본 없는 상사성의 의미 • 154
4. 행위현장에서의 관객의 투사와 장면 연출의 상호 생성성 • 160
5. 나가는 글 • 168
제2장 장면 연출의 추상적 평면화 • 171
1. 들어가는 글 • 171
2. 모방의 입체성과 추상의 평면성 • 173
3. 추상적 평면화의 무대 실천 • 178
3.1. 형식적 측면 • 178
3.2. 내용적 측면 • 182
4. 추상적 평면화와 행위현장 • 187
5. 나가는 글 • 192
제4부 장면의 생성성과 수행성
제1장 재현적 연기와 시뮬라크르적 연기 • 197
1. 들어가는 글 • 197
2. 모방과 연기 • 201
3. 스타니슬랍스키의 ‘진실의 감각’과 신뢰 그리고 진실 • 205
4. 시뮬라크르로서의 등장인물 • 213
5. ‘연기하기’와 시뮬라시옹 • 217
6. 시뮬라크르적 연기의 지향점 • 221
7. 나가는 글 • 225
제2장 ‘자감’ 연구 • 227
1. 들어가는 글 • 227
2. ‘자감’ 용어의 용례에 따른 정의 • 232
3. 전통적 배역 창조와 자감: ‘–이기’와 자감 • 240
4. 생성적 배역 창조와 자감: ‘–되기’와 자감 • 248
5. 나가는 글 • 252
제3장 ‘내면연기’ 연구 • 254
1. 들어가는 글 • 254
2. 내면연기 논쟁과 논점들 • 260
3. 자리/내면: 배역 창조의 근대적 공간 • 264
4. 자리 잡기: 내면연기의 형태와 주류화 • 275
5. 자리이탈: 내면연기와 정극 • 284
6. 나가는 글 • 289
인용 및 참고문헌 • 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