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55081640
· 쪽수 : 350쪽
· 출판일 : 2008-09-24
목차
책을 내면서
1장. 한국 지석묘 연구의 이론과 방법론
Ⅰ. 머리말
Ⅱ. 한국 지석묘 연구의 문제점
Ⅲ. 지석묘 연구의 진전을 위한 이론과 방법론: 사회 발전 단계와 관련하여
Ⅳ. 한국 지석묘 사회 연구를 위한 이론적 검토
Ⅴ. 요약 및 맺음말
2장. 서구 고고학의 패러다임(paradigm)변화와 한국 고고학의 방향
Ⅰ. 머리말
Ⅱ. 문제의 제기
Ⅲ. 서구 고고학의 패러다임(paradigm)변화와 한국 고고학
Ⅳ. 한국 고고학의 근황
Ⅴ. 한국 고고학의 방향
Ⅵ. 맺음말
3장. 한국 고대 복합사회 연구에 있어서 신 진화론의 적용 문제 및 ‘국가’ 단계 사회 파악을 위한 고고학적 방법론
Ⅰ. 머리말
Ⅱ. 신진화론적 사회 발전 도식의 한국사에의 적용과 그 반응: ‘족장사회’(chiefdom)와 관련하여
Ⅲ. 국가의 정의
Ⅳ. 고고학 자료를 통한 국가 단계 사회의 인식
Ⅴ. 맺음말
4장. 원거리 무역의 이론과 방법론: 복합사회 형성 과정 연구와 관련하여
Ⅰ. 머리말
Ⅱ. 원거리 무역의 개념과 역할
Ⅲ. 원거리 무역과 복합사회 형성 과정 규명의 이론적 배경
Ⅳ. 원거리 무역의 이론적 측면
Ⅴ. 원거리 무역 연구의 방법론
Ⅵ. 중국 역사 기록에 보이는 한반도 국가 형성기의 원거리 무역
Ⅶ. 맺음말
5장. 한국 고대국가 형성에 있어서 관개수리의 역할: 위트포겔(Wittfogel)의 수리이론과 관련하여
Ⅰ. 머리말
Ⅱ. 관개수리이론의 배경과 내용
Ⅲ. 역사 기록의 검토
Ⅳ. 금석문의 검토
Ⅴ. 고고학 자료의 검토
Ⅵ. 맺음말
6장. 인구압력과 전쟁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신라를 중심으로
Ⅰ. 머리말
Ⅱ. 인구 변동과 전쟁: 한국 삼국시대 전기의 예
Ⅲ. 『삼국사기』신라본기에 등장하는 자연재해와 전쟁의 관계 분석
Ⅳ. 맺음말
7장. 『삼국사기』신라본기와 영남 지역 고고학 자료를 통해 본 신라의 국가 형성: 전쟁의 역할을 중심으로
Ⅰ. 머리말
Ⅱ. 전쟁에 관한 역사적 기록
Ⅲ. 고고학적 자료에서의 전쟁
Ⅳ. 고고학 자료들의 계량적 분석
Ⅴ. 맺음말
8장. 신라 국가 형성 시기의 재검토: 영남 지역 고분 분석을 중심으로
Ⅰ. 머리말
Ⅱ. 신라 국가 형성 시기 연구의 문제점과 필요성
Ⅲ. 고고학 자료와 분석
1. 고분 규모의 분석과 해석
2. 유물의 분석과 해석
Ⅳ.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