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일본 조몬 고고학

일본 조몬 고고학

하부 준코 (지은이), 강봉원 (옮긴이)
사회평론아카데미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0% 0원
270원
26,7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일본 조몬 고고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일본 조몬 고고학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고고학
· ISBN : 9791185617879
· 쪽수 : 346쪽
· 출판일 : 2016-11-11

책 소개

일본의 신석기시대인 조몬시대를 연구한 저작으로, 영미 수렵채집민 연구에서의 생태학 이론을 종축으로, 현대 사회.정치 정세와 고고학과의 관계를 횡축으로 삼아 서술하고 있다. 조몬시대의 생업과 취락, 제의, 공예, 교역 등을 포괄적으로 다룬 이 책은 영어로 발표돼 일본의 고고학적 성과를 세계에 알리는 계기를 마련한 연구서이다.

목차

감사의 글 8
한국어판 서문 10
그림 목록 16
표 목록 19
일러두기 20

제I부 개관

제1장 서언 23
이 책의 목적과 범위 23
이론적 접근 28
요약 46

제2장 연구 배경: 조몬시대의 개관 47
조몬문화의 기원 47
편년 틀 58
환경과 기후 63
인구 추산 67
형질인류학적 연구 72

제II부 생업과 취락

제3장 생업 전략 79
조몬 동?식물 유체 분석의 역사 80
“연어가설”과 “식물재배가설” 82
“조몬 달력” 83
조몬 정주저장형 수렵채집민(collectors) 85
식량 저장과 견과류 채집 86
주식으로 가능한 다른 식물식량 93
해양 적응과 패총의 발달 95
지역적 다양성과 시간이 지나면서의 변화 100

제4장 취락 고고학 103
조몬취락 연구사 103
조몬취락 크기와 정주성 정도에 관한 의문점 110
사례연구 1: 중부 일본의 조몬시대 전기 취락 자료의 분석 112
사례연구 2: 산나이마루야마 유적과 지역적 취락체계에서의 위치 133
논의 158

제III부 제의, 공예 및 교역

제5장 매장과 제의 관습 163
조몬의 매장 및 제의 관습의 연구사 164
제의 유물의 형식 168
무덤의 형식 186
매장과 사회 불평등 198
매장 관습과 문화 경관 202
제의와 기념비적 유구의 축조 206
논의 220

제6장 공예품과 교역망 223
조몬토기의 연구 225
부패성 물질에 반영된 기술 업적: 목공예, 칠기, 바구니 및 직물 238
희귀하고 일상적인 품목들의 교역망 245
운송 261
논의 262

제IV부 논의 및 결론

제7장 논의 및 결론 267
조몬문화 복합성의 발전 269
맺음말 286

역주 288
참고문헌 289

부록
1. 인명 표기 319
2. 지명 표기 323
옮긴이의 글 327
찾아보기 330

저자소개

하부 준코 (엮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일본 태생으로 게이오대학교 고고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한 후 1996년 캐나다 몬트리올 맥길대학교(McGill University)에서 조몬몬화 연구로 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관심 분야는 수렵-채집민 주거 및 생계유형, 조몬문화, 토기분석, 고고학과 사회 등이다. Subsistence-Settlement Systems and Intersite Variability in the Moroiso Phase of the Early Jomon Period of Japan(2001) 등의 저서와 “Seafaring and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mplexity in Northeast Asia: Evidence from the Japanese Archipelago”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강봉원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주대학교 문화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경희대학교 사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한 후 1990년 미국 애리조나 주립대학교(Arizona State University)에서 석사, 1995년 오리건 주립대학교(University of Oregon)에서 “The Role of Warfare in the Formation of the State in Korea: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Approaches”의 논문으로 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관심 분야는 국가형성 과정과 관련한 전쟁, 관개수리, 원거리무역과 분묘 고고학이다. 『한국 고고학의 일 방향』(2008)의 저서와 「진한의 원거리 무역: 토착사회의 내재적 발전과 관련하여」(2015), “A Reconsideration of Population Pressure and Warfare: A Protohistoric Korean Case”(2000), “Large-Scale Reservoir Construction and Political Centralization: A Case Study from Ancient Korea”(2006)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