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창업/취업/은퇴 > 은퇴설계
· ISBN : 9788955332889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08-11-26
책 소개
목차
1장 _ 성공적인 은퇴설계를 이끌어내는 기본 노하우
01 왜 재무설계를 해야 하나요
02 판매왕들의 영업비밀은 무엇인가요
03 재무설계의 뉴트렌드는 무엇인가요
04 재무설계의 5대 영역에서 은퇴설계가 차지하는 비중은 어느 정도인가요
05 재무설계에서 보험가입이 필수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06 자산의 금융화와 연금화는 왜 필요한가요
07 은퇴설계와 재산이전설계의 차이점과 공통점은 무엇인가요
08 부유층의 재무설계와 중산층의 재무설계는 어떻게 다른가요
09 균형 잡힌 재무설계란 어떤 것인가요
10 고객의 재무상태표를 어떻게 작성하나요
11 고객의 현금흐름표를 어떻게 작성하나요
12 금융자산은 어떻게 나눠 관리하나요
13 은퇴설계대상 자산별 재무설계 포인트는 무엇인가요
14 은퇴설계 대상자별 재무설계 포인트는 무엇인가요
15 화폐의 시간적 가치를 어떻게 고려해야 하나요
16 단리와 복리는 어떤 차이를 낳을까요
17 연금의 미래가치와 현재가치는 어떻게 따지는 것인가요
▶ 쉬어가는 FC cafe ... 은퇴 앞둔 50대, 왜 즉시연금보험에 열광하나
2장 _ 은퇴설계를 위한 사전 체크포인트
18 은퇴설계는 왜 선택이 아닌 필수인가요
19 은퇴설계를 준비해야 하는 시기는 언제인가요
20 공적사회보장제도의 한계점은 무엇인가요
21 예상보다 오래 살 위험을 충분히 고려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22 장기적인 인플레이션 위험에 어떻게 대비해야 하나요
23 은퇴자금 규모는 어느 정도가 적당한가요
24 은퇴자금 소요액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25 자녀교육에 지나치게 올인하면 안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26 은퇴설계를 할 때 고려해야 할 세금은 어떤 것이 있나요
27 연금을 받다가 사망할 경우 세금문제는 어떻게 되나요
28 재무적 설계와 비재무적 설계를 같이 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29 은퇴설계와 재산이전설계을 한꺼번에 할 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 쉬어가는 FC cafe ... 행복한 노후 제1조건은 '많은 돈보다 일거리'
3장 _ 은퇴설계를 위한 금융상품과 부동산에 대한 이해
30 은퇴자산설계와 운용의 6대 원칙은 무엇인가요
31 국민연금,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32 퇴직연금은 DB형과 DC형 중 어느 것이 좋은가요
33 퇴직연금의 회계 및 세무처리는 어떻게 하는 것인가요
34 퇴직금을 연금으로 받는 것이 좋을까요, 일시금으로 받는 것이 좋을까요
35 적격연금과 비적격연금 중 어떤 것이 좋은가요
36 개인연금을 갈아탈 수 있나요
37 종신형?확정형?상속형 연금 중 어떤 것을 고를까요
38 은퇴설계에서 변액보험이 갖는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39 은퇴설계에서 펀드를 어떻게 활용하나요
40 은퇴설계에서 역모기지론을 어떻게 활용하나요
41 은퇴설계에서 임대수익형 부동산을 어떻게 활용하나요
▶ 쉬어가는 FC cafe ... 노후에 필요한 자금은 평균 ?3억 9,000만원?
4장 _ 대상자별 은퇴설계 사례
42 은퇴자금은 어떤 절차를 거쳐 설계하나요
43 근로자의 은퇴설계는 어떻게 하나요
44 개인사업자의 은퇴설계는 어떻게 하나요
45 거액 자산가의 은퇴설계는 어떻게 하나요
46 전문직 종사자의 은퇴설계는 어떻게 하나요
47 전업주부의 노후설계는 어떻게 하나요
48 싱글족의 은퇴설계는 어떻게 하나요
▶ 쉬어가는 FC cafe ... 나의 노후 준비는 몇 점입니까? (노후준비자가진단표)
5장 _ CEO의 은퇴설계
49 왜 CEO은퇴플랜이 필요한가요
50 CEO은퇴플랜을 통해 무엇을 얻을 수 있나요
51 법인과 개인사업자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52 법인의 인건비에 대해서는 세무상 아무런 규제가 없나요
53 CEO보험의 계약형태는 어떻게 설계해야 하나요
54 법인의 재무제표는 어떻게 보는 것인가요
55 CEO은퇴플랜 적용에 따른 회계처리는 어떻게 하나요
56 CEO은퇴플랜을 설계하기 전에 반드시 체크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요
57 CEO에게 보험계약을 이전하면 어떻게 되나요
58 CEO보험도 10년 이상 유지하면 보험차익이 비과세되나요
59 임원퇴직금은 정관에 정해진 범위 내에서 무제한 손금산입이 가능한가요
60 퇴직금 외에 퇴직위로금과 퇴직공로금을 지급할 수는 없나요
61 실제로 퇴직하지 않고 퇴직금을 지급받으면 어떻게 되나요
62 실제로 퇴직하지 않으면서 퇴직금을 미리 받을 방법은 없나요
63 CEO은퇴플랜에 따른 절세효과는 어떻게 따지나요
64 임원퇴직금을 정관에 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무엇인가요
저자소개
책속에서
개인 자산시장의 규모확대와 세제의 강화에 따라 중산층이상의 소득과 재산을 가진 고객들의 주된 관심사는 재산이전, 즉 상속과 증여에 집중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상속이나 증여 등 재산의 이전에는 반드시 치루어야 할 비용, 즉 세금이 발생하므로 재산이전설계의 최대 목표는 이전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으로 재산을 이전하는 것이다. 이러한 재산이전은 이전할 재산이 있는 일부 부유층에게만 해당하는 것일 수도 있다. 하지만 재산이전설계와 달리 은퇴설계는 모든 계층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자신을 위한 은퇴설계를 마치고도 여유자산이 있을 정도라면 재산이전설계를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안된다. 왜냐하면 은퇴설계나 재산이전설계나 모두 하루라도 빨리 시작할수록 유리하며, 은퇴를 바로 앞두고, 또는 죽음을 바로 앞두고는 효과적인 은퇴설계와 이전설계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2가지 모두 세금(절세)설계와 병행했을때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효과적인 은퇴설계를 위해서는 투자설계를 하지 않을 수 없다. 저금리와 고물가시대에서 효과적으로 은퇴자금을 마련하는 방법은 저축이 아닌 투자가 돼야 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은퇴시점까지의 보장설계는 필수적 요소이다. 결국 재무설계의 5대 영역은 통합적으로 설계돼야 하며 그 중심축에는 항상 은퇴설계와 재산이전설계가 자리하고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 '머리말'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