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경주지역어 텍스트 1

경주지역어 텍스트 1

(경상북도 1, 한국방언협회 자료총서 1)

최명옥, 김주석 (엮은이)
역락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5% 0원
900원
16,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경주지역어 텍스트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경주지역어 텍스트 1 (경상북도 1, 한국방언협회 자료총서 1)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국어사/방언론
· ISBN : 9788955565614
· 쪽수 : 333쪽
· 출판일 : 2007-07-30

목차

'전국 지역어 텍스트 총서'발간사
서문
일러두기

제보자 박용순
못굴을 빼려다가
논 가운데 바위 치우기
이와 기생과 빨래
병풍 치고 큰일 보고
맞돈 낸 돼지
천(天)은 원(圓), 지(地)는 방(方)
월반하는 학교 공부
김삿갓의 즉흥 시

제보자 김학봉
정만서의 헛죽음
범이의 죽음
강만 없으면 건너가 요절을
코 베는 정만서
공짜로 잣을
돼지 불알 술안주
거문고와 방앗공이
목화 따는 색시와 뽀뽀
달을 삼킨 벙어리
돌림 따귀
벽화 속의 처룡황룡
떡보리 도둑
담배와 무는 상극
정만서의 동성연애
도래솔 베고 국비 장학생으로
호랑이 잡은 황소
범한테 빼앗은 처녀
산도라지
부라질(아기 어르는)노래
꾀 많은 곁머슴
참을 인(忍)자 세 번
비뚠 소문(小門) 고치는 법
부엉이 집
이상한 안경
일곱 살짜리 가장
자원한 며느리
침과 약의 대결
그네 탄 기생 오입
반딧불이 노래
이마를 맞대고
광풍진사의 유언
손가락 이름
하늘 알고 땅 알고
다황 마찌 활라
잔소리 속담
소대성 내기 잠
주사암 돼지 굴

부록: 경주지역어와 표준어 대역
찾아보기

저자소개

최명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남 사천시 출생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동대학교 대학원 문학석사·문학박사 영남대학교 교수·천리대학, 동경대학, 중앙민족대학 객원 교수 역임 (현)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저서 『경북 동해안 방언연구』(1980) 『월성지역어의 음운론』(1982) 『국어음운론』(공)(1977) 『국어음운론과 자료』(1998) 『한국어 방언연구의 실제』(1998) 『경주 속담·말 사전』(공)(2001) 『함북 북부지역어 연구』(공)(2003) 『국어음운론』(2004) 『경기 화성지역의 언어와 생활』(2007) 『한국언어지도』(공)(2008) 『현대 한국어의 공시형태론』(2008) 『경기 포천지역의 언어와 생활』(2008) 논문 “변칙동사의 음운현상에 대하여” “국어 움라우트의 연구사적 고찰” “경상북도의 방언지리학” “어간의 재구조화와 교체형의 단일화방향” “현대한국어의 자음군단순화에 대한 대조방언학적 연구” “한국어 음운규칙 적용의 한계와 그 대체기제” “국어방언학의 체계” “국어의 공시형태론” “중세국어 선어말어미의 형태론”외 다수.
펼치기
김주석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38년 경주에서 태어났다. 연세대 화학공학과를 졸업했으며, 경인에너지 CPO와 한국화약 CPO를 거쳐 경상석유 CEO와 조양화학 CEO를 역임하였다. 지은 책으로 <정만서 해학>, <경주속담.말 사전> 등이 있으며, 2007년 현재 경주방언과 구비문학자료 등을 20년 동안 수집하여 원고지 2만 매 분량의 <경주방언사전>을 탈고한 상태에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경주는 약 천년에 걸친 신라의 수도였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 외에 경주가 가지는 또 다른 사실은 그곳이 현대 한국어의 발상지라는 것이다. 경주지역어는 그 성격상 크게 셋으로 구분된다. 해안어와 내륙 반촌어가 그것이다. 해안어와 내륙어의 큰 차이는 해안어가 '아(부사형어미 포함)'를 많이 사용하는데 반하여 내륙어는 '어(부사형어미 포함)'를 많이 사용한다는 것이다. 예.'알라아:얼라아(어린애), 간지랍다:간지럽다, 곯아 떨아지다:곯어 떨어지다'등, 그리고 내륙 민촌어(해안어 포함)와 내륙 반촌어의 큰 차이는, 민촌어와는 달리, 반촌어에서는 일부 단어에 한하여 자음 뒤에서 이중모음의 발음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예,'기:귀(耳), 가부:과부(寡婦), (성,헝,행):형(兄)'등, 이 책에 수록된 것은 내륙 반촌어이다. 이 점에서 이 텍스트는 미완성의 것이라 할 수 있다. 경주의 해안어와 내룩 민촌어를 담은 텍스트를 마련하여 명실상부한 경주지역어 텍스트를 완성하는 것이 남은 과제가 된다.
- <서문>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