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시대를 앞서 간 한국의 괴짜들

시대를 앞서 간 한국의 괴짜들

김용성, 석지현, 소재영, 신경림, 이병주, 천승세, 허경진, 허영환, 황준연, 정휴, 정광호, 최승범, 이현주, 김종원, 민기, 이석호, 김주석, 최기인, 이전문, 이이화 (지은이)
영언문화사
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시대를 앞서 간 한국의 괴짜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시대를 앞서 간 한국의 괴짜들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74664411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04-07-30

책 소개

기행(奇行)과 풍자로 한 시대를 살다 간 한국의 괴짜들에 대한 글을 엮었다. 지조 높은 품성의 선비와 압제에 항거하는 자유인까지. 조선 초기부터 근대에 이르는 한국 역사 속의 여러 인물들에 대한 이야기를 묶었다.

목차

- 추천사 / 세상을 발아래 둔 사람들

1. 모순의 시대를 산 한 많은 감상 시인, 강위 / 이이화
2. 두어 말 녹봉에 허리 굽힐 수 없다던, 귄필 / 허경진
3. 차라리 똥통에 빠지겠다던, 매월당 김시습 / 이현주
4. 우스개를 쏟아내며 세상을 헤쳐 나간, 서거정 / 이이화
5. 일방 통행으로 산 '국보', 무애 양주동 / 이병주
6. '아시아의 밤'을 노래한 선객, 공초 오상순 / 김용성
7. 방탕아로 일관한 서출의 대시인, 이달 / 민지
8. 육담과 난초향기와 더불어 살다간, 이병기 / 최승범
9. 민중 속의 명의, 이제마 / 이이화
10. 최초의 양반 장사꾼, 토정 이지함 / 이석호
11. 칼과 거문고의 조율사, 백호 임제 / 소재영
12. 어명도 거역한 신비 속의 인물, 오원 장승업 / 정광호
13. 인생을 만화처럼 살다간, 정만서 / 김주석
14. 격 높은 해학으로 불의를 질타한, 정수동 / 천승세
15. 벌통으로 왜군을 물리친, 정평구 / 최기인
16. 반평생을 숨어서 산 기인, 정희량 / 이전문
17. 구름처럼 살다 간 큰 스님, 진목대사 / 황준연
18. 스스로 제 눈을 찌른, 호생관 최북 / 허영환
19. 천하를 쥐구멍만하게 여긴, 교산 허균 / 이이화
20. 부처님 젖통을 희롱한, 만공 / 김정휴
21. 선구자적 영화 미치광이, 나운규 / 김종원
22. 권위를 부정하고 우상을 파괴한, 김관식 / 신경림
23. 바람처럼 살다 간 미친 중, 경허 / 석지현

저자소개

김용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0년 일본 고베에서 출생. 45년 귀국하여 서울에서 성장함. 경희대학교 영문학과 졸업, 동 대학원에서 국문과 석사 박사학위 받음. 〈한국일보〉에 장편소설 《잃은 자와 찾은 자> 가 당선되어 작품활동을 시작함. 주요 작품으로 중단편소설집 《리빠똥 장군》 《나무 소리》 《탐욕이 열리는 나무》 《밀항》 《슬픈 양복 재단사의 나날》 등과 장편소설 《내일 또 내일》 《도둑일기》 《큰 새는 나뭇가지에 앉지 않는다》 《이민》 《기억의 가면》 등 다수가 있으며, 저서로 《한국현대문학사 탐방》 《한국소설과 시간 의식》 등이 있다. 1984년 제29회 현대문학상, 1986년 제1회 동서문학상, 1991년 대한민국문학상, 2004년 제21회 요산문학상, 제7회 김동리문학상, 제17회 경희문학상 등을 수상함. 1988년 인하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현재 인하대학교 문과대학 동양어문학부 국어국문학 전공 교수로 재직 중. 1971년 4월에 차남 욱중(郁中)이 태어났다. 평판 작품이 된 중편 <리빠똥 將軍>을 ≪월간문학≫에 분재했다. 1974년에는 장편 ≪리빠똥 社長≫을 ≪일간스포츠≫에 연재, 독자의 관심을 끌었다. 1975년, 첫 작품집인 ≪리빠똥 將軍≫과 ≪리빠똥 社長≫을 예문관에서 간행했으나 긴급조치 9호로 광고 한 번 해 보지 못했다. 1982년, 문득 신문 연재 소설에 대해 회의를 품고 될 수 있으면 신문 연재를 하지 않으리라 다짐했다. 또 오래전부터 뜻한 바가 있어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문과 석사과정에 입학했다. 1983년에는 성장지 서대문 일대를 배경으로 한 <도둑일기>를 ≪현대문학≫에 9월호부터 분재했다. 이 작품으로 이듬해 2월에 제29회 현대문학상을 수상했다. 같은 해, 논문 <蔡萬植의 ‘太平天下’ 硏究>로 석사학위를 취득함과 동시에 대학원 박사과정에 입학했다. 1986년, <슬픈 양복재단사의 나날> 계통에 속하는 <아카시아꽃>으로 제1회 동서문학상을 수상했다. 인하대학교 전임 강사로 근무하기 시작했다. 1987년엔 박사학위를 땄다. 논문은 <한국소설의 시간의식 연구>이다. 이듬해부터는 인하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로 재직하기 시작했다. 1992년, 문예진흥원 기금으로 12월부터 2개월 간 남미 한국 이민들의 실상을 취재하기 위해 여행했다. 그 결과는 1998년 ≪이민≫(전 3권)으로 나왔다. 같은 해, 인하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정교수가 되었다. 2004년엔 장편 ≪기억의 가면≫(문학과지성사)을 간행하는 한편 요산문학상, 김동리문학상, 경희문학상을 수상했다. 2005년 2월, 인하대학교 정년퇴임하면서 교수의 길을 마감했다. 개성적인 작가로서 또 교육자로 활동해 온 그는 2011년 4월 28일에 지병으로 세상을 떴다.
펼치기
석지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우리나라에 ‘선시’라는 장르를 처음으로 알렸으며 특유의 감각적 시선으로 작품을 자신만의 색채로 새롭게 읽어냈다. 1969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시 부문 당선. 1973년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졸업하였다. 이후 인도, 네팔, 티베트, 미국, 이스라엘 등지를 수년간 방랑했다. 편・저・역서로는 《선시禪詩》, 《바가바드 기따》, 《우파니샤드》, 《반야심경》, 《숫타니파타》, 《법구경》, 《불교를 찾아서》, 《선으로 가는 길》, 《벽암록》(전5권), 《왕초보 불교 박사 되다》, 《제일로 아파하는 마음에-관음경 강의》, 《행복한 마음 휴식》, 《종용록》(전5권), 《선시 감상사전》(전2권), 《임제록》, 《선시 삼백수》, 《가슴을 적시는 부처님 말씀 300가지》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소재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숭실대학교 명예교수/ 연변대학교 한국학연구소장/ 숭실대학교 인문대학장, 대학원장/ 북경대학교, 일본 천리대학교 교환교수/ 국어국문학회 대표이사/ 서울시 지명심의 위원 역임.
펼치기
신경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5년 충북 충주에서 태어나 충주고와 동국대에서 공부했다. 1956년 『문학예술』에 「갈대」 등이 추천되어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시집 『농무』 『새재』 『달 넘세』 『남한강』 『가난한 사랑노 래』 『길』 『쓰러진 자의 꿈』 『어머니와 할머니의 실루엣』 『뿔』 『낙타』 『사진관집 이층』 등과 동시집 『엄마는 아무것도 모르면서』, 산문집 『민요기행』 『시인을 찾아서』 등이 있다. 만해문학상, 한국문학작가상, 단재문학상, 대산문학상, 시카다상, 만해대상, 4·19문화상, 호암상 등을 수상했으며,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한국작가회의 이사장, 민족예술인총연합 의장, 동국대 석좌교수 등을 역임했다. 2024년 타계했다.
펼치기
이병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1년 경남 하동에서 태어나 일본 메이지대학 문예과에서 수학했다. 1944년 대학 재학 중 학병으로 동원되어 중국 쑤저우에서 지냈다. 진주농과대학(현 경상대)과 해인대학(현 경남대)에서 영어, 불어, 철학을 가르쳤고 부산 《국제신보》 주필 겸 편집국장을 역임했다. 1961년 5·16이 일어난 지 엿새 만에 〈조국은 없고 산하만 있다〉는 내용의 논설을 쓴 이유로 혁명재판소에서 10년 선고를 받아 2년 7개월을 복역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강의하다 마흔네 살 늦깎이로 작가의 길에 들어섰으며 1992년 지병으로 타계할 때까지 한 달 평균 200자 원고지 1,000여 매 분량을 써내는 초인적인 집필로 80여 권의 작품을 남겼다. 1965년 「소설·알렉산드리아」를 《세대》에 발표하며 등단했고 『관부연락선』, 『지리산』, 『산하』, 『소설 남로당』, 『그해 5월』로 이어지는 대하 장편들은 작가의 문학적 지향을 보여준다. 소설 문학 본연의 서사를 이상적으로 구현하고 역사에 대한 희망, 인간에 대한 애정의 시선으로 깊은 감동을 자아내는 작품들은 세대를 넘어 주목받고 있다. 1977년 장편 『낙엽』과 중편 「망명의 늪」으로 한국문학작가상과 한국창작문학상을 수상했으며, 1984년 장편 『비창』으로 한국펜문학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천승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본관은 영양(穎陽), 호는 하동(河童)이며, 1939년 전라남도 목포에서 천독근(千篤根)과 소설가 박화성(朴花城)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성균관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신태양사 기자, 문화방송 전속작가, 한국일보 기자를 지내고 제일문화흥업 상임작가, 독서신문사 근무, 문인협회 소설분과 이사, 그리고 평론가 천승준의 아우이다. 1958년《동아일보》신춘문예에 소설《점례와 소》가 당선, 또한 1964년《경향신문》신춘문예에 희곡《물꼬》와 국립극장 현상문예에 희곡 《만선》이 각각 당선되었다. 한국일보사 제정 제1회 한국연극영화예술상을 수상했으며, 창작과 비평사에서 주관하는 제2회 만해문학상, 성옥문화상 예술부문 대상을 각각 수상하였다. 그의 작품은 대부분 휴머니즘에 입각하여 인간이 인간을 찾는 정(精)의 세계를 표현한다. 한결같이 인정에 바탕을 둔 인간 사회의 비정한 세계를 문학적으로 승화시키는 작업을 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작품에 《내일》(현대문학, 1958), 《견족(犬族)》(동상, 1959), 《예비역》(동상, 1959), 《포대령》(세대, 1968) 등이 있다. 단편소설집에 《감루연습(感淚演習)》(1978), 《황구(黃狗)의 비명》(1975), 《신궁》(1977), 《혜자의 눈물》(1978) 등이 있고, 중편소설집에 《낙월도》(1972) 등이 있고, 장편소설집에 《낙과(落果)를 줍는 기린》(1978), 《깡돌이의 서울》(1973) 등이 있다. 꽁트집 《대중탕의 피카소》(1983), 수필집 《꽃병 물좀 갈까요》(1979) 등이 있다. 2020년 11월, 향년 81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펼치기
허경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허균 시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목원대학교 국어교육과와 연세대학교 국어국문과 교수로 재직하였고, 지금은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연구원으로 있습니다. 저서로 『허균평전』, 『한국 고전문학에 나타난 기독교의 편린들』, 『허난설헌 강의』 등이, 역서로는 ‘한국의 한시’ 총서 40여 권 외에 『삼국유사』, 『서유견문』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허영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7년에 태어나 한국외국어대와 국학대 영문과를 거쳐 대만 중국 문화대학 대학원 미술사학과를 졸업하고 1982년 고려대 대학원에서 '중국 화원제도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화여대, 경희대, 서울대 강사로 출강했으며, 한국일보 기자를 역임했다. 문화재전문위원으로 활동했으며, 성신여대 교수를 역임했다(1982-2002). 현재 서울시 문화재위원, 서울역사박물관 자문위원, 한국예술종합학교 대학원 강사, '시와 시학회' 운영위원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석지 채용신 연구'(1984), '중국 화보 연구'(1992) 등이 있고, 지은 책으로 <중국회화소사>(1972), <동양화 일천년>(1978), <중국화론>(1988), <동양미의 탐구>(1999), <허영환의 중국문화유산 기행>(전4권, 2001-2002) 등이 있다.
펼치기
황준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8년 전남 목포 출생으로,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중국철학 및 조선성리학을 연구하여 석사 및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탈리아 동방학대학(Napoli) 아시아학과 계약교수와 중국 산똥(山東)사회과학원(濟南) 유학연구소 객원교수, 중국 산∼시(陝西)사범대학(西安) 중국사상문화연구소 방문학자, 미국 캘리포니아대학(Berkeley) 중국학연구소 방문학자를 역임했으며 현재 전북대학교 명예 교수이다. 『율곡 철학의 이해』(1995), 『이율곡, 그 삶의 모습』(2000), 『한국사상과 종교 15강』(2007), 『실사구시로 읽는 주역』(2009), 『신편 중국철학사』(2009), 『중국 불교와 도교 수행자를 찾아서』(역서, 2009), 『중국철학과 종교의 탐구』(2012), 『《한비자》 읽기』(2012), 『중국 철학의 문제들』(2013) 외에 다수의 저술과 논문이 있다.
펼치기
정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4년 경남 남해에서 태어나 1963년 밀양 표충사로 출가했다. 1971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시조가 당선된 후 선사들의 삶과 사상을 다룬 많은 글들을 선보였다. 조계종 총무원 기획실장, 치악산 구룡사 주지, 불교방송 상무, 불교신문 사장 등을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는 『무상 속에 영원을 산 사람들』, 『어디서 와서 무엇이 되어 어디로 가는가』, 『선재의 천수천안』, 『열반제』, 『고승평전』, 『우리를 슬프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걸레스님 중광』, 『슬플 때마다 우리 곁에 오는 초인-소설 경허』,『우리는 살아 있는가 죽어 있는가』, 『달을 가리키면 달을 봐야지 손가락 끝은 왜 보고 있나』(종정 법어집), 『깨친 사람을 찾아서-전강 선사 평전』, 『무영탑』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정광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 서울대학교 사학과 학사 - 고려대학교 사학과 석사 - 경희대학교 사학과 박사 - 대한불교신문사 기획부장(前) - 민족문화추진회 전문위원(前) - 인하대 인문학부 교수(퇴직) - 저서:≪근대한일불교관계사론近代韓日佛敎關係史論≫, ≪한국불교사韓國佛敎史의 재조명再照明≫, ≪중종실록中宗實錄≫,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등 저서, 논문 다수
펼치기
최승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21년 현재 고하문학관 관장, 전북대학교 명예교수. 1931년 남원 출생. 1958년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 시집 『난 앞에서』, 『천지에서』, 『자연의 독백』, 『대나무에게』 등 다수와 『한국수필문학연구』, 『한국을 대표하는 빛깔』, 『선악이 모두 나의 스승』, 『남원의 향기』, 『한국의 소리』, 『3분 읽고 2분 생각하고』 등 다수의 수필집. 2019년 근작 시집으로 『八八의 노래』, 『행복한 노후』, 『화시』, 2021년 근작 시집으로 『짧은 시, 짧은 여운』이 있다. 정운시조문학상, 가람시조문학상, 한국시조대상, 만해문예대상, 김현승문학상 외 수상.
펼치기
이현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4년 충주에서 태어났고, 감리교신학대학교를 졸업했다. 목사, 동화 작가, 번역가이기도 한 그는 동서양을 아우르는 글들을 집필하고 강의도 하고 있다. ⟪바보 온달⟫ ⟪육촌 형⟫ ⟪콩알 하나에 무엇이 들었을까?⟫ 등의 동화와 ⟪대학 중용 읽기⟫ ⟪길에서 주운 생각들⟫ ⟪기독교인이 읽는 금강경⟫ ⟪이아무개의 장자산책⟫ ⟪예수의 죽음⟫ ⟪지금도 쓸쓸하냐⟫ ⟪사랑 안에서 길을 잃어라⟫ ⟪이현주 목사의 꿈 일기⟫ 등을 썼으며, 무위당 장일순 선생의 ⟪노자 이야기⟫가 세상에 나오는 데 산파역을 맡았다. 역서로는 ⟪우주 리듬을 타라⟫ ⟪우주는 당신의 느낌을 듣는다⟫ ⟪자각몽, 삶을 깨우는 기술⟫ ⟪티베트 명상법⟫ ⟪배움의 도⟫ ⟪바가바드 기타⟫ ⟪예언자들⟫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김종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7년 제주 출생. 시인이자 영화평론가이며, 현재 한국영화평론가협회 상임고문이다.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과와 동국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했다. 1957년 『문학예술』, 1959년 『사상계』를 통해 시인으로 등단했다. 1959년 영화평론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1965년 창립된 한국영화평론가협회 발기인이자 3대 회장을 역임했다.(1981.02.01.~1982.01.31.) 학원사와 조선일보사에서 근무했으며 1975년 자유언론 수호를 위한 조선투위에 참여하여 강제 해직당했다. 이후 공연윤리위원회(영상물등급위원회) 영화심의위원을 역임했으며 인하대, 동국대, 청주대, 한국예술종합대학 영상원 등에서 후학을 가르쳤다. 청룡영화상 제1회 정영일영화평론상,(1994.12.), 제주도 문화상(예술부문)(2000.12.), 영평상 공로영화인상(2020) 등을 수상했다. 저서로 영화평론집 『영상시대의 우화』(第三企劃, 1985), 『한국영화사와 비평의 접점Ⅰ,Ⅱ』(현대미학사, 2007), 『영화와 시대정신』(작가, 2020), 회고록 『시정신과 영화의 길』(한상언영화연구소, 2023), 『제주영화사』(한상언영화연구소, 2024) 등이 있다.
펼치기
민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5년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아호는 소범(甦凡)이다. 서울대 문리과대학 어문학부에서 수학하고 1959년 자유문학지를 통하여 소설가로 등단, 2004년 현재 한국어문교열기자협회 고문, 한국소설가협회 자문위원, 한국문인협회 광명지부 고문, 한국소설가협회 최고위원, 국제펜클럽 한국지부 회원, 대한언론인회 회원, 서울언론인클럽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시집 <철학하는가>, 야담집 <풍류야담>, 단편집 <도로아미타불>, <이목구비전>, 장편 <발해기>, <몽고 오국지(五國志)>, 교열연구서 <요철(凹凸)의 격전지>, 수필집 <살며 생각하고 생각하며 산 것>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투르게네프의 <부자(父子)>, 딘 모건의 <대곡물상전> 등이 있다. 1985년에 언론상(한길상/서울언론인클럽), 1996년에 한국어문상(말글사랑부문)을 수상한 바 있다.
펼치기
이석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2년 경기도 용인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연세대학교 중어중문과 교수, 대만 중앙연구원 교수, 문화관광부 국어심의회 한자분과위원회 위원을 역임하였다. 지은 책으로 <공자>, <이태백과 도교>, <한국종교사상사-도교편> 등이 있다.
펼치기
김주석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38년 경주에서 태어났다. 연세대 화학공학과를 졸업했으며, 경인에너지 CPO와 한국화약 CPO를 거쳐 경상석유 CEO와 조양화학 CEO를 역임하였다. 지은 책으로 <정만서 해학>, <경주속담.말 사전> 등이 있으며, 2007년 현재 경주방언과 구비문학자료 등을 20년 동안 수집하여 원고지 2만 매 분량의 <경주방언사전>을 탈고한 상태에 있다.
펼치기
최기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0년 전북 부안 태생으로 원광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하였다. 1964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희곡부문에 <낙엽>과 1967년 월간 새농민에 장편소설 <대지의 품>이 당선되었다. 지은 책으로 <갈대>, <기다리는 빛>, <똠방각하>, <까치병> 등이 있다.
펼치기
이전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7년 경북 고령에서 태어나, 건국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하였다. 대구일보 기자, 매일신문 기자, 조선일보 기자 등을 거쳐 조선일보 현대사연구소 연구위원, 조선일보 편집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2004년 현재 밀알장학재단을 설립, 이사장으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상소>, <그 세월 그 사람>, <부자 되는 이야기> 등이 있다.
펼치기
이이화 (원작)    정보 더보기
1937년 대구에서 주역의 대가이신 야산(也山) 이달(李達)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하지만 학교에 보내 주지 않아 소년 시절 몰래 가출을 해서 고학을 하였습니다. 한때 문학에 열중하기도 했으나 청년이 되어 우리나라 역사 공부에 열중한 이후 살아생전 우리나라 역사에 일생을 헌신했습니다. 우리나라가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어떻게 고난을 겪었는지를 쉽게 들려주는 역사책을 주로 쓴 결과 《한국사 이야기》 22권과 《만화 한국사》 9권 등을 펴냈고 《찬란했던 700년 역사, 고구려》 《허균의 생각》 《동학농민운동》 등을 지었습니다.
펼치기

책속에서

세상 사람들은 성질이나 언행이 범상하지 않은 사람, 즉 별난 사람을 기인 또는 괴짜라고 부른다. 좀 더 유식한 말로 표현하면 방외지인(方外之人)이라 한다. 이 말을 쉽게 풀어보면 테두리 밖의 사람, 범위 밖의 사람, 세속의 바깥에 있는 사람, 속세의 속된 일을 벗어난 고결한 사람 등이 된다. 또 다른 말로 하면 국외자(局外者)라고 할 수 있는데, 그 뜻은 테두리 밖에 있어서 테두리 안의 일에는 관계없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과거를 재조명해 볼 때, 인류의 역사는 객관적인 입장에서 살피면 정상적인 또는 범상한 인물보다는 기인이나 방외지인들에 의해 발전되어 왔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것 같다. - 본문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