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문화/예술/인물 > 음악/미술/예체능
· ISBN : 9788955825909
· 쪽수 : 104쪽
· 출판일 : 2021-02-20
책 소개
목차
음악 학교에 온 것을 환영해요. 4-5
왜 음악 학교에 입학해야 할까요? 6-7
세르조 트렁크 : 학교의 책임자는 누구일까요? 8-9
디바 비너스 : 인기 성악가가 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10-11
루퍼스 비브라토 : 악기 연주자와 악기는 어떤 관계일까요? 12-13
나이아가라 도시에 : 여러 가지 일을 하며 바쁘고 건강하게 사는 것이 왜 좋을까요? 14-15
로니 ‘베토벤’ 오라일리 : 음악이 얼마나 신비롭고 흥미로운지 알고 싶나요? 16-17
록시 모조 : 타악기가 세상을 어떻게 하나로 만들 수 있을까요? 18-19
1학기
잘 들어봐요! 왜 귀를 활짝 열어야 할까요? 20-21
1강 얼마나 많은 종류의 음악이 있을까요? 22-23
2강 클래식 음악은 무엇일까요? 24-25
3강 팝 음악은 무엇일까요? 26-27
4강 재즈는 무엇일까요? 28
5강 나라마다 음악이 다 다를까요? 29
6강 줄을 튕기는 악기는 무엇이 있을까요? 30
7강 입으로 부는 악기는 무엇이 있을까요? 31
8강 두드리는 악기는 무엇이 있을까요? 32
9강 건반을 치는 악기는 무엇이 있을까요? 33
10강 활로 연주하는 악기는 무엇이 있을까요? 34-35
11강 모두가 가지고 있는 악기는 무엇이 있을까요? 36-37
12강 서로 다른 악기를 연주하는 뮤지션들이 모이면 38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13강 현악 4중주란 무엇일까요? 39
14강 음악과 영화는 어떤 관련이 있을까요? 40-41
15강 음악과 극은 어떤 관련이 있을까요? 42-43
16강 음악과 춤은 어떤 관련이 있을까요? 44
17강 음악과 건축은 어떤 관련이 있을까요? 45
18강 음악과 수학은 어떤 관련이 있을까요? 46-47
2학기
음악을 만드는 도구: 음악 언어의 기본을 배워 볼까요? 48-49
19강 음악은 어떻게 적을까요? 50-51
20강 리듬이란 무엇일까요? 52
21강 리듬은 어떻게 표시할까요? 53
22강 박자표란 무엇일까요? 54-55
23강 오선과 음자리표란 무엇일까요? 56
24강 음표란 무엇일까요? 57
25강 조표란 무엇이며 음악에서 어떤 역할을 할까요? 58-59
26강 음정이란 무엇일까요? 60-61
27강 멜로디란 무엇일까요? 62-63
28강 하모니란 무엇일까요? 64-65
29강 베이스라인이란 무엇일까요? 66-67
30강 연주자는 음악을 연주하는 법을 어떻게 아는 걸까요? 68-69
31강 작곡가가 표시할 수 있는 것들은 또 무엇이 있을까요? 70-71
3학기
직접 해 봐요! : 어떻게 하면 음악을 실제로, 직접 즐길 수 있을까요? 72-73
32강 집에서 어떻게 음악을 만들 수 있을까요? 74-75
33강 왜 노래를 불러야 할까요? 어떻게 하면 잘할 수 있을까요? 76-77
34강 어떤 악기를 배우면 좋을까요? 78-79
35강 왜 연습을 해야 할까요? 80-81
36강 긴장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82-83
37강 악보를 외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84-85
38강 연주할 때는 어떤 모습이 좋을까요? 86-87
39강 어떻게 하면 작곡가가 될 수 있을까요? 88-89
40강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음악을 즐길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90-91
마지막 공연 92-93
참고 자료 94
찾아보기 95
리뷰
책속에서
브뤼셀(벨기에의 수도예요-옮긴이)에서 택시를 탔다가 뒷자리에 아주 귀한 스트라디바리우스(17~18세기 이탈리아에서 제작된 명품 악기예요. 몇백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엄청나게 높은 가격에 팔려요-옮긴이)첼로를 놓고 내렸던 적이 있어요. 그런 바보 같은 짓을 하다니! 콘서트가 시작하기 직전 다행히도 첼로를 찾았는데, 이미 벨기에 TV에서 이 일을 대대적으로 보도하고 있었어요. 공연이 시작되고 무대에 걸어나갔을 때, 모든 관중이 나와 내 첼로를 향해 기립박수를 쳤어요.
‘팝 음악’이라는 말은 어디서 왔을까요? ‘팝’이라는 단어는 ‘인기 있는’이라는 뜻의 ‘파퓰러 popular’에서 유래했지만, ‘인기 있는 음악’이라는 말 때문에 다른 음악을 인기 없는 음악처럼 만들어버린다는 게 문제예요!
‘팝 음악’은 오늘날 많은 사람이 듣는 음악을 말하는 보편적인 용어예요. 다른 음악에 비해 길이가 짧고, 리듬이 반복적이고 역동적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