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병원/의약품 산업 > 병원 경영
· ISBN : 9788955967012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14-11-01
책 소개
목차
감사의 글
서문
PART 1 의료기관 인증의 개요
1. 조사 기준의 틀
2. 기준의 구성
3. 기준의 이해
4. 조사 방법
5. 조사 항목 구분
6. 제공된 자료 및 정보의 신뢰성
PART 2 의료기관 인증 - I [기본 가치와 환자 진료 체계]
제1장. 의료기관 인증의 기본 가치 체계
1. 안전 보장 활동
1.1 환자안전 │ 1.2 직원 안전 │ 1.3 화재 안전
2. 지속적인 질 향상
2.1 질 향상 운영 체계 │ 2.2 질 향상 활동 │ 2.3 환자안전 보고 체계 운영 │ 2.4 지표 관리 체계 │ 2.5 진료 지침 관리 체계
제2장. 의료기관 인증의 환자 진료 체계
3. 진료 전달 체계와 평가
3.1 진료 전달 체계 │ 3.2 환자 평가 │ 3.3 검사 체계
4. 환자 진료
4.1 환자 진료 체계 │ 4.2 고위험 환자 진료 체계
5. 수술 및 마취 진정 관리
5.1 수술/시술 관리 │ 5.2 마취 진정 관리
6. 의약품 관리
6.1 의약품 관리 체계 │ 6.2 구매 선정 및 보관 │ 6.3 처방 및 조제 │ 6.4 투약 및 모니터링
7. 환자 권리 존중 및 보호
7.1 환자 권리 존중 │ 7.2 불만 고충 처리 │ 7.3 의료 사회복지 체계 │ 7.4 동의서 │ 7.5 임상 연구 관리 │ 7.6 장기 이식 관리
PART 3 의료기관 인증 - Ⅱ [지원과 성과 관리]
제3장. 지원 체계
8. 경영 및 조직 운영
8.1 경영 관리 체계 │ 8.2 의료기관 운영 │ 8.3 부서 운영 │ 8.4 의료 윤리 경영
9. 인적 자원 관리
9.1 인적 자원 관리 │ 9.2 직원 교육 │ 9.3 의료인력 적정성
10. 감염 관리
10.1 감염 관리 체계 │ 10.2 부서 감염 관리
11. 시설 및 환경 관리
11.1 시설 환경 안전 관리 체계 │ 11.2 설비 시스템 │ 11.3 위험 물질 관리 │ 11.4 보안 관리 │ 11.5 의료 기기 관리 │ 11.6 재난 관리
12. 의료 정보/의무 기록 관리
12.1 의료 정보/의무 기록 관리 │ 12.2 의무 기록 완결도 관리 │ 12.3 의료 정보 수집 및 정보 공유 활용 │ 12.4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
제4장. 성과 관리 체계
13. 성과 관리
13.1 환자안전 지표 │ 13.2 질환 영역 지표 │ 13.3 진료 영역 지표 │ 13.4 관리 영역 지표
색인
책속에서
‘방사선 종사자 건강 검진’은 「원자력법」 제97조, 동법 시행령 제299조, 동법 시행규칙 제115조, 「진단용 방사선 발생 장치의 안전관리에 관한 규칙」 제13조에 의거하여 방사선 관계 종사자와 작업 종사자들에게 매년 외부의 특수 건강 진단 기관에서 시행한다. 검진 시 문진 및 혈액 검사(혈액 소량 등)는 반드시 검사 받아야 하며, 검진 결과는 병원장에게까지 보고되며 해당 특수 건강 진단 기관에서 개별적으로 검진 결과 통보서를 발송한다.
모든 중요 사고는 관계자가 작성하여 즉시 팀장, 전문의에게 보고해야 한다. 안전 관리 보고 체계와 교육 등은 해당 병원의 '직원 건강 및 안전 관리 지침'에 따른다. 또한 직원들에게 검체 검사 안전 관리에 대한 교육을 정기적으로 연 1회 이상 실시한다.
응급 키트 약물의 관리 및 점검은 먼저 응급 키트 약물이 봉인된 상태인지 확인하고, 약물이 사용되었을 경우에는 24시간 이내에 약물을 보충한 후 봉인한다. 부서 담당자는 매일 1회 이상 응급 키트 봉인 상태를 점검한다. 부서 관리자는 매월 1회 응급 키트 약물 목록, 수량, 유효 기간을 점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