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기초의학 > 병리학
· ISBN : 9788955967906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17-06-12
책 소개
목차
머리말(개정 제3판에 즈음하여) … 5
집필자 일람 … 6
이 책의 활용에 대해 … 7
1부 감염관리에 대한 생각
1장. 감염관리의 전체 구상 … 21
1. 서론 … 21
2. 감염관리의 전체 구상 계획 수립 … 21
3. 전체 구상 실현을 위한 전략 … 23
4. 마무리 … 26
2장. 감염관리를 지원하는 인프라스트럭처와 네트워크 … 27
1. 서론 … 27
2. 감염관리활동의 목적 … 27
3. 감염관리위원회의 위치 … 28
4. 위원회 구성 … 29
5. 마무리 … 35
3장. MRSA 레벨 제로 시스템 - MRSA 시설 내 전파 건수를 효과(성과)지표로 한 지속적 감염관리 … 36
1. 서론 … 36
2. MRSA의 시설 내 전파 건수를 사용하는 의의 … 36
3. 시설 내 전파의 감별 방법의 선택 … 37
4. 시설 내 전파의 정의 … 37
5. MRSA의 시설 내 전파 건수에 따른 경계 레벨 판정 … 38
6. 각 레벨의 개선 항목 추이 … 39
7. 레벨의 공표와 우수 병동에 대한 표창 … 42
8. 레벨 제로 시스템 … 43
9. 마무리 … 43
4장. 감염관리 라운드 체크리스트 … 44
1. 서론 … 44
2. 감염관리 라운딩과 체크리스트 … 44
3. 라운딩의 실제 … 50
4. 라운딩의 피드백 … 50
5. 체크리스트의 검토 … 52
6. 마무리 … 52
5장. 아웃브레이크에 대한 대응과 지역 네트워크·연계의 실제 … 53
1. 서론 … 53
2. 감염관리 대상이 되는 질병 및 미생물과 주지 방법 … 53
3. 집단발병사례와 아웃브레이크 … 56
4. 집단발병사례의 검출 방법 … 57
5. 아웃브레이크의 확인과 초기 대응 … 58
6. 아웃브레이크 회의 개최 … 59
7. 개입 후 발생상황의 경과 관찰과 네트워크 방안 … 65
8. 아웃브레이크의 조절 판단과 종결까지 … 66
9. 마무리 … 68
6장. 항균제 적정화 접근법 … 69
1. 서론 … 69
2. 항균제의 적정 사용의 목적 … 69
3. 항균제 적정화의 요소 … 70
4. 본원의 항균제 사용의 적정화 방법 … 71
TOPIC 1. 향균성 약품에 관한 상담(consultation)을 성공시키기 위한 기술 … 76
TOPIC 2. 혈액배양 검사의 2세트 채취 추진의 장점 … 80
7장. 직원을 위한 감염관리와 직원을 위한 백신 접종 … 84
1. 서론 … 84
2. 의료시설에서 문제가 되는 직원감염병 … 84
3. 직원이 감염병에 이환된 경우의 대응 … 86
4. 직원이 병원체에 노출된 경우의 대응 … 87
5. 직원감염관리와 직원예방접종 … 88
6. 컨디션 불량자의 근무제한 … 88
7. 마무리 … 89
8장. 감염관리의 지역 연계와 벤치마크(목표치) 평가 … 90
1. 서론 … 90
2. 객관적 지표의 카테고리 분류 … 90
3. 객관적 지표의 실례 … 91
4. 마무리 … 94
TOPIC 3. CDC의 SSI 방지 가이드라인 개정 초안 … 107
9장. 의료 관련 감염병을 관리하는 시설·설비에 대한 생각 … 95
1. 서론 … 95
2. 의료시설 공간에 요구되는 청결도 … 95
3. 소독·멸균용 시설에 대해 … 97
4. 감염관리로서의 의료시설 건축에 대해 … 99
5. 공통 항목 … 104
6. 마무리 … 106
TOPIC 3. CDC의 SSI 방지 가이드라인 개정초안 … 107
2부 감염관리 총론
1장. 원내 감염관리의 지침 … 113
1. 원내 감염관리에 관한 기본적 사고 … 113
2. 원내 감염관리를 위한 위원회 … 113
3. 원내 감염관리를 실시하는 전담자(혹은 원내 감염관리자)의 배치 … 114
4. 원내 감염관리를 위한 직원 연수에 관한 기본방침 … 114
5. 감염병의 발생상황 보고에 관한 기본방침 … 115
6. 원내 감염 발생 시 대응에 관한 기본방침 … 115
7. 환자 등에 대한 원내 감염관리 지침의 열람에 관한 기본방침 … 116
8. 기타 원내 감염관리 추진을 위해 필요한 기본방침 … 117
2장. 활용 플로차트(Flow Chart) … 119
3장. 감염병 발생 시의 연락 경로 … 120
1. 연락 경로 … 120
2. 공적 신고 및 절차 … 121
4장. 질환별 주의지침 일람 … 122
5장. 야간·휴일의 감염병 대응 플로차트 … 129
1. 격리 또는 근무제한이 필요한 감염병 일람(의심 포함) … 130
2. 전파경로별 관리 … 130
6장. 아웃브레이크 매뉴얼 … 132
1. 아웃브레이크의 정의 … 132
2. 아웃브레이크의 초기 대응 … 133
3. 아웃브레이크의 확인 … 133
4. 적절한 2차 감염관리의 실시 … 134
5. 전파 규모의 파악 … 134
6. 보건소에 대한 상담 및 보고 … 135
7. 병실·병동폐쇄의 결정과 해제 … 135
8. 입원 정지의 실시 방법 … 136
9. 아웃브레이크의 종결 선언 … 136
7장. 손 위생의 가이드라인 … 137
1. 서론 … 137
2. 손 위생의 적용 … 137
3. 비누와 흐르는 물 또는 알코올 손 소독제의 사용에 대해 … 138
4. 올바른 기술 … 139
5. 비누와 흐르는 물에 의한 일반적인 손 위생 … 139
6. 손의 건조 … 140
7. 알코올 손 소독제를 사용한 손 위생 … 141
8. 장갑 … 142
9. 손 케어 … 142
8장. ‘표준주의’ 가이드라인 … 144
1. 서론 … 144
2. 적용 … 144
3. 표준주의 … 145
4. 개인보호구(PPE) … 146
5. 기침 에티켓 … 147
6. 예리한 물품의 처리(162쪽 ‘주사침 자상 및 점막 노출 예방 가이드라인’도 참조) … 147
7. 주사침 자상 및 예리한 물품에 의한 창상(162쪽 ‘주사침 자상 및 점막 노출 예방 가이드라인’ 도 참조) … 148
8. 흘린 혈액 및 그 외 고위험 체액에 관한 취급 … 149
9. 환경정비 순서와 담당자 일람 … 150
10. 의료기기의 소독(178쪽 ‘소독제 및 물품 관리 매뉴얼’ 참조) … 152
11. 감염성 폐기물 … 152
12. 린넨 … 153
13. 안전한 주사 기술 … 153
14. 특별한 요추천자 기술에서의 감염관리 … 153
15. 직원의 건강과 위생 … 154
9장. 전파경로별 주의지침 가이드라인 … 155
1. 서론 … 155
2. 감염관리의 기본 … 155
3. 전파경로별 주의지침의 개요 … 155
4. 표준주의 … 157
5. 공기주의(컬러 코드 : 그린) … 158
6. 비말주의(컬러 코드 : 블루) … 159
7. 접촉주의(컬러 코드 : 옐로) … 160
10장. 주사침 자상 및 점막 노출 예방 가이드라인 … 162
1. 서론 … 162
2. 예리한 물품이란 … 163
3. 가장 일반적인 ‘예리한 물품에 의한 상처’의 원인 … 163
4. 경피적 혈액·체액 노출에 의한 감염병 증상 발현 리스크 … 163
5. 예리한 물품의 안전한 취급 방법 … 164
6. 주사침 자상 및 점막 노출 후의 대응 … 165
부록 직업적 노출 후의 HIV 감염병 예방을 위한 노출 후 예방투여 매뉴얼 (2014년 4월 개정) … 174
11장. 소독제 및 물품 관리 매뉴얼 … 178
1. 서론 … 178
2. 소독 및 멸균을 위한 의료기자재 분류법[산발성(sporadic) 분류] … 178
3. 소독 방법 … 179
4. 소독제 사용 시의 주의점 … 180
5. 소독제 분류 … 181
6. 소독제 일람 … 183
7. 간호 용품 및 의료용구의 소독 방법 조견 일람표 … 186
3부 감염관리 각론
1장. 카테터 관련 요로감염 방지 매뉴얼 … 195
1. 서론 … 195
2. CAUTI(카테터 관련 요로감염)이란? … 195
3. 요도 삽입 카테터의 적용 … 197
4. 요도 삽입 카테터의 관리 … 198
2장. 혈관 삽입 카테터 관련 감염 방지 매뉴얼 … 201
1. 서론 … 201
2. 혈관감염 … 201
3. 카테터 관리의 기본 … 203
4. 중심정맥 카테터의 관리 … 204
5. 말초정맥 카테터의 관리 … 205
6. 피하매입형 포트의 관리 … 206
7. A라인(동맥라인)의 관리 … 209
8. 경로 접속 시의 2단계 소독 방법 … 209
9. 혈류감염이 의심될 때의 대응 … 211
TOPIC 4. CLABSI 매뉴얼 포인트 ... 215
3장. 결핵 대응 매뉴얼 … 218
1. 서론 … 218
2. 결핵 진단에 대한 시설 내 진단 지침 … 218
3. 스크리닝 테스트의 적용 … 219
4. 폐결핵이 의심되는 입원환자를 위한 대응 … 220
5. 종말기와 장기 입원 중 결핵 재발에 대한 대응 … 224
6. 결핵 관리에 필요한 병동에서의 감염관리 … 225
7. 감염 노출자를 위한 대응 … 227
4장. 홍역 대응 매뉴얼 … 243
1. 서론 … 243
2. 홍역에 대해서 … 243
3. 홍역의 감염관리에 대해 … 244
4. 감염 노출자를 위한 대응 … 245
5. 환자 발생 시의 대응 … 245
6. 백신의 우선접종대상자 선정의 기준 … 246
7. 필요한 제출 서류에 대해서 … 247
5장. 계절성 인플루엔자 대응 매뉴얼 … 248
1. 서론 … 248
2. 인플루엔자 개론 … 248
3. 인플루엔자 의심환자를 위한 대응 … 249
4. 인플루엔자 증상 발현 후의 대응 … 250
5. 겨울철 입원 전 문진과 스크리닝 … 255
6. 예방접종 … 256
6장. 신종 인플루엔자 등의 대응 매뉴얼 … 259
1. 서론 … 259
2. 신종 인플루엔자의 증례 정의 … 259
3. 신종 인플루엔자 등이 의심되는 환자를 위한 대응 … 260
4. 신종 인플루엔자 등 관리지침 … 262
5. 음압진찰실로의 ‘환자 유도’ 매뉴얼 … 263
6. 대응 플로차트(진료편) … 265
7. 신종 인플루엔자 예방투여 중의 수술이나 진료에 관한 주의에 대해 … 266
8. 집중치료실에서의 신종 인플루엔자(의심 포함) 중증환자 수용에 관한 운용규정 … 266
9. 신종 인플루엔자 진료에 있어서의 주의 … 269
부록 신종 인플루엔자 유행에 있어서의 BCP 기본방침과 제반 주의에 대해서 (제2판) … 274
7장. 중증 A군 용혈성 사슬알균 감염병(GAS) 및 성홍열 대응 매뉴얼 … 282
1. 병원체 … 282
2. 질병 … 282
3. 필요한 감염관리 … 282
4. 감염가능기간 … 283
5. 항균약물요법 … 283
6. 주의할 합병증 … 283
7. 노출 후 예방투여 … 283
8. 감염관리실에의 연락 … 284
8장. 마이코플라즈마감염병 대응 매뉴얼 … 286
1. 마이코플라즈마의 특징 … 286
2. 기침이 지속되는 직원(및 실습생)을 위한 대응 … 286
3. 외래진료에서 확인해야 할 것 … 286
4. 입원환자를 위한 대응 … 287
5. 근무제한에 대해서 … 287
6. 직원의 복귀 … 288
9장. RSV 감염증 대응 매뉴얼(소아병동용) … 289
1. RS바이러스감염병 … 289
2. 감염의 예방과 관리 … 290
10장. 바이러스성 감염성 위장관염 대응 매뉴얼 … 291
1. 위장관염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성 감염병 … 291
2. 바이러스성 감염성 위장관염의 아웃브레이크 … 292
11장. MRSA 대응 매뉴얼 … 295
1. 서론 … 295
2. MRSA 발생 시의 체크리스트 … 295
3. MRSA의 감염관리 … 296
4. MRSA 환자·가족에게 설명·지도 … 298
5. MRSA 치료 … 298
6. MRSA 대응 해제에 대해 … 299
7. MRSA 스크리닝에 대해 … 299
8. MRSA 감시에 대해 … 301
9. MRSA 레벨 제로 시스템에 대해 … 302
10. ‘플래티넘 병동’과 ‘다이아몬드 병동’에 대해 … 305
12장. 다제내성 그람음성균(MDR-GNR) 대응 매뉴얼 … 310
1. 서론 … 310
2. 전파경로 … 310
3. 발병하기 쉬운 부위 … 311
4. 감성결과에 기초한 관리 방안 … 311
5. MDR-GNR의 감염 방지관리 … 311
6. 보균자·탈보균자의 분류와 대응에 대해 … 313
7. 스크리닝 배양 검사의 적용 … 314
8. 퇴원 후 청소 절차와 담당자 일람 … 315
13장. 클로스트리듐(Clostridium)·디피실(difficile) 대응 매뉴얼 … 319
1. 균의 특성 … 319
2. 전파경로 … 319
3. 기본적 관리 … 319
4. 구체적 관리 … 320
14장. 유행성 각결막염(EKC) 대응 매뉴얼 … 321
1. 총론 … 321
2. EKC에 대한 초기 대응 … 321
3. EKC에 대한 아웃브레이크 발생 전 대응 … 322
4. 아웃브레이크 발생 시의 대응 … 324
5. 외래환자에게 집단 발생한 경우의 대응 … 324
6. 소독법에 대해 … 325
15장. 옴 대응 매뉴얼 … 326
1. 서론 … 326
2. 옴 개선에 대해 … 326
3. 병동에서의 대응 매뉴얼 … 328
4. 외래에서의 대응 매뉴얼 … 329
5. 집단 발생 시의 대응 … 329
16장. 프리온병(크로이츠펠트·야콥병을 포함)의 감염 방지관리 가이드라인 … 330
1. 질환에 대해 … 330
2. 전파경로 … 330
3. 장기별 감염성 … 330
4. 완전한 멸균 방법 … 331
5. 고위험 기술에 관련된 2차 감염 방지관리 … 332
6. 처치 시의 감염관리 … 332
7. 검사 및 수술 시의 감염관리 … 333
8. 부검 및 병리표본 작성 시의 감염관리 … 333
9. 환자 가족에 대한 지도 … 334
17장. 바이러스성 출혈열 대응 매뉴얼 … 341
1. 서론 … 341
2. 대응의 요점 … 341
3. VHF 진료희망자의 유도 … 342
4. VHF 진찰희망환자의 격리진찰실로의 이동 절차 … 342
5. 진찰 순서 … 343
6. 감염 확대방지에 관한 유의사항 … 344
7. 환경정비 절차와 담당자 일람 … 345
부록
1. 컨디션 불량자의 외래 진찰 및 근무자숙에 대해 … 349
2. 직원감염병관리의 관리지침 … 352
3. 보건소에서의 감염병 발생 신고 분류 … 356
4. 주사침 자상 및 절창사고, 혈액·체액으로 인한 점막 노출 후의 구급요법 … 362
5. 경계해야 할 미생물 등의 리스트(ALERT ORGANISM SURVEILLANCE) … 363
6. 경계해야 할 질환 및 증상 리스트(ALERT CONDITIONS) … 364
7. 감염 노출 후 예방투여(PEP) 일람 … 365
8. 산소유량계의 가습용 증류수의 사용기준 … 366
9. 환경청소용 천의 사용기준에 대해 … 367
10. 청소담당자 작업 매뉴얼 … 368
참고문헌 … 375
저자소개
책속에서
감염관리는 그 대상의 범위가 상당히 넓기 때문에 다종다양한 사항에 대해 실시해야 한다. 학회발표 등을 통해 성과가 확인된 사항에 대해 실시할 때 관리활동의 핵심 부분까지 미치지 못한다면, 의료시설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성과는 나타나지 않는다. 마치 이정표가 없는 광활한 사막에서 출구를 찾아 헤매는 것과 같은 상태가 되어, 결국에는 지쳐버리게 된다. 감염관리라는 광대한 벌판을 앞에 두고, 어떻게 전체적인 구상을 할 것인가? 먼저 목적과 접근법마다 구획을 정하고, 각각에 대한 감염관리대책을 맞추어가는 작업을 하면, 자연스레 전체 구상(Grand Design)은 완성된다. 이 장에서는 전체 구상에 대해 소개하고, 그 구상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감염관리담당자가 존재감을 발휘할 수 있는 최고의 자리는 바로 아웃브레이크 대책이다. 이러한 난국에서 강한 리더십을 발휘하고 명확한 방향을 제시하면서, 현장 직원들이 주체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이끌어가면, 다음부터는 현장 직원들을 강력한 아군으로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아웃브레이크가 발생한 현장의 직원들을 실패자로 낙인을 찍어 무조건 해결하려 든다면, 체면이 구겨져버린 현장의 직원들이 저항세력이 되어버릴 수 있다. 감염관리담당자는 어디까지나 해결 수단을 지도하는 입장임을 잊지 말고, 당사자가 마지막까지 해결할 수 있도록 대응하지 않으면 안 된다.
‘표준주의’는 미국 질병예방관리센터(CDC)가 제창하고 있는 방법으로, “의료종사자에게 있어서 위험한 혈액과 체액으로 인해 매개되는 감염병 예방을 위해 고안된 예방관리가다”.1) ‘표준주의’는 의료종사자의 보호와 동시에, 많은 병원체의 전파를 예방하고, 의료 관련 감염의 감소에 크게 공헌하고 있다는 것은 이미 널리 인정되고 있다.
‘표준주의’의 목적은 환자, 직원 및 내방자에게 전염될 우려가 있는 미생물에 노출되는 위험성을 경감시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