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경영/공연기획
· ISBN : 9788955967999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7-07-10
책 소개
목차
서문
들어가는 말
제0장 전시란 무엇인가
01. 전시
02. 전시의 목적 및 효과
03. 전시의 구성 요소
04. 전시의 분류
제1장 박물관전시
1. 박물관전시란
01. 박물관전시의 개요
02. 박물관전시의 추세
03. 박물관전시 업무
2. 박물관전시의 종류
01. 형식에 따른 분류
02. 목적에 따른 분류
03. 연출방법에 따른 분류
3. 박물관전시의 과정
01. 기획단계
02. 디자인단계
03. 설치단계
04. 평가단계
4. 박물관전시기술의 다양성
01. 건축 및 인테리어 요소
02. 빛, 조명 그리고 색
03. 진열시스템
04. 그래픽
05. 매체
5. 박물관전시의 관리
01. 전시의 운영 및 관리
제2장 미술관전시
1. 미술관전시란
01. 미술관의 역할과 기대
02. 미술관전시의 개요
2. 미술전시의 구성 요소와 과정
01. '전시' 그리고 '전시디자인'
02. 전시의 구성 요소와 관계
03. 미술전시디자인 과정
3. 전시의 해석과 실행
01. 프로젝트와 아이디어
02. 실행 - 조건의 해석 / 디자인 전개 / 공간구조 설계
제3장 과학전시
1. 과학전시란
01. 과학전시의 개요
02. 박물(博物)전시에서 분화한 과학전시
03. 과거, 현재, 미래를 함께 다루는 과학전시
2. 과학전시의 종류
01. 사물의 역사를 다루는 자연사박물관
02. 기술의 발전을 전시하는 과학기술(산업)관
03. 과학원리를 체험하는 과학관
04. 대중을 향해 열린 창, 연구기관의 전시관
05. 기업의 홍보형 과학관
06. 살아있는 생물을 전시하는 동물원, 식물원, 수족관
07. 종합 - 전시의 주제별 전시대상
3. 과학전시의 과정
01. 과학전시의 과정 - 국립생물자원관을 중심으로
02. 전시기획의 근본
03. 기획의 재료가 되는 연구
04. 다분야 전문가가 참여하는 집단 창작
05. 전시콘텐츠 개발과 제작
06. 전시계획서 작성
4. 생물전시기술
01. 생물표본의 확보와 제작?관리
02. 생물표본의 전시연출
03. 디오라마와 모형
04. 전시조명
05. 그래픽패널
06. 라벨
07. 체험형 전시
08. 살아있는 동물의 전시
5. 관람객 서비스
01. 관람객 서비스의 설계
02. 관람객 서비스 평가
03. 서비스 표준화
제4장 어린이박물관에서의 전시
1. 어린이박물관에서의 전시란
01. 어린이박물관의 전시 개념 및 현황
02. 어린이박물관전시의 역사
03. 어린이박물관전시의 직업군
04. 어린이의 발달 및 교육학적 이론
2. 어린이박물관에서의 전시 과정
01. 어린이박물관의 전시기획 과정
3. 어린이박물관의 전시기술 다양성
01. 로 테크(Low Tech) 전시기법
02. 미디어 활용 전시기법
03. 사인 및 그래픽
04. 기타 - 색채, 간섭, 공간
05. 사후 운영 관리 외
4. 어린이박물관의 전시 참고자료
01. 미국의 어린이박물관
02. 미국의 어린이과학관
제5장 테마전시
1. 테마전시란
01. 개요
02. 특징
2. 테마전시의 유형
01. 기업테마박물관
02. 지역테마박물관
03. 기념관
04. 사립테마박물관
05. 문화콘텐츠전시관
3. 다양한 테마전시기술
01. 스토리텔링전시
02. 엔터테인먼트 전시
03. 디지털기술전시
04. 소셜네트워크와 연계된 전시
05. 관람객의 참여와 경험을 위한 전시
4. 전시 과정
5. 전시 매니지먼트
01.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02. 새로운 전시콘텐츠 개발
03. 저작권 등 법적 리스크 관리
04. 시설 및 인력 관리
제6장 산업전시
1. 산업전시란
01. 산업전시의 개요
02. 산업전시의 현황
03. 산업전시의 역사
04. 산업전시의 구성 요소
2. 산업전시의 종류와 디자인
01. 전시장디자인
02. 부스디자인
3. 부스전시의 과정
01. 전시 참가의 목적
02. 부스디자인
03. 부스 연출 및 실연
04. 테마 코너의 연출 계획
05. 부스 운영
06. 전시 이미지 통합
4. 전시를 위한 관리
5. 산업전시의 전망과 방향
제7장 리테일전시
1. 리테일전시란
01.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개요
02.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디자인 영역
03. 비주얼 머천다이징과 디스플레이디자인의 관계
04. 비주얼 머천다이징의 목적
2. 리테일전시의 종류
01. 고품격 감성 지향 업태별 전시
02. 대중적 이성 지향 업태별 전시
03. 감성과 이성을 절충한 업태별 전시
3. 리테일전시의 과정
01. 기획
02. 디자인단계
03. 실행
04. 브랜드 오픈 또는 리뉴얼 전시프로젝트 사례
05. 연간 영업 행사에 따른 테마전시 사례 - 대형 마트
06. 연간 시즌에 따른 테마전시 사례 - 백화점
4. 리테일전시기술의 다양성
01. 인공조형물을 활용한 전시
02. 일상적인 소품을 활용한 전시
03. 마네킹 및 바디를 활용한 전시
04. 캐릭터를 활용한 전시
05. 그래픽물을 활용한 전시
06. 조명을 활용한 전시
07. 무빙을 활용한 전시
08. 디지털 영상을 활용한 전시
09. 증강현실을 활용한 전시
5. 리테일전시의 관리
01. 브랜드 이미지 관리
02. 매장 관리
03. 판매원 교육 관리
04. 협력업체 관리
6. 리테일전시의 전망과 방향
저자 소개
저자소개
책속에서
전시의 기본적인 목적은 교육, 소통, 감상, 엔터테인먼트, 수익 창출, 홍보?마케팅 등이다. 그런데 실제로는 교육이나 감상을 통해 즐거움을 느끼기도 하며, 홍보와 동시에 교육이 이루어지기도 하므로 목적을 하나로 규정하기는 어렵다.
전시는 관람객들에게 어떠한 목적을 달성하기에 유용한 방법이다. 전시가 성공적이라는 것은 메시지를 잘 전달했다거나 또는 주최 측의 의도에 맞게 관람이 이루어졌다는 뜻이다..
그래픽은 박물관에서 가장 직접적으로 관람객과 커뮤니케이션하는 주된 매체다. 그래픽은 눈에 잘 띄어 보기가 쉽지만, 관람객의 연령 등에 따라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며 교체가 쉽지 않다. 이러한 한계 때문에 사인류의 그래픽은 픽토그램을 많이 활용하고 있으며, 설명문의 내용은 스마트폰을 사용한 NFC나 비콘 등으로 대체되고 있다.
미술전시디자인에 대한 변화와 흐름을 살펴보고 실제 프로젝트 사례 나눔을 통해 기존 화이트큐브 전시방식, 즉 예술로부터 주변 요소를 지우는 탈맥락화 방식이 아닌, 전시의 다양한 요소와 작품이 관계를 맺으며 이야기를 새롭게 끌어내는 재맥락화 방식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전시방식은 우리에게 이미 익숙한 콘텐츠라 할지라도 작품을 대하는 새로운 시선과 태도를 갖게 함으로써 작품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경험이 가능해지며, 문화콘텐츠가 지속 가능한 자생력을 갖게 하는 힘이 될 수 있음을 이야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