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간판 없는 거리

간판 없는 거리

김남석 (지은이)
푸른사상
13,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420원 -10% 2,500원
690원
14,230원 >
12,420원 -10% 2,500원
0원
14,9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9,6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간판 없는 거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간판 없는 거리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88956408507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11-09-15

책 소개

'푸른사상 산문선' 3권. 2011년 현재 국립 부경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재직하고 있는 김남석 교수의 첫 산문집이다. 저자 김남석은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고 문학평론가, 영화평론가, 연극평론가 등으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저자는 첫 산문집을 통해 영화, 연극, 문화 등에 관한 관심을 예리하게 그려내면서 다양한 길 걷기를 통해 실존의식을 탐구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제1부 길 위에서의 명상

거리의 춤꾼들
한옥을 돌아보다
간판 없는 거리
문화의 거리 명동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국경의 이편과 저편
올레를 걷다
바다 축제와 ‘즐김’의 문화
마음의 문을 연다는 것
길의 논리
옛길의 아름다움과 새 길의 편리함
집으로 돌아가는 길

제2부 영화와 사회

외모는 괴로워
당신의 삶과 우리의 삶
감각이 사라진 시대
‘함께 산다’는 것의 어려움
달라져야 하는 것들
고개 숙인 남자들 음악을 시작하다
소음 속으로 난 길
『삼국지』에서 가려졌던 것들의 아름다움을 보다
죽음과 싸우는 사람들
떠나야 할 때 떠나는 사람들
우리에게 흡혈귀가 필요한 이유·1
우리에게 흡혈귀가 필요한 이유·2
원망 소리 없는 <워낭소리>
가족이 된다는 건
한국 영화의 소박한 외출

제3부 마음의 기록들

마음의 청소
나무를 존중하는 마음
일상의 틈새에 깃든 해방의 시간들
변화하는 쓸 것들
술집에서 공부하다
글 속에 담긴 마음
백화점에서 길을 잃다
처음으로 돌아오는 연습
가을이 되면

제4부 우리 문화의 지형도

부산국제영화제는 없다
시민들과 함께 하는 영화제를 기다리며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하는 부산국제영화제
어두운 시대를 ‘그냥’ 건너는 법
미래가 있는 연극제
한국의 ‘극장’을 가다
매우 오래된 연극
지금, 부산은 뮤지컬과 열애 중
경성의 스캔들이 서울의 연극으로
문화의 지도
밀양으로의 초대
두 개의 극단, 두 개의 길
디지털, 젊음을 캐스팅하다

제5부 문화에 대한 잡담들

만화가게에 가다
이종격투기를 보러 가다
문학이 우리 곁을 떠나고 있다
우리가 말을 지켜야 하는 이유
문화적 다양성이 살아나는 대학로를 위하여
무엇을 위한 누구의 축제인가
화장실에 대한 명상
4분 33초의 반란 혹은 여유
계간지 시대를 살아가며
약속 없는 사회

■원고 출전

저자소개

김남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3년 서울에서 출생하여 1992년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하였고 그 뒤 동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수학했다. 1999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문학평론 「여자들이 스러지는 자리-윤대녕 론」이 당선되어 문학평론가가 되었고, 대학원에서는 드라마(연극)를 전공하여 2000년 「오태석 희곡의 개방성 연구」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2003년 「1960~70년대 문예영화 시나리오의 영상 미학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3년 『조선일보』에 「숨어 있는 희망을 기다리는 두 사내」를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연극평론 활동을 시작했고, 2007년에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영화평론 「경박한 관객들-홍상수 영화를 대하는 관객의 시선들」이 당선되어 영화평론가가 되었다. 연극 관련 연구서로 『조선의 여배우들』(2006년), 『조선의 대중극단들』(2010년), 『조선의 대중극단과 공연미학』(2013년), 『전위무대의 공연사와 공연미학』(2013년), 『부두극단의 공연사와 공연 미학』(2014년), 『연변의 연극과 조선족 극작가들-역사적 상흔과 그 기록으로서 희곡문학』(2018년), 『조선의 지역 극장』(2018년), 『영남의 지역 극장』(2018년), 『조선 대중극의 용 광로 동양극장(1~2)』(2018년), 『전북의 지역 극장』(2020년), 『조선 연극과 무대미술(Ⅰ~Ⅱ)』(2021년), 그리고 『조선 신극의 기치 극예술연구회(Ⅰ/Ⅱ-1/Ⅱ-2)』(2023년)을 저술한 바 있다. 1930년대를 근간으로 한 한국 근대극의 풍경을 탐구하려는 마음을 끝까지 잃지 않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1920년대 조선 연극 풍경을 다룬 이 책 역시 그러한 마음과 노력의 연장선상에서 집필하고자 했다. 한 책에서 이미 말했던 바와 같이, 넓은 연극의 길에서 길을 잃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 가득하고, 나 자신이 가고자 하는 길을 멈추지 않고 떠날 수 있는 용기를 간직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 역시 가득하다.
펼치기

책속에서

나는 내가 늘 여행 중이라고 생각하곤 했다. 눈을 떠보면, 나는 낯선 곳의 대합실에 앉아 있곤 했다. 조금 있으면 버스나 기차가 출발하고, 그 버스나 기차는 으레 내가 타야 할 것들이었다. 서울과 부산을 5년 동안 오고 갔으며, 그것에 지치면 설악산으로, 지리산으로, 서해로, 제주도로, 때로는 해외로, 늘 어디론가, 이곳이 아닌 곳을 향해 움직이곤 했었다. 이 산문집은 이러한 ‘나의 여행의 기록’이다. 아니 더 정확하게 말하면 방황과 도피의 기록이라고 하는 편이 옳을지도 모른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