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간호학 > 간호학 일반
· ISBN : 9788956408798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1-11-29
책 소개
목차
■ 머리말
제1부 간호의 본질
1. 간호란 무엇인가
2. 한국 간호가 간호과학으로 간 이유
3. 간호과학의 길
4. 간호는 인간이해부터다
5. 인문간호 도입 타당성
6. 몸과 생명
7. 간호는 맨손으로 할 수 없을까
8. 놓칠 수 없는 간호개념, ‘상황’
제2부 돌봄의 미학
1. 돌봄이란 무엇인가
2. 돌봄의 시작, 바라보기 1
3. 돌봄의 시작, 바라보기 2
4. 돌봄의 시작, 바라보기 3
5. 간호력(力)을 간호력(歷)에 쓴다
제3부 간호철학
1. 인간이해
2. 창의, 상상 그 위 자존감
3. 철학적 접근 : 삶과 간호
4. 간호는 의학적이고 싶지 않다
제4부 간호문화
1. 관계와 소통
2. 몸-삶-간호, 문화
3. 간호문화, 이제 인식할 때이다
4. 관찰과 오감
5. 간호사들의 건강 점검
6. 환자건강예술 총 단장은 간호사
7. 간호(학)와 통섭
제5부 간호의 미래(신간호)
1. 생명+리더십+문화의 시대
2. 새 나이팅게일 탄생
3. 지금 간호(학)에서는 무엇이 대세인가?
4. 세상의 트렌드를 읽고 소통하다
5. 간호를 디자인하라
6. 간호의 신소재: 자연생태적 간호
7. 간호의 꽃: 인문간호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인간의 생명을 총체적으로 보는 시각이 부족했음을 생명의 시대인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가 자성할 대목이다. 몸은 인간 고유의 신체, 정신, 사회, 문화, 심리, 정서, 영적 측면을 총체적으로 고려해서 봐야 이해가 가능하다.
현대는 과학만능의 시대이지만 생명과 과학을 다시금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대상자의 느낌, 의도, 가치관은 인문적 소산이요 경험의 총체로써 그것들이 곧 몸의 역사가 된다. 과학은 인간이 만들었지만 인간은 자연에서 태어났다. 과학이 치료의 방편일 수 있으나 의학의 본질이 과학이라 말하기 힘들다. 과학과 기술 문명이 발명한 의료기기는 치유의 한 방법이 되나 생명 돌봄행위인 간호의 본질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