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교원임용시험 > 중등 전공
· ISBN : 9788956435251
· 쪽수 : 478쪽
· 출판일 : 2013-09-13
책 소개
목차
01 영양교육
chapter1 영양교육의 개념/21
1 영양교육의 정의/21
2 영양교육의 중요성/21
3 영양교육의 목적과 목표/22
4 영양교육의 주요 내용/23
5 영양교육의 효과/23
6 영양교육 실시자의 업무와 실시 과정/24
7 영양교육의 진행 과정/25
8 영양교육의 실행/28
9 영양교육의 곤란성/29
10 단원문제/30
chapter 2 식생활의 변화와 영양권장?출납법/40
1 식생활의 변화/40
2 영양섭취기준/43
3 영양출납법/43
4 단원 문제/45
chapter 3 교수설계법/49
1 교수설계의 정의/49
2 교수설계 모형/49
3 단원 문제/53
chapter 4 영양교육의 이론과 방법/55
1 영양교육의 이론/55
2 영양교육의 방법과 상담/67
3 교육대상에 따른 영양교육의 분류/70
4 단원 문제/81
chapter 5 매체를 이용한 영양교육/103
1 매체의 정의와 기능/103
2 매체의 선택에 관한 이론/104
3 교육매체 개발 모형/105
4 교육매체의 종류/107
5 영양교육 매체의 실제 개발 예/112
6 단원 문제/127
chapter 6 영양교육 평가법/139
1 과정평가/139
2 효과판정/140
3 단원 문제/142
chapter 7 영양조사/146
1 영양조사의 정의/146
2 영양조사 진행 과정 중 고려할 사항/147
3 국민영양조사/149
4 단원 문제/150
chapter 8 영양상담(상담실습)/156
1 영양상담의 특징/156
2 대표적 영양상담 이론/157
3 상담의 진행과 상담기법/159
4 영양상담 과정과 기록법/163
5 단원 문제/166
chapter 9 학동기의 영양교육/176
1 학동기의 영양교육 모델/176
2 학교급식과 학교 영양교육/177
3 영양교육 교수?학습 과정안/178
4 CAI를 이용한 교육/186
5 문제중심 학습법/189
6 단원 문제/190
chapter 10 영양교사의 법적 지위/204
1 초?중등 교육법 중 교직원으로서의 정의/204
2 초?중등 교육법 시행령 중 영양교사 배치에 관한 정의/205
3 영양교사의 자격 기준/206
4 학교급식법 시행령 중 영양교사의 업무에 대한 정의/217
5 학교급식법, 시행령과 시행 규칙의 전문/218
02 영양판정
chapter 1 영양판정/257
1 영양판정 정의 및 목적/257
2 영양판정의 중요성/257
3 영양판정의 활용 범위/258
4 영양판정 방법의 종류/258
5 WHO의 영양판정 체계/259
6 영양불량 분류/259
7 영양불량의 진행 과정/260
8 영양판정의 타당도와 신뢰도, 정확도, 무작위 측정 오차, 체계적 측정 오차, 민감도/262
9 영양상태 평가 지표 도구 : 참고치 분포도, 참고치 범위, 한계치/262
10 단원 문제/264
chapter 2 식사섭취 조사법/268
1 식사섭취 조사의 목표와 용도/268
2 식사섭취 부족의 원인/269
3 식사섭취 조사법의 분류/269
4 국가 식사섭취 조사법/269
5 가구 식사섭취 조사법/271
6 개인 식사섭취 조사법/271
7 영양지수에 의한 평가/279
8 식품 섭취 다양성에 대한 평가/280
9 단원 문제/282
chapter 3 생화학적 조사법/288
1 생화학적 검사의 장점 및 단점/288
2 생화학적 조사에 사용되는 시료/288
3 시료의 수집 및 보관/288
4 생화학적 검사 결과의 특징 및 영향을
미치는 요인/288
5 시료의 검사 유형인 성분검사와
기능검사/289
6 생화학적 방법에 의한 단백질의 영양상태 판정/290
7 생화학적 방법에 의한 지질의 영양상태 판정/294
8 생화학적 방법에 의한 철의 영양상태
판정/295
9 혈액검사에 의한 생화학적 검사/297
10 단원 문제/300
chapter 4 신체계측법/306
1 신체계측법의 종류와 장?단점/306
2 신체계측 지표의 활용과 선택/307
3 오차의 출처/307
4 성장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체위계측법/308
5 성장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판정 지수/309
6 신체 구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체지방량 측정 체위계측/311
7 신체 구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제지방량 측정 체위계측/312
8 기기를 이용한 신체 구성 측정법/313
9 단원 문제/316
chapter 5 임상조사법/320
1 임상조사의 특징/320
2 임상조사의 장점 및 단점/320
3 임의적인 영양판정을 위한 징후군들/321
4 임상조사에서 함께 고려해야 할 사항/321
5 영양불량의 임상적 판정/323
6 영양상태를 나타내는 신체적 징후/323
7 단백질-에너지 영양불량 : 콰시오카와 마라스무스/326
8 깃발 징후와 성장부진/326
9 단백질-에너지 영양불량의 분류/326
10 임상조사법의 한계점/327
11 단원 문제/328
chapter 6 입원 환자의 영양상태 평가/330
1 환자의 병력기록/330
2 환자의 식사력/330
3 환자의 신체계측/331
4 환자의 체중 변화에 따른
영양상태의 의미/331
5 환자의 영양상태 평가가 중요한 이유/332
6 환자의 영양판정 의의/332
7 입원 환자의 영양판정 단계에따른 목적/332
8 입원 환자의 영양판정 단계/332
9 입원 환자 영양판정의 제한점/334
10 주관적 평가의 분류 등급 판정 시 주의점 및 장점, 등급 분류/334
11 에너지 요구량의 결정/334
12 환자의 에너지 필요량 산정/335
13 영양선별 발의/336
14 의무기록/336
15 주관적 종합평가/337
16 주관적 종합평가의 분류 기준/337
17 단원 문제/339
chapter 7 연령에 따른 영양상태 평가/341
1 영유아 및 아동의 영양상태 평가/341
2 청소년의 영양상태 평가/345
3 임신기의 영양상태 평가/346
4 성인의 영양상태 평가가 중요한 이유/347
5 노인의 영양상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347
6 단원 문제/348
chapter 8 예방 차원의 질환별 영양상태 평가/356
1 고혈압/356
2 동맥경화증/356
3 당뇨병/357
4 단원 문제/358
03 영양학
chapter 1 올바른 영양관리/363
1 영양상태/364
2 영양상태 평가/364
3 영양상태 평가의 기본원리(ABCD)/364
4 올바른 식생활을 위한 기초/366
5 우리나라 식사구성안/369
6 식품교환표/371
7 한국인을 위한 식사지침/372
8 식품 영양표시제도/373
9 단원 문제/374
chapter 2 탄수화물/378
1 탄수화물의 분류/378
2 탄수화물의 소화와 흡수/381
3 탄수화물의 대사 과정/383
4 탄수화물의 기능/389
5 탄수화물 섭취와 현대인의 건강/391
6 탄수화물 급원식품/393
7 단원 문제/395
chapter 3 지질의 이해/399
1 지질의 분류/399
2 지질의 소화와 흡수/405
3 지질의 대사과정/407
4 지질의 기능/409
5 지질과 건강/411
6 단원 문제/413
chapter 4 단백질의 이해/419
1 단백질의 분류/419
2 단백질의 구조/420
3 단백질의 소화와 흡수/423
4 단백질 및 아미노산 대사과정/424
5 단백질의 기능/426
6 단백질의 질 평가/429
7 단백질 섭취와 현대인의 건강/430
8 단백질 급원식품/434
9 단원 문제/436
chapter 5 에너지와 영양/440
1 식품의 열량가/441
2 인체 에너지 필요량/441
3 에너지 균형/443
4 비만/444
5 단원 문제/455
chapter 6 수용성 비타민/463
1 비타민의 개요/463
2 티아민, 비타민 B1/465
3 리보플라민, 비타민 B2/467
4 나이아신/469
5 비타민 B6/471
6 엽산/474
7 비타민 B12/476
8 판토텐산/478
9 비오틴/479
10 비타민 C/481
chapter 7 지용성 비타민/484
1 비타민 A/484
2 비타민 D/487
3 비타민 E/491
4 비타민 K/493
5 단원 문제/495
chapter 8 다량 무기질/499
1 칼슘/500
2 인/505
3 소디움/506
4 포타슘/509
5 염소/510
6 마그네슘/511
7 황/512
chapter 9 미량 무기질/515
1 철분/515
2 아연/519
3 구리/521
4 불소/523
5 망간/524
6 요오드/525
7 셀레늄/527
8 몰리브덴/528
9 단원 문제/533
chapter 10 생애주기 영양, 성장 및 발달/538
1 성장과 발달/538
2 성장기에 작용하는 호르몬의 종류와 특징/539
3 세포의 성장 단계/539
4 스캐몬의 성장곡선/540
5 노화/540
6 단원 문제/541
chapter 11 모성영양과 태아영양/547
1 모성영양과 태아영양/547
2 수유부의 영양/557
3 단원 문제/561
chapter 12 성장영양/567
1 영아기 영양/567
2 유아기 영양/574
3 학령기 영양/578
4 청소년기 영양/582
5 단원 문제/587
chapter 13 방어영양/599
1 성인기 영양/599
2 노년기 영양/603
3 단원 문제/605
04 식사요법
chapter1 식사요법의 개요/613
1 식사요법의 개요/613
2 환자 영양상태 판정/614
3 단원 문제/616
chapter2 식사형태에 따른 식사요법 /622
1 일반식/622
2 경식/623
3 연식/623
4 유동식/624
5 영양지원/626
6 치료식사/627
7 단원 문제/628
chapter3 학교 내에서 쉽게 접하는 식사요법/634
1 비만/634
2 저체중/646
3 아토피/649
4 편식/653
5 고혈압 아동관리/654
6 당뇨병/664
7 단원 문제/671
chapter4 학교 내에서 접할 수 있는 식사요법/689
1 빈혈/689
2 변비/691
3 골다공증/692
4 거식증과 폭식증/695
5 선천성 대사장애/697
6 단원 문제/701
chapter5 학교 외에서 쉽게 접하는 식사요법/715
1 위염과 위궤양/715
2 장염/717
3 설사/718
4 젖당불내성과 글루텐 과민질환/719
5 간질환/720
6 Na 섭취 제한/722
7 단원 문제/723
부 록
한국인영양섭취기준(KDIRs,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7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