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7/9급 공무원 > 한국사 > 7/9급 교재
· ISBN : 9788956435831
· 쪽수 : 1244쪽
· 출판일 : 2014-10-24
책 소개
목차
1권
1편 한국사의 이해
2편 선사시대와 초기국가
1장 선사 시대
02 석기 시대 24
03 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 32
2장 초기 국가
04 고조선 46
05 연맹 국가 52
1장 한국사의 이해
01 한국사의 이해 12
2장 고대의 정치
07 삼국 건국과 1~3세기 삼국 형세 76
08 4세기~5세기의 삼국 형세 83
09 6세기~7세기의 삼국 형세 91
10 삼국의 통치 체제 99
11 삼국의 대외 관계 106
12 삼국 통일 114
13 통일 신라 120
14 발해(698~926) 130
3장 고대의 경제와 사회
15 삼국의 경제 140
16 남북국의 경제 148
17 고대의 사회 157
18 신라의 3대 제도 166
4장 고대의 문화
19 고대 문화의 성격과 학문 174
20 고대의 불교 187
21 도교와 풍수지리설의 전래 198
22 고대의 과학 기술 205
23 고대의 고분 211
24 고대의 건축과 공예 218
25 고대의 예술 229
26 삼국 문화의 일본 전파 238
27 동북공정과 간도 문제 243
3편 고대
1장 고대의 성립
06 국가 발전 단계와 가야 66
2장 고려의 정치
29 중세의 특징과 태조의 업적 262
30 고려 초기의 왕(혜종~예종) 270
31 고려의 정치 제도 279
32 고려의 군사·과거·교육 제도 285
33 문벌 귀족 사회 292
34 무신정권 299
35 거란·여진과의 항쟁 307
36 몽골과의 항쟁 315
37 원의 내정 간섭 322
38 공민왕의 개혁 정치 329
39 고려 말의 정세 335
4편 고려
(중세)
3장 고려의 경제와 사회
40 고려의 경제 정책과 수취 제도 342
41 고려의 토지 제도 348
42 고려 귀족과 농민의 경제 활동 355
43 고려의 상공업과 무역 361
44 고려의 신분 구조 369
45 고려의 사회 제도와 여성의 지위 378
1장 고려의 성립
28 후삼국과 고려의 건국 254
4장 고대의 문화
46 고려 문화의 특징과 유학의 발달 386
47 고려의 문학과 역사 편찬 394
48 고려의 사상 403
49 고려의 과학 기술 411
50 고려의 예술 419
2권
1편 조선 전기
(근세)
2장 조선 전기의 정치
02 조선 초기의 정치Ⅰ(태조~태종) 18
03 조선 초기의 정치Ⅱ(세종~성종) 27
04 조선의 중앙 통치 체제 38
05 조선의 지방 통치 체제 44
06 조선의 군역과 군사 제도 50
07 조선의 과거 제도와 교육 제도 56
08 사림과 사화(연산군~명종) 64
09 붕당 정치 73
10 명과의 관계 81
11 여진·일본과의 관계 86
12 임진왜란 91
13 붕당 시기의 왕(선조~현종) 99
14 호란과 북벌론 108
1장 조선의 성립
01 조선의 건국 10
3장 조선 전기의 경제와 사회
15 조선 전기의 경제와 토지 제도 116
16 조선 전기의 수취 체제 124
17 사·농·공·상의 경제 활동 132
18 조선 전기의 신분제와 법률 142
19 조선 전기의 향촌과 사회 제도 149
20 예학과 보학 154
21 서원과 향약 159
4장 조선 전기의 문화
22 조선 전기 문화와 한글 창제 168
23 조선 전기의 역사 편찬 175
24 조선 전기의 지리·의례·법전 184
25 성리학의 정착 192
26 성리학의 집대성 199
27 조선 전기의 불교와 민간 신앙 208
28 조선 전기의 과학 기술 214
29 조선 전기의 건축과 공예 225
30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 233
2편 조선 후기
(근대태동기)
2장 조선 후기의 정치
32 통치 체제의 변화 254
33 군사 제도의 변화 258
34 정쟁의 격화(숙종~경종) 263
35 영조의 정치 271
36 정조의 정치 276
37 세도 정치 281
38 농민 봉기 289
39 대외 관계의 변화 294
3장 조선 후기의 경제와 사회
40 영정법과 균역법 300
41 대동법과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 306
42 이앙법 확대와 민영 수공업의 발달 315
43 조선 사회의 변동 324
44 천주교와 동학의 유포 333
4장 조선 후기의 문화
45 성리학의 변화 342
46 실학의 등장과 중농학파 351
47 중상학파(북학파) 362
48 국학 연구 368
49 조선 후기의 과학 기술 377
50 조선 후기의 문학과 예술 388
1장 조선의 변화
31 근대 사회의 태동(胎動) 248
3권
1편 근대 개항기
1장 개관
01 근대 사회의 시작 10
2장 개항기의 정치
02 흥선 대원군 20
03 강화도 조약과 문호 개방 29
04 개화와 위정척사 34
05 임오군란과 개화파의 분열 42
06 갑신정변 49
07 열강의 각축(거문도 사건과 방곡령) 55
08 동학 농민 운동 61
09 갑오개혁과 을미개혁 72
10 을미사변과 아관 파천 80
11 독립 협회 86
12 대한제국과 광무개혁 94
13 항일 의병 101
14 애국 계몽 운동 110
3장 개항기의 경제와 사회
15 열강의 경제 침탈 120
16 경제적 구국 운동 127
17 평등 의식과 의식주의 변화 133
4 차례
4장 개항기의 문화
18 근대 문물의 수용 140
19 근대 교육과 국학 연구 147
20 근대의 문예와 종교 156
2편 일제강점기
2장 일제의 식민 통치
22 독도와 일본군 위안부 180
23 무단 통치와 민족 분열 통치 191
24 민족성 말살 통치 198
25 1910년대 비밀 결사 204
26 3·1 운동 209
27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조직 217
28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시련 223
29 1920년대 학생 항일 운동 229
30 의열 투쟁 236
31 1910년대 국외 독립운동 241
32 1920년대 국외 독립 전쟁 246
33 1930년대 이후 국외 독립 전쟁 254
1장 국권 피탈
21 국권 피탈 과정 166
3장 일제 강점기의 경제와 사회
34 일본의 경제 침탈 262
35 경제적 저항 운동 270
36 동포의 시련과 근대 사회의 변화 276
37 신간회와 사회적 운동 283
4장 일제 강점기의 문화
38 식민지 문화 정책 294
39 민족 문화 수호 운동 301
40 일제 강점기 문화 활동 309
3편 현대
1장 현대의 성립
41 광복과 미·소 군정 322
42 국제 회의 좌·우 합작 운동 330
3장 현대의 경제·사회·문화
49 현대의 경제 388
50 현대의 사회와 문화 395
2장 현대의 정치
43 대한민국 정부 수립 338
44 한국 전쟁 345
45 제1공화국과 제2공화국 353
46 제3공화국과 제4공화국 360
47 제5공화국과 제6공화국 369
48 북한의 정세와 통일 논의 378
3장 현대의 경제·사회·문화
49 현대의 경제 388
50 현대의 사회와 문화 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