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88956603490
· 출판일 : 2010-07-01
책 소개
목차
헤겔의 미학강의 1
-예술미의 이념 또는 이상
차례
역자의 말 4
서장(序章)
Ⅰ. 미학의 범위설정과 예술철학에 반대하는 몇몇 반론에 대한 반박 27
Ⅱ. 미와 예술을 학문적으로 다루는 방식들 51
Ⅲ. 예술미의 개념 69
예술에 대한 통념들 73
1. 인간 활동의 소산으로서의 예술작품 74
2. 인간의 감각을 위해 감각적인 것에서 도출된 예술작품 87
3. 예술의 목적 101
예술의 참된 개념에 대한 역사적인 연역 123
1. 칸트 철학 124
2. 실러, 빙켈만, 셸링 132
3. 아이러니 138
주제의 구분 149
제1부 예술미의 이념 또는 이상(理想)
유한한 현실과 종교 그리고 철학과 관련해서 본 예술의 입지 181
제1장 미의 일반적인 개념 201
1. 이념 201
2. 이념의 현존성 208
3. 미의 이념 209
제2장 자연미 216
A. 자연미 자체 216
1. 생명으로서의 이념 216
2. 자연적인 생동성의 미 227
3. 자연적인 생동성을 고찰하는 방식들 236
B. 감각적 질료 속에 깃든 추상적인 형태와 추상적인 통일성의 외적인 미 241
1. 추상적인 형태의 미 242
a. 규칙성 242
b. 법칙성 248
c. 조화 250
2. 감각적인 질료가 추상적으로 통일되어 드러난 미 252
C. 자연미의 결함 254
1. 직접성 속에 오직 내면으로서만 존재하는 내면 257
2. 직접적이고 개별적인 현실존재가 지니는 의존성 261
3. 직접적이고 개별적인 현실존재가 지니는 한계성 265
제3장 예술미의 이념 또는 이상(理想) 269
A. 이상 자체 269
1. 미적인 개성 269
2. 이상과 자연의 관계 282
B. 이상의 피규정성 306
Ⅰ. 이상의 피규정성 자체 307
1. 통일성이면서 보편성인 신성(神性) 307
2. 신들의 신성한 영역 308
3. 평정(平靜)한 이상 309
Ⅱ. 행위 311
1. 일반적인 세계 상태 313
a. 개인의 독자성이 나타난 영웅시대 314
b. 오늘날의 범속한 상태 337
c. 개인적인 독자성의 재건(再建) 339
2. 상황(狀況) 345
a. 상황 부재성 349
b. 특정한 상황 속에 들어있는 무해성 350
c. 충돌 357
3. 행위 378
a. 행위에 깃들어 있는 보편적인 위력들 382
b. 행동하는 개인들 393
c. 성격 413
Ⅲ. 이상의 외적인 피규정성 432
1. 추상적인 외면성 자체 435
2. 구체적인 이상(理想)과 그것이 외적인 실재성으로 드러날 때의 조화 444
3. 이상적인 예술작품의 외면성과 관객과의 관계 460
C. 예술가 493
1. 상상력, 천재, 영감 493
a. 창조적 상상력 493
b. 재능과 천재성 496
c. 영감 501
2. 표현의 객관성 504
3. 매너리즘, 양식(樣式) 그리고 독창성 508
a. 주관적인 매너리즘 509
b. 양식(樣式) 512
c. 독창성 514
찾아보기 523
헤겔의 미학강의 2
-예술미의 여러 특수한 형식들로 발전하는 이상
차례
역자의 말 4
제2부 예술미의 여러 특수한 형식들로 발전하는 이상(理想)
서문(序文) 29
제1편 상징적 예술형식 33
서론:상징일반에 대해서 35
분류 52
1. 무의식적인 상징표현 58
2. 상징적으로 표현되는 숭고함 60
3. 비유적인 예술형식이 지닌 의식적인 상징표현 62
제1장 무의식적인 상징표현 65
A. 의미와 형상의 직접적인 일치 66
1. 조로아스터교 68
2. 조로아스터교가 지닌 비상징적인 유형 74
3. 조로아스터교의 비예술적인 이해와 표현 78
B. 환상적인 상징표현 83
1. 인도인들이 이해하는 브라만 86
2. 인도인의 상상력에 깃든 감각성, 무절제함, 의인화(擬人化) 행위 88
3. 정화(淨化)와 속죄에 대한 직관 109
C. 원래의 상징표현 111
1. 이집트인의 직관과 사자(死者)를 표현한 피라미드 122
2. 동물숭배와 동물가면(假面) 125
3. 완벽한 상징표현인 멤논, 이시스, 오시리스, 스핑크스 127
제2장 상징적으로 표현되는 숭고함 136
A. 예술 속에 들어있는 범신론 140
1. 인도의 시문학 142
2. 마호메트교의 시문학 146
3. 기독교의 신비주의 154
B. 숭고함의 예술 155
1. 세계의 창조주이자 주인으로서의 신 158
2. 신성이 박탈된 유한한 세계 160
3. 인간이라는 개체 162
제3장 비유적인 예술형식 속에 들어있는 의식적인 상징표현
A. 외적인 것에서 시작되는 비유들 171
1. 우화(寓話) 173
2. 비유담(比喩談), 속담, 교훈적인 이야기 186
a. 비유담 186
b. 속담 192
c. 교훈적인 이야기 192
3. 변형 193
B.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의미에서 시작되는 비유들 197
1. 수수께끼 200
2. 알레고리 202
3. 은유, 이미지, 비유 208
a. 은유 209
b. 이미지 219
c. 비유 222
C. 상징적 예술형식의 소멸 241
1. 교훈시 243
2. 서술적인 시(詩) 245
3. 고대의 경구(警句) 245
제2편 고전적 예술형식 251
서론:고전적인 것 일반에 관해서 253
1. 정신과 정신의 자연형태가 스며든 고전적인 것의 독자성 259
2. 고전적인 이상이 현실적인 존재로 드러난 그리스예술 266
3. 고전적 예술형식 속에서 창조해내는 예술가의 위상 268
분류 272
제1장 고전적 예술형식이 형태화되는 과정 276
1. 동물적인 것의 위상(位相) 하락 279
a. 동물의 희생 280
b. 동물사냥 282
c. 변형 283
2. 옛 신들과 새로운 신들의 투쟁 294
a. 신탁 298
b. 새로운 신들과 구별되는 옛 신들 302
c. 옛 신들에 대한 승리 316
3. 부정적으로 설정된 요소들의 긍정적인 보존 321
a. 비교(秘敎) 322
b. 예술표현 속에서 보존되는 옛 신들 325
c. 새로운 신들이 지닌 자연적인 기반 328
제2장 고전적 예술형식의 이상(理想) 337
1. 고전적 예술형식일반이 지닌 이상 338
a. 예술의 자유로운 창조에서 산출되는 이상 339
b. 고전적인 이상인 새로운 신들 346
c. 외적인 표현방식 353
2. 특수한 신들의 영역 354
a. 다양한 신들의 개체 355
b. 체계적인 분류의 결핍 355
c. 신들의 영역이 지니고 있는 기본 성격 357
3. 신들 각각의 개성 360
a. 개성화를 위한 소재 361
b. 윤리적인 바탕의 보존 375
c. 우아함과 매력으로의 이행(移行) 377
제3장 고전적 예술형식의 해체 379
1. 운명 379
2. 신들이 인간화됨으로써 야기되는 신들의 해체 381
a. 내적인 주관성의 결여 382
b. 기독교적인 것으로의 이행이 새로운 예술의 대상이 되다 386
c. 본래의 영역에서 해체되는 고전적인 예술 392
3. 풍자(Satire) 395
a. 고전적인 예술의 해체와 상징적인 예술의 해체의 차이 396
b. 풍자 396
c. 풍자의 고향이었던 고대 로마세계 398
제3편 낭만적 예술형식 405
서론:낭만적인 것 일반에 대하여 407
1. 내적인 주관성의 원리 408
2. 낭만적인 것의 내용과 형식이 지닌 좀 더 상세한 요소들 410
3. 낭만적인 표현방식과 그 내용의 관계 417
분류 422
제1장 낭만적인 예술의 종교적인 영역 424
1. 그리스도의 구원사 429
a. 외관상 보이는 예술의 불필요성 431
b. 예술의 필연적인 등장 431
c. 외적인 현상이 지니는 우연적인 개별성 432
2. 종교적인 사랑 436
a. 사랑이라는 절대자의 개념 437
b. 심정 437
c. 낭만적인 이상으로서의 사랑 438
3. 공동체의 정신 432
a. 순교자들 444
b. 내면의 참회와 전향 450
c. 기적과 전설 453
제2장 기사도 455
1. 명예 463
a. 명예의 개념 463
b. 상처받기 쉬운 명예 467
c. 명예의 회복 468
2. 사랑 469
a. 사랑의 개념 470
b. 사랑의 충돌 476
c. 사랑의 우연성 479
3. 충성 482
a. 충성스러운 봉사 483
b. 충성 속에 들어 있는 주관적인 독자성 484
c. 충성에서 나타나는 충돌 485
제3장 개인의 특수성에 깃든 형식적인 독자성 489
1. 개인의 성격이 지닌 독자성 493
a. 성격의 형식적인 견고함 494
b. 내적이지만 아직 완전히 형성되지 않은 총체성으로서의 성격 499
c. 형식적인 성격을 내세울 때의 본질적인 관심 507
2. 모험성 509
a. 목적과 충돌의 우연성 510
b. 희극적으로 다루어지는 우연성 515
c. 소설적인 것 521
3. 낭만적 예술형식의 해체 523
a. 기존의 것을 주관적인 예술로 모방하는 일 526
b. 주관적인 해학 535
c. 낭만적 예술형식의 종말 538
찾아보기 559
헤겔의 미학강의 3
-개별 예술들의 체계
역자의 말 4
제3부 개별 예술들의 체계
서문(序文) 31
분류 42
제1편 건축 55
제1장 독자적이고 상징적인 건축 64
1. 민족들의 결속체로서 세워진 건축작품들 70
2. 건축술과 조각 사이에서 유동적인 건축작품들 76
a. 남근상(男根像)을 상징하는 원주 따위 77
b. 오벨리스크, 등등(等等) 81
c. 이집트의 신전건물들 85
3. 독자적이고 상징적인 건축으로부터 고전적인 건축으로의 이행(移行) 93
a. 인도와 이집트의 지하건축물들 93
b. 사자(死者)들의 집, 피라미드 따위 96
c. 목적에 이용되는 건축술로의 이행 103
제2장 고전적인 건축 114
1. 고전적인 건축의 일반적인 특성 115
a. 특정한 목적에 이용될 가능성 115
b. 자신의 목적에 알맞은 건축물 118
c. 기본유형으로서의 집 119
2. 건축 형태들의 특수한 기본규정들 120
a. 목조건축과 석조건축에 대해서 120
b. 신전 건축물의 특수한 형태들 123
c. 전체적인 것으로서의 고전적인 건축 135
3. 고전적인 건축의 여러 가지 건축술 140
a. 도리아식, 이오니아식, 코린트식의 원주배치 140
b. 고대 로마의 둥근 천장 구조 146
c. 로마 건축의 일반적인 특성 150
#제3장# 낭만적인 건축 152
1. 일반적인 특성 152
2. 특수한 건축 형태화의 방식 154
a. 기본형태로서 완전히 닫힌 건물 154
b. 내부와 외부의 형태 156
c. 장식의 방식 170
3. 낭만적인 건축의 여러 건축양식 172
a. 고딕식 이전(以前)의 건축술 172
b. 원래의 고딕식 건축술 174
c. 중세의 민간 건축술 175
제2편 조각 179
제1장 원래의 조각의 원리 193
1. 조각의 본질적인 내용 194
2. 미적인 조각의 형상 198
a. 현상에서 배제되는 개별성 202
b. 얼굴표정의 배제 203
c. 실체적인 개성 204
3. 고전적인 이상이 깃든 예술로서의 조각 204
제2장 조각의 이상(理想) 209
1. 이상적인 조각형상이 지닌 보편적인 특성 212
2. 이상적인 조각형상 자체의 특수한 측면들 218
a. 고대 그리스적인 인물상의 윤곽 218
b. 신체의 자세와 동작 236
c. 의상 242
3. 이상적인 조각형상들이 지닌 개성 257
a. 첨가물, 무기, 치장 따위 259
b. 나이, 성, 신들, 영웅들, 인간들, 동물들의 차이 266
c. 개별적인 신들의 표현 275
제3장 표현과 재료의 다양한 종류 및 조각의 역사적인 발전단계들 283
1. 표현 방식들 284
a. 개별적인 조각상 284
b. 군상 288
c. 부조 294
2. 조각의 재료 295
a. 목재 297
b. 상아, 금, 청동, 대리석 298
c. 보석과 유리 306
3. 역사적인 발전단계들 308
a. 이집트의 조각 309
b. 그리스인들과 로마인들의 조각 317
c. 기독교의 조각 323
제3편 낭만적인 예술 329
제1장 회화 338
1. 회화의 일반적인 특성 340
a. 내용의 중요한 규정 345
b. 감각적인 회화의 재료 348
c. 예술적으로 다루기 위한 원리 357
2. 회화의 특수한 피규정성 362
a. 낭만적인 내용 362
b. 감각적인 질료에 대한 더 상세한 규정들 399
c. 예술적인 구상과 구성 그리고 특성 살리기 417
3. 회화의 역사적인 발전 448
a. 비잔틴 회화 450
b. 이탈리아 회화 453
c. 네덜란드 회화와 독일 회화 468
제2장 음악 476
1. 음악의 일반적인 특성 482
a. 조형예술들 및 시문학과의 비교 483
b. 내용의 음악적인 해석 494
c. 음악의 효과 498
2. 음악적인 표현수단이 지닌 특수한 피규정성 505
a. 템포, 박자, 리듬 509
b. 화음 519
c. 선율 533
3. 음악적인 표현수단과 내용과의 관계 538
a. 반주 음악 543
b. 독자적인 음악 563
c. 예술적인 연주 568
제3장 시문학 573
A. 산문과 구별되는 시예술작품 588
1. 시적인 이해와 산문적인 이해 589
a. 시와 산문이 이해하는 내용 589
b. 시적인 표상과 산문적인 표상의 차이 590
c. 시적인 직관의 개별화 596
2. 시적인 예술작품과 산문적인 예술작품 598
a. 시적인 예술작품 일반 599
b. 역사서술 및 수사학과 구분되는 시문학 608
c. 자유로운 시 예술작품 618
3. 시를 짓는 주관성 622
B. 시적인 표현 626
1. 시적인 표상 627
a. 원래의 시적인 표상 627
b. 산문적인 표상 632
c. 산문에서 생겨나는 시적인 표상 633
2. 언어의 표현 634
a. 시적인 언어 일반 635
b. 시적인 언어의 수단 635
c. 수단들을 이용하는 데 있어서의 차이 637
3. 시의 운문화 641
a. 리듬을 띠는 운문화 645
b. 압운 656
c. 리듬을 띤 운문과 압운의 결합 668
C. 시문학 장르의 차이들 672
Ⅰ. 서사시 678
1. 서사적인 것의 일반적인 특성 679
a. 경구, 금언, 교훈시 679
b. 철학적인 교훈시, 우주진화론, 신통기 681
c. 원래의 서사시 684
2. 원래의 서사시가 지닌 특수한 규정들 693
a. 서사시의 일반적인 세계상태 694
b. 개성적인 서사적 행위 709
c. 통일성이 넘치는 총체성으로서의 서사시 732
3. 서사시의 발전사 755
a. 동양의 서사시 757
b. 고대 그리스인들과 로마인들의 고전적인 서사시 763
c. 낭만적인 서사시 765
Ⅱ. 서정시 784
1. 서정시의 일반적인 특성 786
a. 서정적인 예술작품의 내용 787
b. 서정적인 예술작품의 형태 789
c. 작품을 산출시키는 교양의 상태 799
2. 서정시의 특수한 측면들 807
a. 서정시인 808
b. 서정적인 예술작품 813
c. 원래의 서정시의 종류 821
3. 서정시의 역사적인 발전 834
a. 동양의 서정시 835
b. 고대 그리스인들과 로마인들의 서정시 838
c. 낭만적인 서정시 843
Ⅲ. 극시 851
1. 시예술작품으로서의 극시 852
a. 극시의 원리 853
b. 극예술작품 859
c. 극예술작품과 관객과의 관계 873
2. 극예술작품의 외적인 연출 883
a. 극작품의 읽기와 낭독 885
b. 연기술 890
c. 시문학으로부터 더 독립된 극예술 896
3. 극시의 종류와 그 역사적인 주요 계기들 900
a. 비극, 희극 그리고 일반극의 원리 901
b. 고대 극시와 근대 극시의 차이 916
c. 극시와 그 종류들의 구체적인 발전 920
찾아보기 9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