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불교사회경제사상

불교사회경제사상

(참여불교를 위한 이론적 정초)

박경준 (지은이)
운주사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750원 -5% 0원
750원
23,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불교사회경제사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불교사회경제사상 (참여불교를 위한 이론적 정초)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일반
· ISBN : 9788957467169
· 쪽수 : 436쪽
· 출판일 : 2022-12-09

책 소개

불교는 개인의 해탈뿐 아니라 정치, 사회, 경제 등 공동체의 정의 실현에 참여하는 종교임을 학문적으로 재조명함으로써 불교의 사회참여와 실천사상의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고 있는 책이다.

목차

책머리에·7

제1장 불교 흥기의 배경 15
1. 자연환경·17
2. 정치적 정황·25
1) 문명의 이동·25
2) 정치적 과도기·29
3) 석가족의 정치적 위상·33
3. 사회·경제적 배경·39
1) 계급질서의 변화·39
2) 도덕적 타락·43
3) 상업의 발달과 도시화·48

제2장 불교사상의 실천적 기조 55
1. 열반의 바른 이해·59
1) 열반의 개념·59
2) ‘욕망의 역설’ 비판·66
2. 근본 교설의 실천적 이해·84
1) 사성제·84
2) 무상과 무아의 실천론·93
3. 불교의 실천적 가르침·104
1) 현실적 실천의 강조·104
2) 사회적 실천의 강조·107

제3장 불교의 사회사상 113
1. 불교의 사회관·116
1) 불교에서 본 세간과 사회·116
2) 불교의 사회기원론·119
2. 승가의 사회적 기능·125
1) 사회통합·125
2) 정신적 계도·132
3. 불교의 이상사회론·135
1) 불교의 이상사회와 그 실현 방법·135
2) 통치자론·148
4. 인간관계의 윤리·154
1) 『육방예경六方禮經』의 분석·154
2) 사섭법四攝法·164

제4장 불교의 경제사상 167
1. 재財의 효용론·168
1) 윤리적 삶의 기초로서 재의 효용·168
2) 사회적 복지 개념으로서 재의 효용·172
2. 생산론·175
1) 생산의 윤리·175
2) 불교경전의 생산관·178
3. 분배론·185
1) 복전福田으로서의 분배 개념·185
2) 국가의 분배정책에 관한 경전의 입장·188
4. 직업론·192
1) 직업의 의의·192
2) 경전의 직업관·197
5. 소비지출론과 사분법·202
1) 올바른 소비·202
2) 사분법의 내용 검토·212
3) 사분법의 바른 해석·220
6. 불교의 노동관·233
1) 노동의 개념·237
2) 노동에 대한 불교의 기본입장·240
3) 불교에서 본 노동의 의미·246
7. 불교교단경제 약사·264
1) 인도의 교단경제·264
2) 중국의 교단경제·267
3) 한국의 교단경제·270

제5장 현대 이데올로기에 대한 불교적 조명 275
1. 이데올로기의 개념과 그 역사적 전개·276
2. 이데올로기 문제의 불교적 조명·282

제6장 불교의 사회참여 사상 301
1. 공업설로 본 사회참여·301
1) 업설의 통속적 이해와 그 문제점·302
2) 공업사상의 대두·308
3) 공업사상과 사회적 실천·316
2. 대승불교사상과 ‘깨달음의 사회화’·328
1) 깨달음의 사회화·329
2) 대승불교의 기본 성격·332
3) ‘깨달음의 사회화’의 대승사상적 근거·336
4) 대승 보살의 사회참여·343
3. 현대 아시아의 참여불교운동·353
1) 참여불교운동의 역사적 배경·354
2) 아시아 참여불교운동의 제 양상·356
3) 참여불교운동의 특징과 문제점·380
4. 한국 민중불교운동의 평가·387
1) 민중불교운동의 흥기 배경·388
2) 민중불교운동의 전개·394
3) 민중불교의 이념과 문제점·400
4) 민중불교운동의 의의와 반성·410

참고문헌·415
찾아보기·425

저자소개

박경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명예교수.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불교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1995년부터 불교학부 교수로 재직하였다.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장, 중앙도서관장, 평생교육원장, 에코포럼 운영위원장, 불교학연구회장, 『불교평론』 편집위원장,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공직자종교차별자문회의 위원, 불교방송시청자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주요 저서로 『불교사회경제사상』·『불교학의 사회화 이론과 실제』·『다비와 사리』·『민중불교의 탐구』(공저)·『지식기반사회와 불교생태학』(공저) 등이, 역서로 『근본불교와 대승불교』·『원시불교사상론』·『아시아의 참여불교』·『지구를 구하는 경제학』·『동남아시아의 불교 수용과 전개』·『불교사회경제학』(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