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소설론
· ISBN : 9788957490563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05-11-25
책 소개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 목적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및 범위
제2장 창작방법론으로서의 공간
1. 인식으로서의 공간
2. 배경으로서의 공간
3. 상징으로서의 공간
4. 구조로서의 공간
제3장 소설의 공간 창작방법
1. 공간인식을 활용한 소설 창작방법
―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중심으로
1) 실재공간과 창작공간 2) 공간인식의 형상화 3) 공간인식을 활용한 소설 창작방법론의 계승: 백민석의 「목화밭 엽기전」
2. 공간배경을 활용한 소설 창작방법
― 이문구의 「일락서산」을 중심으로
1) 실재공간과 창작공간 2) 공간배경을 통한 현실인식의 다각적 제시 3) 공간배경을 활용한 소설 창작방법론의 계승: 윤대녕의 「찔레꽃 기념관」과 「빛의 걸음걸이」
3. 공간상징을 활용한 소설 창작방법
― 김승옥의 「무진기행」을 중심으로
1) 실재공간과 창작공간 2) 공간상징을 통한 인물심리의 표현 3) 공간상징을 활용한 소설 창작방법론의 계승: 신경숙의 「풍금이 있던 자리」
4. 공간구조를 활용한 소설 창작방법
― 윤후명의 「둔황의 사랑」을 중심으로
1) 실재공간과 창작공간 2) 공간의 병치를 통한 서사구조 형성 3) 공간구조를 활용한 창작방법의 계승: 김영하의 「거울에 대한 명상」과 「바람이 분다」
제4장 영상예술과 디지털콘텐츠의 공간 창작방법
1. 영상예술의 공간 창작방법
1) 역동적 공간의 재현 2) 공간의 조직에 의한 시간표현 3) 구조화된 공간에 의한 의미 창출
2. 디지털문학의 공간 창작방법
1) 비선형적 공간 구조 2)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공간 표현
3. 컴퓨터게임의 공간 창작방법
1) 능동적 참여가 이루어지는 공간 2) 몰입을 활용한 서사 공간 구성 3) 화면구성을 통한 시간과 공간의 병치
4. 스토리텔링으로서의 소설과 공간 창작방법의 교류
1) 소설과 영상예술의 창작방법론 교류 2) 소설과 디지털문학의 창작방법론 교류 3) 소설과 컴퓨터게임의 창작방법론 교류
제5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