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88957821046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12-11-2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주식, 기업을 알고 투자하세요
프롤로그 종목 선택, 어떻게 하나요?: 냉장고 고르듯이 하세요
제1부 저평가종목이란 무엇인가?
제1장 종목을 선택하기 전에 기업을 분석하라
01 기업을 알면 주가가 보인다
개인투자자는 차트를 보고 종목을 고른다
기관투자자는 기업을 알고 투자한다
오르는 종목을 잡으려면 기업내용부터 알아라
생각보다 쉬운 기업분석
02 애널리스트의 투자의견을 주시하라
경제흐름을 바꾸는 애널리스트
애널리스트의 의견을 믿지 않는 투자자들
애널리스트 의견은 참고만, 선택은 투자자가!
투자자의 천국, 대한민국
03 기업분석보고서란 무엇일까?
심층보고서와 업데이트보고서
기업분석보고서의 구성
제2장 재무제표로 기업을 파악하라
04 종목 선택하려면 기본부터 알아야 한다
투자자의 상식 안에서 투자하라
기본적인 회계지식을 갖춰라
05 달라진 재무제표로 기업분석하기
K-GAAP와 K-IFRS는 뭐가 다를까?
K-IFRS, 언제부터 시행되나?
자산규모 2조 원 이하 기업의 경우
06 재무상태표로 자산규모를 파악하라
재무상태표로 기업의 재무구조를 파악한다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
07 자본총계가 클수록 우량기업이다
자본총계는 회사의 순수한 자기 돈
주당순자산액으로 기업 주가를 평가하라
08 연결손익계산서로 경영성과를 알아보자
연결손익계산서 보기 전에 알아야 할 기본개념
연결손익계산서와 손익계산서는 뭐가 다를까?
09 영업이익이 상승하면 주가도 오른다
영업이익 개념은 어떻게 달라졌나?
자산처분에 의해 영업이익이 증가한다
영업이익 제대로 표시하는 방법
제3장 저평가종목을 알려주는 주가평가지표
10 PER이 낮으면 저평가종목이다
PER로 주가를 평가한다
PER은 어떻게 계산할까?
시장PER로 주가를 비교한다
PER을 비교하는 세 가지 방법
PER로 미래 주가를 예측한다
기업분석보고서에서 시장PER을 찾을 수 없다면?
11 또 다른 주가평가지표 PBR
하락장에서는 저PBR주를 사라
PBR은 주가평가에 어떻게 적용할까?
12 ROE와 EV/EBITDA로 뭐하는 걸까?
ROE가 높을수록 투자유망종목이다
EV/EBITDA로 기업가치를 안다
제4장 저평가종목을 선택하는 네 가지 기준
13 주가는 미래실적을 반영한다
발표된 지 3개월 이내의 보고서를 보라
주가는 6개월 미래를 반영한다
14 저평가종목 선택기준-1. 영업이익증가율 20% 이상
영업이익이 늘어나면 주가가 오른다
비교기준이 다르면 어떻게 할까?
15 저평가종목 선택기준-2. EPS증가율 20% 이상
당기순이익이 증가해야 주가도 오른다
16 저평가종목 선택기준-3. 저PER(저PBR) 종목
저PER주는 어떻게 선택할까?
17 저평가종목 선택기준-4. 급등주 제외 - 주봉그래프
단기간에 너무 많이 오른 종목은 제외하라
1~2년 주가흐름 파악할 때는 주봉그래프를 보라
제5장 사업보고서로 사업내용을 파악한다
18 사업보고서는 어떻게 사용할까?
사업보고서로 기업보고서를 보완하라
사업보고서는 가장 최근 것을 본다
19 사업내용 제대로 파악하는 체크리스트
체크리스트-1. 매출구성
체크리스트-2. 수출비중
체크리스트-3. 판매처, 경쟁사, 시장점유율
체크리스트-4. 평균 판매단가, 원자재가격 추이
체크리스트-5. 신제품과 신규사업
체크리스트-6. 계열회사 등의 현황
제2부 저평가종목은 어떻게 선택할까?
제6장 저평가종목 선택을 위한 실전연습
20 실전연습-1. 일진디스플레이(020760)
21 실전연습-2. 한샘(009240)
22 실전연습-3. 롯데삼강(002270)
23 실전연습-4. 한국단자(025540)
24 실전연습-5. 대덕GDS(004130)
25 실전연습-6. 에이블씨엔씨(078520)
26 실전연습-7. 한국철강(104700)
27 실전연습-8. 무학(033920)
28 실전연습-9. 골프존(121440)
29 실전연습-10. 환인제약(016580)
30 실전연습-11. 현대산업개발(012630)
31 실전연습-12. BS금융지주(138930)
32 실전연습-13. 메리츠화재(000060)
제7장 매수보다 중요한 저평가종목 매도원칙
33 매도원칙-1. 보유종목을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라
뉴스와 공시사항을 체크하라
업데이트보고서를 확인하라
다른 애널리스트의 분석보고서를 찾아보라
산업분석보고서를 참고하라
투자포인트의 변화를 체크하라
종목파일을 유지하라
한 달에 한 번은 업데이트하라
34 매도원칙-2. 투자포인트가 변하면 팔아라
매도 결정은 단호하게 하라
35 매도원칙-3. PER이 오르면 팔아라
다음 해 PER이 낮으면 보유하고, 높으면 매도하라
36 매도원칙-4. 주가가 오르는데 PER이 오르지 않으면 보유하라
주가가 올랐다고 무조건 팔지 마라
37 매도원칙-5. PBR로 매도하라
PBR과 투자포인트를 같이 고려하라
제8장 저평가종목 매도를 위한 실전연습
38 실전연습-1. 일진디스플레이(020760)
39 실전연습-2. 롯데삼강(002270)
40 실전연습-3. 대덕GDS(004130)
41 실전연습-4. 에이블씨엔씨(078520)
42 실전연습-5. 무학(033920)
43 실전연습-6. 골프존(121440)
44 실전연습-7. 환인제약(016580)
45 실전연습-8. BS금융지주(138930)
46 실전연습-9. 메리츠화재(000060)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우리는 가격이 비싼 냉장고라도 효용가치가 크다면 선뜻 그 가격을 지불하고 구입합니다. 마찬가지로 주식의 경우에도 해당 기업의 이익규모를 알고 사야만 투자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기관투자가와는 달리 대부분의 개인투자자들은 종목을 모르고 투자하여 큰 손실을 보게 됩니다. 물건이든 주식이든 제대로 알고 사야 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런데 개인투자자들이 이를 등한시하는 이유는 어떤 방법으로 종목을 알 수 있는지를 모르기 때문입니다.
- 프롤로그 중에서
기관투자자들은 종목을 선정할 때 기업을 철저히 분석한다. 즉, 매수할 대상에 대해 정확히 알고 산다. 냉장고를 살 때 기능과 가격을 면밀히 체크하는 것과 같다. 그러나 대다수 개인투자자들은 기업에 대해 모르는 채로 매수한다. 냉장고를 살 때는 물론이고 백화점에서 옷 한 벌 사면서도 이리저리 따져보는 것과는 판이하게 다르다.
주가는 장기적으로는 기업의 수익을 반영한다.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수익이 아닌 다른 요인에 의해 떨어지기도 한다. 그 기업의 수익은 좋은데 시장 전체가 하락하면서 그 종목의 주가도 떨어지는 경우다. 이때 기관투자자는 그 종목의 가치를 잘 알기 때문에 기업의 주가가 일시적으로 하락하더라도 수익이 양호하다면 보유한다. 반면 개인투자자들은 기업을 모르기 때문에 주가가 떨어지면 불안해하다가 결국 손해를 보고 팔고 만다.
기업분석은 애널리스트가 한다. 투자자는 애널리스트가 분석한 기업을 음미할 능력만 키우면 된다. 예를 들어, 애널리스트가 어떤 기업의 수익을 추정한다고 하자. 이 일은 전문적인 회계능력이 필요하다. 이런 일은 전문가인 애널리스트에게 맡기고, 개인투자자는 애널리스트의 의견을 받아들일지 말지를 결정하는 역량을 키우면 되는 것이다.
개인투자자에게 이런 역량이 있다면 주가가 오르면 흥분하고 떨어지면 불안해하는 현상이 없어진다. 즉, 주가가 더 갈 수 있는데 20% 올랐다고 흥분해서 팔아버리는 일이 없어진다. 반대로 주가가 20% 떨어져도 기업을 알기 때문에 때를 기다릴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