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반야심경에서 배우는 깨달음의 원리

반야심경에서 배우는 깨달음의 원리

서병후 (지은이)
넥서스BOOKS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2개 8,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반야심경에서 배우는 깨달음의 원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반야심경에서 배우는 깨달음의 원리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88957971512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05-05-10

책 소개

기존의 관념적이고 학술적인 '반야심경'해설서와는 다르게 '대승 오위도(大乘五位道)'에 입각한 실천적 명상 수행 단계를 안내하는 책이다. '금강경'과 더불어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읽히는 불교 경전 중의 하나인 '반야심경'은 불교의 핵심과 함께, 불교 학습 및 명상 등 수행 전반에 걸친 총체적 수행 과제와 단계를 일목요연하게 보여 주는 불교 교리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반야심경>에 대하여

서막
고통의 바다에 빠진 사람들
경 제목
출리심과 보리심
행(行) 보리심을 펼친 육바라밀
<반야심경>의 보전과 회수
<반야심경>과 안시성 전투 그리고 당 태종
혜초 스님과 우타이샨
불법을 위해 목숨 바치는 고승과 성왕들
<반야심경>과 대반야, 마하반야, 소품반야
<반야심경>은 25송 자경

제1막 '아제' 대승 자량도
눈으로 보듯 '비관념적 마음'으로 공을 보라
우선 '관념적 마음'으로 공부를 시작하라
대승 자량도의 12개 도품
공의 진리와 타종교의 네 가지 극단
인도철학도 무명이 빚은 미혹의 결과
여러 가지 공과 불교에서 말하는 공 그리고 나
오온의 여러 가지 의미
<반야심경> 설법 배경
설법을 듣는 태도와 금기
관자재보살의 설법과 불설 논란
부처님의 신비스런 설법 방식
<반야심경> 전법시기와 부처님의 진실한 뜻
세 번의 전법륜과 요의경, 불요의경

제2막 '아제' 대승 가행도
대승 가행도를 관통하는 수행 코스와 특징
색이 사라지면 공도 사라진다
죽음은 공이 아니다
명상 속의 색불이공은 어떻게 나타날까?
부처님의 법신과 색신
색불이공, 공불이색의 현실적 지혜
'윤회'가 '열반'과 다르지 않다면
두 가지 극단
깨닫지 못한 사람들이 휩쓸리는 여덟 가지 바람
두 가지 극단에 빠지는 이유
세속제, 오염된 오온
마음의 정체와 고향

제3막 '바라아제' 대승 견도
성자들이 보는 결론
절망을 희망으로 바꿔주는 부처님의 메시지

제4막 '바라승아제' 대승 수도
유무의 논리는 적당히 넘어가는 논리가 아니다
영원히 용서받지 못할 원죄는 없다
명상 도중 사라지는 '이분법'
불법도 버리라는 말씀일까?

제5막 '모지 사바하' 대승 무학도
부처님을 이루는 수행이 가능한 이유
여러분의 보살들
삼승의 서로 다른 열반

종막 금강승 밀교로 초대
완벽한 성불은 금강승 무상요가 탄트라로만 가능
진언을 통한 밀교는 보살 마하살의 수행 방법
석가모니불의 과거
무량겁 이전의 인연과 과거칠불
석가모니불은 어떤 수행으로 성불하셨을까?

부록
에필로그

저자소개

서병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상대 경제학과를 졸업. 금강승불교 신인종 샤캬무니 선원. 세계금강승불교연구회 회주. *저서 및 역서 <반야심경으로 배우는 깨달음의 원리> <도올에게 던지는 사자후> <수리수리 마하수리>, 숭산스님의 영어 선 문답 <오직 모를 뿐> <태권도 영어 교본> <팝 렛슨 - date with Benny> 뮤지컬 <그리스> 번역
펼치기

책속에서

자성이 없는 (공한) '나', 그 이름뿐인 존재를 세속적으로 현현하게 해준 것(인연)은 부모님의 정자와 난자라고 보는 등 인연에 관한 여러 가지 견해가 있다. 그러나 부처님의 가장 깊은 가르침에 따르면, '나', 그 이름뿐인 존재를 세속적으로 존재한다고 믿게 해주는 그 '인연'은 바로 '나의 관념적 마음'이다. 이 사실을 깨닫게 되면 '나의 관념적 마음'이라는 그 '인연'의 힘은 무궁무진할 수도 있다. - 본문 158쪽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