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고고학/인류학
· ISBN : 9788958030119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04-10-25
책 소개
목차
제1부 무엇이 질적연구방법인가
제1장 왜 질적연구방법인가
1. 일상생활과 수치 그리고 그 무엇
2.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3. 질적연구방법이란
4. 질적연구방법은 대안적 연구 방법인가?
5. 책의 구성
제2장 현지조사와 문화기술지
1. 현지조사의 특성
2. 현지조사의 여러 연구 기술들
3. 해석적 연구로서의 현지조사
4. 현지조사에 영향을 주는 세 가지 요소
5. 현지조사를 준비하며
6. 문화의 경계넘기
제2부 질적연구는 어떻게 하는가
제3장 참여관찰
1. 현지에 들어가기
2. 참여관찰의 목적
3. 참여관찰의 효용성
4. 참여관찰 선정 기준
5. 참여관찰의 기술들
제4장 심층면접
1. 인터뷰의 성격
2. 녹음기 사용
3. 인터뷰 질문하기
제5장 초점집단연구
1. 초점집단연구란
2. 초점집단연구의 성격
3. 초점집단연구의 장?단점
4. 초점집단연구의 다양한 적용
5. 초점집단연구의 실행
제6장 생애사
1. 인간의 발달에 관한 연구
2. 생애사 연구의 역사
3. 구술생애사
4. 구술생애사 연구를 어떻게 하는가
제7장 기록: 문자, 구술, 사진, 영상
1. 기록이란
2. 기록의 종류
제8장 해석, 글쓰기 그리고 평가
1. 질적 자료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2. 문화기술지 쓰기
3. 질적연구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제3부 질적연구방법의 쟁점들
제9장 연구자와 제보자
1. 라포
2. 제보자 선정
제10장 연구자의 정체성
1. 연구자의 정체성에 대한 자기성찰 Ⅰ: 인정, 민족, 계급
2. 연구자의 정체성에 대한 자기성찰 Ⅱ: 젠더
제11장 현지조사의 역사적 맥락
1. 식민주의 인류학
2. 인류학과 역사적 맥락
3. 현지조사에서 역사적 맥락 잡기
제12장 윤리적 문제들
제4부 질적연구방법의 새로운 가능성
제13장 현대문화연구와 질적연구방법
1. 현대문화의 탈지역화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2. 한국문화는 탈지역화하고 있는가
3. 그러면 문화를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탈지역화된 문화 연구방법 모색
4. 탈지역화하는 한국문화 연구의 과제
5. 한국문화 연구방법의 재창출을 향하여
제14장 역사연구와 질적연구방법
1. 위기의 한국사학?
2. 역사학의 굴레
3. 역사학의 경계 넘기
4. 역사와 문화의 경계 허물기
제15장 여성연구와 질적연구방법
1. 질적연구방법은 여성연구방법의 대안인가
2. 여성주의 문화기술지의 딜레마
3. 대안들: 권력 나누기 방식들
4. 참여와 변혁의 여성주의 연구방법을 향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