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공공역사를 실천 중입니다

공공역사를 실천 중입니다

이하나, 이동기, 윤택림, 옥재원, 한성민, 김태현, 박진호, 이종관, 방지원, 김정인, 허영란, 강성봉, 백외준, 주진오, 심철기, 김영경, 남성우, 허진모, 정현민, 정대훈, 최슬기, 심준용, 박태웅, 박미선 (지은이), 공공역사문화연구소 (기획)
푸른역사
27,9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110원 -10% 0원
1,390원
23,7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공공역사를 실천 중입니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공공역사를 실천 중입니다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역사학 > 역사학 일반
· ISBN : 9791156122623
· 쪽수 : 532쪽
· 출판일 : 2023-09-26

책 소개

2018년 출범한 연구자 네트워크인 역사공장의 부설 연구소로 2021년 문을 연 ‘공공역사문화연구소’가 24인의 역사 전공자·학예연구사·문화해설사·PD 등의 탄탄한 이론과 생생한 경험을 담은 글들을 모았다.

목차

서설-풍부한 현실, 이론의 빈곤 ∙ 이하나

제1부 공공역사 개념의 한국적 수용과 맥락

1. 공공역사 논의의 한국적 맥락 ∙ 이하나
2. 공공역사의 쟁점과 과제 ∙ 이동기

제2부 공공역사의 현장

1장 박물관과 역사 전시
1. 여성사박물관과 공공역사: 쟁점과 대안들 ∙ 윤택림
2. 전근대사 박물관의 공공역사로서 가치 ∙ 옥재원
3. 다크 투어리즘: 국가폭력과 집단 트라우마의 시청각 체험 ∙ 한성민

2장 미디어와 대중문화
1. 대중문화의 역사 활용과 공공역사로서의 역사영화 ∙ 이하나
2. 공공역사, 게임을 만나다 ∙ 김태현
3. 메타버스와 역사의 리얼리티 ∙ 박진호

3장 역사교육의 안과 밖
1. 학교 공공역사 교육의 현주소 ∙ 이종관
2. 학교 역사교육과 공공역사의 만남, 어떻게 볼까 ∙ 방지원
3. 대중역사에서 시민역사로, 그 가교로서의 공공역사 ∙ 김정인

4장 구술사와 지역문화
1. 지역사와 구술사 그리고 공공역사 ∙ 허영란
2. 공공역사로서의 지역문화 콘텐츠 만들기 ∙ 강성봉
3. 지역 조사·연구의 방법과 과제 ∙ 백외준

제3부 공공역사가를 위하여

1. 공공역사가로서의 역사학자 ∙ 주진오
2. 큐레이터: 작은 박물관의 학예사들 ∙ 심철기
3. 아키비스트: 아카이브와 공공역사가 ∙ 김영경
4. TV 역사 다큐멘터리, 이렇게 만들었다 ∙ 남성우
5. 역사 저술가: 직업으로서의 역사, 취미로서의 역사 ∙ 허진모
6. 스토리텔러: 사극 전문 작가에게 궁금한 것들 ∙ 정현민
7. 역사커뮤니케이터: 역사학의 안과 밖을 잇는 사람 ∙ 정대훈
8. 역사크리에이터: 시각과 청각을 사로잡는 뉴디미어 공공역사 ∙ 최슬기
9. 컬처 플래너: 지역 기반의 문화기획자 ∙ 심준용
10. 문화해설사: 창의적인 공공역사가가 되는 길 ∙ 박태웅
11. 대학 강사도 공공역사가다 ∙ 박미선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이동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대 일반대학원 평화학과 교수. 현재 한국냉전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 Option oder Illusion?: Die Idee einer nationalen Konfoeration im geteilten Deutschland 1949-1990, 『비밀과 역설: 10개의 키워드로 읽는 독일통일과 평화』 『현대사 몽타주: 발견과 전복의 역사』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는 『하버드C.H.베크 세계사: 1945 이후-서로 의존하는 세계』 『역사에서 도피한 거인들』 『일상사란 무엇인가』(공역), 『근대세계체제 3』 등이 있다.
펼치기
윤택림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61년 서울 출생 연세대학교 사학과 졸업 미국 미네소타 주립대 인류학 석사, 박사 취득 2019년 현재 한국구술사연구소 소장 [주요 저서] 『인류학자의 과거여행』, 『한국의 모성』, 『주민생애사를 통해 본 20세기 서울 현대사』 (공저), 『문화와 역사 연구를 위한 질적연구방법론』, 『새로운 역사 쓰기를 위한 구술사 연구방법론』 (공저), 『구술사, 기억으로 쓰는 역사』 (번역), 『구술로 쓰는 역사 - 미수복경기도민의 분단과 이산의 삶』 [주요 논문] ‘기억에서 역사로: 구술사의 이론적 방법론적 쟁점들에 대한 고찰,’ ‘탈식민 역사 쓰기,’ ‘구술사와 지방민의 역사적 경험 재현: 시양리 박형호 씨의 구술 증언을 중심으로’ , ‘한국근현대사 속에서 농촌 여성의 삶의 경험과 역사이해: 충남 서산 대동리 여성 구술생애사를 중심으로,’ ‘한국학 연구방법의 모색: 문화기술지적 방법(ethnographic method)을 중심으로’ 등
펼치기
김정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대학원에 진학하여 한국 근대사를 전공했다. 천도교 근대 민족운동을 주제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4년부터 춘천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한국 민주주의 역사와 대학사를 주로 연구하고 있으며, 동아시아 역사 대화에 관심을 갖고 한중일3국공동역사편찬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다. 민주주의의 눈으로 한국 근현대사를 재해석·재구성한 ‘민주주의 한국사’ 3부작을 기획·출간해왔다. 19세기부터 3·1운동과 민주공화정의 탄생까지를 다룬 《민주주의를 향한 역사》(2015), 3·1운동 이후부터 해방 직후까지 독립운동사를 담은 《독립을 꿈꾸는 민주주의》(2017)에 이어, 해방 이후부터 21세기 촛불시위까지 현대 민주주의의 역사를 다룬 《모두의 민주주의》는 3부작을 완결 짓는 책이다. 그 외에 지은 책으로 《오늘을 마주한 3·1운동》, 《대학과 권력》, 《역사전쟁, 과거를 해석하는 싸움》, 《천도교 근대 민족운동 연구》 등이 있으며, 함께 쓴 책으로 《공공역사를 실천 중입니다》, 《여성 단체들의 독립운동》, 《한국 근대사 연구의 쟁점》, 《저항의 축제 해방의 불꽃, 시위》, 《87년 이후 35년의 한국 민주주의》, 《식민지의 사립전문학교, 한국대학의 또 하나의 기원》, 《교과서와 역사 정치》, 《간첩 시대》, 《동아시아사 입문》, 《미래를 여는 역사》, 《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근현대사 1, 2》 등이 있다.
펼치기
허영란 (옮긴이)    정보 더보기
울산대학교 역사문화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했고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국사편찬위원회를 거쳐 현재 울산대학교 역사문화학과에 재직하고 있다. 한국구술사학회 회장, 역사문제연구소 이사(비상임) 등을 역임했으며, 주요 저서로는 『일제시기 장시 연구: 5일장의 변동과 지역주민』(역사비평사, 2009), 『(울산 고래포구의 사람들)장생포 이야기』(울산광역시, 2012), 『남양과 식민주의: 일본 제국주의의 남진과 대동아공영권』(사회평론아카데미, 2022), 『울산항의 역사』(공저, 2015), 『동해포구사』(전3권, 공저, 민속원, 2021) 등이 있다.
펼치기
박진호 (그림)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와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를 졸업했다. 3차원 문화재 디지털 복원 전문가로 활동중이다. <이븐 바투타 여행기>(창작과 비평사)의 주인공인 이븐 바투타를 세계 최초로 영상 복원해냈으며, <고대문명교류사> 등의 책에 들어가는 삽화, 의 문화재 등을 디지털로 복원한 이력의 소유자다. 2006년 현재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문화재콘텐츠학과 강사이며, (주)CG WAVE '앙코르와트 디지털콘텐츠' 개발실장으로 있다. 지은 책으로는 <신라인의 실크로드>(공저), <고구려는 중국사인가>(공저)가 있다.
펼치기
방지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7년 서울에서 나고 자랐다. 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학부, 석박사)를 졸업했다. 국립사대 의무 발령 시대의 마지막 수혜자로 1990년에 서울에서 교사가 되었다. 그래서 임용시험에 치여 힘들어하는 학생들을 볼 때마다 늘 미안스럽다. 〈역사교육론〉 첫 수업은 ‘역사가 나에게 무엇일까?’라는 질문으로 시작하는데, 학생들에게 ‘역사는 내게 부채 의식’이라고 말하곤 한다. 교사 발령받기 직전, 전교조 해직 사태가 있었기에 교단을 떠난 어떤 선생님의 자리에 내가 들어간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교과서의 내용을 잘 풀어서 가르치는 데는 유능한 교사였지만, 역사를 삶과 만나게 하는 역할은 제대로 하지 못했다고 생각한다. 2008년부터 부산의 신라대학교에서 역사교사가 되고 싶은 학생들을 만났다. 좌충우돌 우당탕탕 학생들을 지도하면서 교육과 세상을 보는 시선을 바꾸는 일이 얼마나 어렵고 고단한 일인지 깨달았다. 2018년부터는 경북대학교에서 학생들을 만나고 있다. 이런 경험을 모아 《역사교육론》을 만들어 보는 것이 아직 이루지 못한 꿈이다. 역사를 가르치는 여러 선생님과 함께 《제대로 한국사》와 《질문으로 시작하는 초등 한국사》를 썼다. 역사교사교육, 역사교육과정에 대한 논문을 여러 편 썼다. 최근에는 부담스러운 과거사와 역사 부정 문제에 학교 역사교육이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주진오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35년간 상명대학교 역사콘텐츠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2022년 2월 정년 퇴임한 후 명예교수로 있다. 재직 중에는 학장, 평생교육원장, 특성화사업단장을 역임했다. 역사와 관련된 사회적 이슈가 제기될 때마다, 언론 매체나 SNS를 통해 대중의 눈높이에서 소통하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검정 역사 교과서를 대표하는 집필자로 활동해 왔고, 국정 역사 교과서 저지의 선봉장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서울시교육청의 역사교육위원장으로서 역사 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꾸기 위해 노력했다. 현재 국무총리 산하 제주 4.3사건 진상 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위원회 위원이며, 추가 진상조사분과 위원장을 맡고 있다. 역사콘텐츠라는 개념을 창시하였고, 다양한 문화콘텐츠의 기획 및 제작 과정에 참여했다. 특히 역사를 소재로 한 여러 영화에 자문 역할을 하였으며, 다수의 역사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했다. 남성 교수로서는 최초로 ‘한국여성사’ 교양 강의를 개설해 역사학의 지평을 넓히는 데 매진했다. 박사 학위 논문 「19세기 후반 개화개혁론의 구조와 전개-독립협회를 중심으로」를 비롯해 「청년기 이승만의 언론, 정치 활동 해외 활동」, 「뉴라이트의 식민사관 부활 프로젝트」 등의 논문을 썼다. 저서로는 『주진오의 한국 현재사』, 『한국 여성사 깊이 읽기』(공저), 『한국 근대사 1』(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심준용 (감수)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에서 역사를, 세종대학교 석사과정에서 고고학을, 명지대학교 박사과정에서 건축역사를 공부하고 있다. 대학원에 입학하기 전에는 직업체험이 취미여서 군고구마장수, 엑스트라, 이삿짐, 백화점 배송, 행사 스텝, 패밀리레스토랑 웨이터 등 20종 넘는 아르바이트를 했고, 재즈바도 운영했다. 대학교 박물관에서 아르바이트하던 중에 평생을 바치고 싶은 직업 분야를 찾았다. 연세대학교 원주박물관, 한강문화재연구원에서 고고학을 공부하며 발굴조사를 경험하고 파주시청과 고양시청에서 전통건축을 공부하면서 학예연구사로 근무했다. 문화유산과 관련된 더 다양한 일을 하고자 공무원을 그만두었고, 주)한국문화유산연구센터의 기획실장을 거쳐 주)A&A문화연구소를 설립하였다. 그 뒤로 박물관 건립 계획과 기획전시 컨설팅, 문화유산 관련 보고서 용역과 활용사업, 문화유산 관련 강의 등 재미있는 일에 파묻혀 사는 호사를 누리고 있다. 저서로 『기네스북 북한산에서 세계유산 조선왕릉까지』, 『경기도 역사와 문화 백문백답』(공저), 『학예사와 떠나는 경기도 답사기?항일유적 편』(공저), 『남한강유역의 신석기문화』 등이 있으며, 『문화유산분야 사회적기업의 활성화 전략 개발을 위한 현장조사 및 연구』, 『향교서원 활용 운영모델 제시 및 기본계획 수립 연구』, 『고도보존지역 주민지원사업 활성화 방안 마련 연구』 등 다수의 문화유산 관련 정책보고서에 참여하고 있다. 민간과 관청, 학술연구자와 현장담당자가 조화를 이뤄서 문화유산의 체계적인 보존과 효율적인 활용이 공존하는 대한민국을 꿈꾸고 있다.
펼치기
이하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사학과 강사, 연세예술원 객원교수.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한국 근대 사회사로 석사학위를, 한국 현대 문화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HK연구교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을 거쳤으며, 연구 분야는 사회문화사, 대중문화사, 영화사, 감성사, 개념사, 남북 문화 비교, 공공역사 등이다. 주요 저서로 『국가와 영화』(혜안, 2013), 『‘대한민국’, 재건의 시대』(푸른역사, 2013)가 있으며, 공저로는 『반공의 시대』(돌베개, 2015), Korean Screen Cultures: Interrogating Cinema, TV, Music and Online Games (Peter Lang, 2015), 『공공역사를 실천 중입니다』(푸른역사, 2023), Korean Film and History (Routledge, 2023) 등이 있다.
펼치기
허진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오랜 시간 문명과 전쟁, 종교, 미술, 고고학 등 세계의 모든 역사를 정리하고자 하는 허황된 꿈을 좇아 개인적인 연구를 하고 있다. 오로지 ‘재미로 역사를 탐구’하고자 스스로를 취미사학자(趣味史學者)로 부르고 있다. 팟캐스트 ‘전쟁사 문명사 세계사’에서 역사를 말하고 있고 기업과 정부기관, 대학 등에서 강연을 한다. 저서로는 <전쟁사 문명사 세계사1, 2>, <휴식을 위한 지식-한눈에 보는 미술사>, <허진모 삼국지1, 2>가 있으며, 방송으로는 tvN <어쩌다 어른>, KBS <정치합시다>, KBS <역사저널 그날> 등에 고정출연하였다. 고려대학교에서 동양사로 박사 과정을 수료하였다.
펼치기
정현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0년 부산 출생. 국립 부산기계공고를 졸업하고 창원 공단에서 생산직 노동자로 근무했다. 파업 과정에서 목격한 기자라는 직업에 매료되어 동아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 진학했고 이후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노동일간지 기자, 노동단체 활동가를 거쳐 국회 보좌관으로 10년간 현실 정치에 몸담았다. 노동자 시절, 틈틈이 콩트를 써서 사보에 실었고 노동 운동하는 형들과 어울리며 대자보를 썼다. 보좌관 재직 중에 썼던 글은 전태일 문학상 소설 부문 최종심에 올랐다. 2009년 KBS 극본 공모전에 당선, 드라마 작가가 되었다. 2014년 최고의 드라마로 꼽히며 그에게 제41회 한국방송대상 작가상을 안겨준 KBS 대하드라마 〈정도전〉을 비롯해 〈프레지던트〉, 〈어셈블리〉, 〈사랑아 사랑아〉, 〈자유인 이회영〉, 〈녹두꽃〉 등을 썼다. 2019년 방송작가 최고의 영예인 한국방송작가상(드라마부문)을 수상했다.
펼치기
옥재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에서 한국사와 철학을 전공했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신라의 주변 지역 통합과 중앙집권화 과정〉 연구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가천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연세대학교에서 강의했으며,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서 학예연구사로 근무하고 있다. 신라 마립간시기를 중심으로 사회 구조와 사람 관계를 공부하며, 학습자의 개인적 성장과 사회적 성숙을 이끄는 역사를 교육하고 있다. 논저로 〈신라 국사의 수찬과 지방통치〉, 〈신라 적석목곽묘의 조영 양상과 권력구조의 변동〉, 〈박물관 교육의 사회적 관심과 실천〉, 《한국사 인식의 기초》(공저, 2013), 《지혜가 열리는 한국사》(2018), 《공공역사를 실천 중입니다》(공저, 2023) 등을 썼다.
펼치기
심철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근현대사기념관 학예실장. 한국사연구회 편집이사, 한국근현대사학회 연구이사. 주요 논저로 『근대전환기 지역사회와 의병운동 연구』, 「1907년 이후 『제국신문』의 성격과 의병인식」, 「1907년 의병전쟁 참여세력의 존재양상과 일제의 대응」, 「광무황제 강제퇴위 반대운동과 원주의병」 등이 있다.
펼치기
강성봉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성대학교 역사문화콘텐츠트랙 겸임교수 성북문화원 사무국장
펼치기
이종관 (감수)    정보 더보기
학생들에게 배움이 삶이 되고 삶이 배움이 되는 역사를 가르치기 위해 노력하는 역사 교사입니다. 경기역사교육실천연구회 초대 회장을 지냈고, 교사의 성장을 돕는 교사성장학교 대표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창의고등학교에서 근무하며 2022 개정 교육과정 중등 역사 ①, ②의 대표 저자로 교과서를 집필했습니다. 지은 책으로 『영화와 함께하는 세계사』(공저), 『조선왕조여인실록』(공저). 『공공역사를 실천 중입니다』(공저)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한성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연구교수. 동국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일본의 망명자 김옥균 처우책과 그 성격”으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일본의 ‘한국병합’ 과정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연구교수로 있다. 주요 논저로 『일본의 ‘韓國倂合’ 과정 연구』(경인문화사, 2021), 「‘韓國倂合’에 대한 일본의 정책적 일관성 검토-「大韓施設綱領」과 「大韓施設大綱」의 비교를 중심으로」(『한일관계사연구』 72, 한일관계사학회, 2021), 「망명자 김옥균(金玉均)에 대한 일본의 처우와 조선정책(1884~1890)」(『역사와현실』 109, 한국역사연구회, 2018) 등이 있다.
펼치기
김태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 식민지시기 산림이용권을 둘러싼 갈등과 그 성격 (역사문제연구 26, 2022), 일제강점기 조선의 목재수급과 산림자원의 변화-빈약한 산림자원, 과도한 용재생산 (공동연구, 아세아연구 64,2021), ‘신의주·안동’ 지역 밀무역 단속의 변화와 밀수출품 운반업자의 대응(1929~1937) (한국문화 89, 2020), ‘신의주·안동’ 간 밀무역 단속 전개과정과 조선총독부의 대응(1928~1932)(한국사연구 183, 2018) 등
펼치기
백외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북문화원 연구과장
펼치기
김영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통일부 기록연구관
펼치기
남성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 KBS TV PD. 1949년 전라남도 함평에서 태어나 손불초등학교, 함평중학교, 광주제일고등학교,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했다. 1974년 TBC(동양방송)에 입사해 TV사회교양부에서 방송 생활을 시작했다. 1980년 7월 신군부에 의해 강제 해직된 ‘80년 해직 언론인’이다. 1984년부터 KBS 기획제작실에서 ‘근무’하다 1989년 1월 1일 완전 복직했다. KBS 기획제작 국장, 심의평가실장, 편성본부장을 지내고 2008년 9월 퇴직했다. 이후 호남대학교, 순천향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초빙교수 및 (사)한국언론인권센터 이사장을 역임했다. 2015년 고향인 함평으로 귀촌해 함평군 축제추진위원장, 광주세계김치축제 추진위원장으로 일했다. 대표작으로는 『광주는 말한다』 『역사스페셜』 등이 있다.
펼치기
정대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펼치기
최슬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펼치기
박태웅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화해설사, 한탄강(연천) 지질공원 해설사
펼치기
박미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천대학교 강사
펼치기
공공역사문화연구소 (기획)    정보 더보기
펼치기

책속에서

공공역사는 전문 역사가들이 학계 바깥에서 행하는 역사 실천뿐만 아니라 대중적 현상으로 도처에 존재하는 역사의 공적 활용과 재현 및 이에 대한 비평 활동까지 포괄하는 개념이다.


민주주의 사회의 권력 비판과 다원주의 문화의 발전을 위해서라면 그와 같은 아래로부터의 역사서술과 재현은 더욱 권장되고 강화되어야 한다. 공공역사에서 그것은 상당히 중요한 일부를 구성한다. 그렇더라도 역사 재현과 서술의 소유권 확대를 곧장 ‘아래로부터의 역사’ 확대로 이해하면 곤란하다.


1683년 설립된 영국 애슈몰린박물관은 고중세의 특수한 성소, 특별한 수집 공간이었던 ‘기억의 장소’가 명칭을 ‘museum’으로 바꾸고 기능을 전시․학습․실험 등으로 분류하면서 전문적인 ‘습득의 장소’로 변모한 최초의 사례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