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역사학 > 역사학 일반
· ISBN : 9791156122623
· 쪽수 : 532쪽
· 출판일 : 2023-09-26
책 소개
목차
서설-풍부한 현실, 이론의 빈곤 ∙ 이하나
제1부 공공역사 개념의 한국적 수용과 맥락
1. 공공역사 논의의 한국적 맥락 ∙ 이하나
2. 공공역사의 쟁점과 과제 ∙ 이동기
제2부 공공역사의 현장
1장 박물관과 역사 전시
1. 여성사박물관과 공공역사: 쟁점과 대안들 ∙ 윤택림
2. 전근대사 박물관의 공공역사로서 가치 ∙ 옥재원
3. 다크 투어리즘: 국가폭력과 집단 트라우마의 시청각 체험 ∙ 한성민
2장 미디어와 대중문화
1. 대중문화의 역사 활용과 공공역사로서의 역사영화 ∙ 이하나
2. 공공역사, 게임을 만나다 ∙ 김태현
3. 메타버스와 역사의 리얼리티 ∙ 박진호
3장 역사교육의 안과 밖
1. 학교 공공역사 교육의 현주소 ∙ 이종관
2. 학교 역사교육과 공공역사의 만남, 어떻게 볼까 ∙ 방지원
3. 대중역사에서 시민역사로, 그 가교로서의 공공역사 ∙ 김정인
4장 구술사와 지역문화
1. 지역사와 구술사 그리고 공공역사 ∙ 허영란
2. 공공역사로서의 지역문화 콘텐츠 만들기 ∙ 강성봉
3. 지역 조사·연구의 방법과 과제 ∙ 백외준
제3부 공공역사가를 위하여
1. 공공역사가로서의 역사학자 ∙ 주진오
2. 큐레이터: 작은 박물관의 학예사들 ∙ 심철기
3. 아키비스트: 아카이브와 공공역사가 ∙ 김영경
4. TV 역사 다큐멘터리, 이렇게 만들었다 ∙ 남성우
5. 역사 저술가: 직업으로서의 역사, 취미로서의 역사 ∙ 허진모
6. 스토리텔러: 사극 전문 작가에게 궁금한 것들 ∙ 정현민
7. 역사커뮤니케이터: 역사학의 안과 밖을 잇는 사람 ∙ 정대훈
8. 역사크리에이터: 시각과 청각을 사로잡는 뉴디미어 공공역사 ∙ 최슬기
9. 컬처 플래너: 지역 기반의 문화기획자 ∙ 심준용
10. 문화해설사: 창의적인 공공역사가가 되는 길 ∙ 박태웅
11. 대학 강사도 공공역사가다 ∙ 박미선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공공역사는 전문 역사가들이 학계 바깥에서 행하는 역사 실천뿐만 아니라 대중적 현상으로 도처에 존재하는 역사의 공적 활용과 재현 및 이에 대한 비평 활동까지 포괄하는 개념이다.
민주주의 사회의 권력 비판과 다원주의 문화의 발전을 위해서라면 그와 같은 아래로부터의 역사서술과 재현은 더욱 권장되고 강화되어야 한다. 공공역사에서 그것은 상당히 중요한 일부를 구성한다. 그렇더라도 역사 재현과 서술의 소유권 확대를 곧장 ‘아래로부터의 역사’ 확대로 이해하면 곤란하다.
1683년 설립된 영국 애슈몰린박물관은 고중세의 특수한 성소, 특별한 수집 공간이었던 ‘기억의 장소’가 명칭을 ‘museum’으로 바꾸고 기능을 전시․학습․실험 등으로 분류하면서 전문적인 ‘습득의 장소’로 변모한 최초의 사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