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서예
· ISBN : 9788958175131
· 쪽수 : 342쪽
· 출판일 : 2022-06-21
목차
1부 한국서예가 비평
Ⅰ. 서예비평의 위치과 정신
「서예비평」 창간의 말씀 19
Ⅱ. 추사의 원교 「서결」 비평에 대한 비평
1. 서론 27
2. 원교와 추사 생애의 상호 비교 30
3. 언필편고설과 용필용묵불분설 비평에 대한 비평 33
4. 비현완서와 현완법의 부지 비평에 대한 비평 37
5. 이도횡획설·축필설·필선수후설 비평에 대한 비평 40
6. 점법의 형첨신호설 비평에 대한 비평 45
7. 결구법과 안진경·구양순 비평에 대한 비평 47
8. 필진도와 제첩 비평에 대한 비평 55
9. 결론 - 추사도 역시 평범한 인간 58
Ⅲ. 소전 손재형의 서예세계
1. 소전에 대한 다면적 시각 65
2. 한국적 서예의 새로운 창출 69
3. 소전체의 형성과 디자인미학과의 만남 72
4. 소전의 서예 대표작의 미학적 세계 77
5. 소전 서예의 현대성 87
Ⅳ. 동강 조수호의 ‘접’의 용필론과 속미적 예술세계
1. 서론 93
2. 동강 조수호 서화전 준비에 대한 몇 가지 느낌들 100
3. 동강의 시대 인식 102
4. 동강의 “접”의 용필론 106
5. 동강의 속미적 서예세계 119
6. 동강의 반서예적 묵조의 세계 133
7. 동강의 속미적 문인화세계 137
8. 결론 148
Ⅴ. 걸레 중광은 무엇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는가
1. 전시장 가는 길 153
2. 중광, 그는 과연 서예의 거장인가 155
3. 중광은 과연 대자유인인가 165
4. 중광은 프로이트의 철저한 추종자일까 168
5. 걸레 중광은 무엇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는가 177
6. 전시장을 떠나며 181
Ⅵ. 청탄 김광추 서예세계의 미학적 경계
1. 아름다운 세교의 이음자리 185
2. 서는 곧 그 사람 186
3. 주객불분의 천인합일적 자연 188
4. 호연지기로 호흡하는 기운생동의 서예세계 190
5. 일심으로 창조되는 순수서예세계 190
6. 충서 활동으로 구현되는 인문정신의 서예세계 191
Ⅶ. 남전 서예의 한국성
1. 스승을 향한 제자들의 존경과 사모의 정 195
2. 측은지심의 서민 지향적 토속미·질박미 추구 197
3. 측은지심의 자연 지향적 야성미·기괴미 추구 200
4. 한국적 서예의 다다이즘적 추구 203
2부. 한국 서예문화 시평
Ⅰ. '87 한국서단의 회고와 '88 새해의 기대
'87 한국서단의 회고와 '88 새해의 기대 211
Ⅱ. 서예의 생명 자리
1. 서예의 생명 자리 219
2. 청년서예가의 위상 227
3. 맺는말 232
Ⅲ. 지금은 바뀌고 변할 때다
1. 침묵은 황금인가 237
2. 왜 침묵을 깨야 하는가 240
3. 서단의 객관적 반영은 어떠한가? 241
4.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247
5. 서단에서 미협은 어떤 존재인가 248
6. 어디로 변화시킬 것인가 250
7. 한 사람의 노력으로 가능할까 252
Ⅳ. 서예의 대중화와 질적 향상의 시대를 열자
1. 머리말 257
2. 서예의 대중화 258
3. 서예의 질적 향상 262
4. 서단의 미래 전망과 희망 265
5. 맺는말 269
Ⅴ. 한국의 서단이 고사하고 있다
1. 서단, 서예인 공동체의 장 273
2. 서단 고사의 원인 274
3. 한국미술협회의 퇴행성 276
4. 세계화의 물결 속 서예인의 자기반성 278
5. 서예문화 발전은 서예가의 자기개발로부터 279
Ⅵ. 20세기 말 한국 서예문화의 변화와 그 새로운 가능성
1. 거센 변화의 바람과 그 역기능에 대한 우려 285
2. 거장들의 잇단 타계 286
3. 전통서예의 재해석과 그 새로운 가능성 추구 287
4. 구태의연한 단체 운영 289
5. 활발하고 다양한 국제 서예전 290
6. 혼돈 속의 문인화 활동 291
7. 학술활동 활성화와 전문지 월간 『까마』 창간 292
8. 신서예론의 대두와 서예의 실용화 경향 293
9. 한 서예가의 서맥을 최초로 한자리에 모은 전시 294
10. 열린 시대의 열린 서예문화를 향해 295
Ⅶ. 한국 서예의 특성과 20세기 한국의 서예
1. 오세창, 그 사람 299
2. 한국 서예의 특성 300
3. 20세기 한국의 서예 305
4. 20세기 대한민국 10대 서예가 선정에 대한 관견 308
5. 결론 313
Ⅷ. 현대 한국 서예의 비판적 회고
1. 서언 - 20세기와 한국 서예사 319
2. 일제 강점기의 반민주·반인륜성과 서예문화 320
3. 한국 현대 서예문화시대의 도래와 그 풍조 323
4. 현대 한국 서예문화시대의 소강과 변화기풍의 진작 325
5. 당대 서예의 백화난만과 변종사대주의적 서풍의 대두 328
6. 결언 - 존재는 변화다 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