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요리/살림 > 원예/조경/텃밭
· ISBN : 9788958202615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13-11-15
책 소개
목차
| 들어가며 |
정원 이야기 | Gardens |
· 01 ·· 우리는 왜 정원을 만들까? * 정원의 역사와 오늘날의 의미
식물 이야기 | Plants |
· 02 ·· 모든 식물에게는 이름이 있다! * 식물의 학명 이해하기
· 03 ·· 식물의 삶과 죽음을 보다 * 성장주기에 따른 식물의 분류
· 04 ·· 식물에게 고향은 어떤 의미일까? * 식물의 자생지 이해하기
흙과 거름 이야기 | Soil & Compost |
· 05 ·· 식물은 흙의 맛을 가린다 * 식물과 흙의 관계 이해하기
· 06 ·· 식물은 왜 거름을 좋아할까? * 거름의 세계 이해하기
· 07 ·· 흙의 담요, 멀칭 * 멀칭의 효과와 방법 이해하기
나의 정원 알기 | Environments |
· 08 ·· 정원환경의 특징과 문제점 알기 * 기후와 사계절 이해하기
주제별 정원 만들기 | Garden Makings |
· 09 ·· 사계절화단 만들기 * 사계절이 풍성한 꽃화단의 디자인
· 10 ·· 장미화단 만들기 * 화려하고 향기로운 장미정원의 디자인
· 11 ·· 구근화단 만들기 * 하나의 줄기에 하나의 꽃, 구근화단의 디자인
· 12 ·· 자갈정원 만들기 * 건조함을 잘 견디는 식물로 구성된 자갈정원의 디자인
· 13 ·· 텃밭정원 만들기 * 보는 즐거움과 먹는 즐거움이 함께하는 텃밭정원의 디자인
· 14 ·· 물의 정원 만들기 * 연못, 분수, 폭포, 수로가 있는 물의 정원 디자인
· 15 ·· 컨테이너정원 만들기 * 식물을 담는 용기도 예술이 되는 컨테이너정원의 디자인
실내정원 이야기 | Indoor Garden |
· 16 ·· 실내식물이란 무엇인가? * 실내식물 이해하기
· 17 ·· 집 안에서 식물을 키우는 방법 * 실내식물 관리 요령
· 18 ·· 실내정원은 어떻게 만들까? * 실내식물 디자인하기
정원과 식물 관리 | Maintenance |
· 19 ·· 물 주기는 식물을 키우는 기본이다 * 물 주기 요령에 관한 모든 것
· 20 ·· 식물은 관심의 손길을 먹고 자란다 * 영양분 공급과 잡초 관리법
· 21 ·· 식물은 더 건강하게 자랄 수 있다* 지지대 세우기와 데드헤딩 기법
· 22 ·· 연장, 정원사의 진정한 동반자 * 정원 도구 이해하기
| 나오며 |
| 도판출처 |
| 참고문헌 |
| 찾아보기 |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사람들은 묻는다. 왜 내 손만 닿으면 식물이 자꾸 죽어가는 것일까요? 식물을 단지 좋아하는 것만으로 원예의 노하우가 익혀지진 않는다. 무조건 물만 잘 준다고, 관심을 가졌다고 식물이 건강하게 자라줄 리도 없다. 원예는 과학의 공부다. 식물의 구조를 이해하는 일, 어떻게 식물이 그들의 방식으로 살아가고 있는지를 과학적으로 이해하지 않으면 결코 답을 찾을 수 없다. 그래서 실용적이고 다양한 원예의 방법들을 책 속에 차곡차곡 담아내고자 노력했다. 또한 무엇보다 원예의 노하우를 알기에 앞서 우리가 꼭 생각하고 이해해야 할 정원의 역사와 의미, 식물의 이름이 왜 중요한지, 식물의 자생지를 이해하는 것이 왜 원예의 근본이 되는지, 정원의 바탕이 되는 흙을 이해하는 과정 등도 독자들이 쉽고 흥미롭게 접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자 했다. 식물을 대신해 꽃을 피울 수는 없지만 정원사는 얼마든지 식물이 좀 더 건강해지도록 도와줄 수 있다. 우리가 가장 믿어야 할 것은 식물이다. 우리의 열망보다 훨씬 더 강한 의지로 식물들은 살려고 노력한다. 정원사는 그저 죽을힘을 다해 최선을 다하고 있는 이 식물들의 어깨를 다독여주는 정도일 뿐이다.” - 본문 중에서
“정원사의 계절은 봄, 여름, 가을, 겨울이 아니라 가을, 겨울, 봄, 여름으로 찾아온다. 새싹이 돋아나는 봄을 맞이하기 위해서는 가을에 시든 잎과 꽃대를 거두고, 흙을 일구고, 겨울잠에 들어가야 할 식물의 뿌리를 포근히 감싸주어야 한다. 이 가을의 준비 없이는 결코 봄이 오지 않고, 봄이 없으면 수풀이 우거진 아름다운 여름도, 풍성한 수확의 가을도 다시 맞을 수 없다. 그래서 정원의 시작은 식물이 성장을 멈추고 내년을 준비하는 바로 가을이다. 그리고 이것이 정원이 미래를 꿈꾸는 공간일 수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