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88958612490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25-03-27
책 소개
목차
005 프롤로그
PART 1 로컬문화의 가치와 전략적 접근
013 로컬문화의 중요성과 가치
017 로컬문화 분석과 이해
023 로컬문화 활성화와 사업기획의 기본 원칙
PART 2 로컬문화의 특성 및 사업기획
033 로컬문화의 특징과 다양성
036 지역사회와의 협력과 커뮤니티의 역할
040 로컬 아이덴티티의 강화
046 로컬사업기획의 기본 원칙과 아이디어 개발
PART 3 로컬문화의 목표 설정과 지역 자원의 활용
055 로컬문화사업의 비전과 미션 설정
060 지역목표와 전략적 계획 수립
063 지역 자원과 파트너십 확보
PART 4 지역문화 정책과 전략적 추진
070 지역문화 정책 추진 전략의 이해
080 지역 고유의 문화매력 발굴과 확산
085 지역문화자산의 ‘보전-발굴-매력화’ 추진
104 지역문화자산 발굴 프로세스
PART 5 로컬 콘텐츠 기획의 단계적 접근과 지속성 강화
137 로컬 콘텐츠 기획 1단계 : 현장조사
160 로컬 콘텐츠 기획 2단계 : 조사와 분석, 그리고 아이템 선정
177 로컬 콘텐츠 기획 3단계 : 트렌디한 차별화, 아이디어 업그레이드
199 로컬 콘텐츠 기획 4단계 : 지속성 강화를 위한 스토리텔링과 스토리두잉
PART 6 매력적인 로컬콘텐츠 만들기
207 우리 지역만의 매력적인 스토리텔링 만들기
218 로매력적인 로컬 콘텐츠 만들기 CPND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은 바로 그 ‘로컬 기획’을 고민하는 사람들을 위한 안내서이다. 지역을 되살릴 콘텐츠 기획을 하고자 하는 사람, 로컬 비즈니스에 도전하고 싶은 사람, 그리고 지역을 더 깊이 이해함으로써 가능성을 찾아내 변화를 이끌어내고 싶은 모든 이들을 위한 책이다.
인구소멸의 시대, 지역을 살리는 길은 로컬 기획이다. 정부와 지자체의 정책을 바탕으로 지역마다 가지고 있는 차별화된 매력 콘텐츠를 발굴하고 이를 지역 주민이 주체적으로 기획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현장조사, 분석, 아이템의 선정, 트렌디한 아이디어 만들기와 스토리텔링 등 체계적인 로컬 기획이 필요하다.
이런 사례처럼 지역의 대표매력을 활용한 특화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서는 지리적 배경, 지역주민 참여를 고려한 지역만의 콘텐츠 스토리텔링 기획을 해야 한다.
산과 논이 많은 우리나라의 지리적 특성을 살려 벤치마킹할 만한 축제가 있다. 대규모 농장부지에서 음악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예술을 즐길 수 있는 영국의 ‘글래스톤베리 페스티벌Glastonbury Festival’이다.
이 축제는 영국 남서부 서머싯 카운티주 필튼에 위치한 인구 9천 명 정도의 작은 마을 글래스톤베리에서 매년 여름 6월에 5일 동안 열리는 음악 중심의 축제로 1970년에 시작되었다.